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韓國 旅券이면 190個國 자유롭게 갈 수 있다…전세계 2位|東亞日報

韓國 旅券이면 190個國 자유롭게 갈 수 있다…전세계 2位

  • 뉴스1
  • 入力 2022年 1月 12日 11時 04分


코멘트
한국이 ‘2022 헨리여권지수’에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권 순위 2위에 올랐다. 2022.01.12/news1 © 뉴스1(Henley & Partners 홈페이지 갈무리)
韓國이 ‘2022 헨리旅券指數’에서 世界에서 가장 影響力 있는 與圈 順位 2位에 올랐다. 2022.01.12/news1 ⓒ 뉴스1(Henley & Partners 홈페이지 갈무리)
韓國 旅券이 全 世界에서 가장 影響力 있는 與圈 2位에 올랐다.

11日(現地時間) CNN 報道에 따르면 런던에 位置한 글로벌 市民權 및 居住 諮問 會社 헨리 앤드 파트너스(Henley & Partners)가 發表한 ‘2022 헨리旅券指數’에서 韓國이 獨逸과 함께 旅券指數 190을 記錄해 共同 2位에 올랐다.

헨리旅券指數란 全 世界 199個國 中 特定 國家의 旅券 所持者가 비자 없이 訪問하거나 事實上 無비자로 갈 수 있는 國家가 얼마나 되는지를 合算해 算出한 順位이며 지난 2006年부터 集計해왔다.

이番 發表에서 1位는 日本과 싱가포르로 旅券指數 192를 記錄했다. 이에 따르면 日本과 싱가포르 旅券을 所持한 사람은 理論的으로 192個 國家를 無비자로 旅行할 수 있다.

이番 헨리旅券指數에서 눈에 띄는 點은 如前히 유럽이 强勢를 보이고 있다는 點이다. 2位를 記錄한 獨逸(190)을 始作으로 핀란드·이탈리아·룩셈부르크·스페인이 나란히 3位(189)에 올랐으며, 프랑스·네덜란드·스웨덴·덴마크·오스트리아는 4位(188) 올라 유럽 聯合(EU) 所屬 國家들이 如前히 높은 點數를 記錄했다. 美國과 英國은 6位(186)를 차지했다.

反面 가장 最下位를 記錄한 國家는 아프가니스탄으로, 無비자로 訪問할 수 있는 나라가 不過 26곳에 不過했다. 北韓은 104位를 차지했으며, 39곳을 無비자로 訪問할 수 있다.

한便 2006年 헨리旅券指數 發表 當時 비자 없이 갈 수 있는 平均 國家 數는 57個國이었으며 現在는 그 두 倍인 107個國을 平均的으로 訪問할 수 있다. 이는 언뜻 보면 量的으로 旅行의 自由가 擴張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旅行의 自由는 유럽이나 北美, 富裕한 아시아 몇몇 國家들만이 누리고 있다. 特히 CNN에 따르면 昨年 末 오미크론 變種 出現으로 富國과 貧國 間 國際 移動性에 隔差가 發生했다는 것을 推測할 수 있다.

例를 들어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事務總長이 指摘한 것처럼 아프리카 國家들에 嚴格한 旅行 規制가 適用되고 있어 마치 “旅行 아파르트헤이트”와 類似해 보이는 差別이 發生하고 있다.

헨리旅券指數를 처음 考案한 크리스찬 칼린 헨리 앤드 파트너스 회장은 “旅券과 비자는 全 世界的으로 移動할 機會를 決定하기 때문에 世界的 不平等에 影響을 미치는 가장 重要한 手段 中 하나”라며 “우리가 태어난 國境과 우리가 지닐 수 있는 書類(與圈)는 皮膚色만큼이나 任意的이다”라고 指摘했다.

그러면서 “富裕한 國家들은 全 世界的으로 人的, 物的 資源을 再分配하고 再調整을 위해 國內 移住를 奬勵할 必要가 있다”라고 提言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