•  


이회영 孫子 이종걸 “洪範圖, 레닌과 抗日鬪爭 論議…胸像 撤去 소가 웃겠다”|동아일보

이회영 孫子 이종걸 “洪範圖, 레닌과 抗日鬪爭 論議…胸像 撤去 소가 웃겠다”

  • 뉴스1
  • 入力 2023年 8月 29日 09時 42分


코멘트
우당 이회영 선생의 손자들인 이종찬 3.1운동 100주년 서울시기념사업 위원장 부부, 이종걸 더불어민주당 의원 부부가 2018년 6월 26일 서울 중구 YWCA회관에서 열린 제1차 ‘서간도 시종기 낭독회’에서 이은숙 독립운동가의 회고록을 낭독하고 있다. 이은숙 선생은 이회영 선생의 부인으로 이종찬 위원장, 이종걸의 의원의 할머니다. ⓒ News1
友黨 李會榮 先生의 孫子들人 李鍾贊 3.1運動 100周年 서울市記念事業 委員長 夫婦, 이종걸 더불어民主黨 議員 夫婦가 2018年 6月 26日 서울 中區 YWCA會館에서 열린 第1次 ‘西間島 시종기 朗讀會’에서 이은숙 獨立運動家의 回顧錄을 朗讀하고 있다. 이은숙 先生은 李會榮 先生의 夫人으로 이종찬 委員長, 李鍾杰의 議員의 할머니다. ⓒ News1
友黨 李會榮 先生의 孫子인 李鍾杰 前 더불어民主黨 議員은 洪範圖 將軍 胸像 撤去 以前 論難에 對해 “소가 웃을 일이다”며 强力 批判했다.

李會榮 先生 넷째 아들의 長男이자 李鍾贊 光復會長과 4寸 사이인 李 前 議員은 28日 밤 CBS라디오 ‘박재홍의 한판勝負’에서 進行者가 “移轉을 해야 한다는 쪽에서는 洪範圖 將軍의 1927年 蘇聯 共産黨 加入 前歷을 問題 삼고 있다. 申元湜 國民의힘 議員은 ‘蘇聯 軍服을 着用하고 軍帽까지 쓴 洪範圖 胸像을 陸士에 設置하는 게 말이 되냐’고 했다”고 묻자 “洪範圖 將軍(1868~1943)은 光復되기 前에 돌아가신 분이다”며 解放 以後 김일성의 北韓 共産黨, 6·25戰爭과 아무런 聯關이 없음을 指摘했다.

또 “共産主義 歷史(마르크스 레닌 注意)에 나오는 人物인 레닌을 訪問해서 弱小國인 大韓民國 獨立을 도와줄 수 있느냐, 抗日武裝 獨立을 도와줄 수 있냐 이런 論議를 했던 相對方이다”며 “그분이 蘇聯 制服을 입게 된 것도 抗日獨立鬪爭의 效果的인 進展을 위해서 했던 것”임을 强調했다.

이어 이 前 議員은 “그래서 朴正熙 大統領도 1962年 洪範圖 將軍을 敍勳하는 獨立勳章(독립장)을 授與하게 됐다”며 “이제 와서 分斷, 北韓이 생기기도 前에 蘇聯 共産主義의 制服을 입었다는 것이 理念戰爭의 根據가 된다는 건 正말 소가 봐도 웃을 일이다”고 不便해 했다.

아울러 이 前 議員은 抗日運動은 “蘇聯, 中國, 美國이 같이 했다”며 “美國과 蘇聯은 같은 同盟, 한 電線에서 日本과 싸웠다”라는 點도 생각해야 한다고 注文했다.

이날 이 前 議員은 할아버지 李會榮 先生 胸像 移轉 檢討 消息에 對해선 “洪範圖, 李會榮 先生은 完全한 大韓民國의 回復이 있을 때까지 獨立戰爭을 하려고 했다. 어느 분들도 分斷된 祖國을 생각한 적 없다”라는 말로 洪範圖 將軍, 李會榮 先生을 떼어 내 생각할 部分이 아니라며 洪範圖 지청천 이회영 이범석 김좌진 5人의 胸像은 只今 그 자리를 지키는 것이 맞다고 했다.

胸像 論難이 거세지자 國防部는 △撤去가 아닌 獨立記念館으로 移轉 檢討 △共産主義와 싸우는 것이 主 目標인 陸士에 洪範圖 將軍은 맞지 않다, 洪 將軍 胸像만 移轉 檢討 中이다며 李會榮 先生 胸像 等은 그 자리에 둘 뜻을 드러냈다.

이에 對해 野圈은 勿論이고 李鍾贊 光復會長은 “그건 獨立運動家 모두를 侮辱하는 일이다. 다섯 분을 남기려면 다 남기고 아니면 다 撤去하라”며 거듭 反對意思를 밝혔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