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國發 微細플라스틱, 韓國-日本 向해 쏟아졌다|동아일보

中國發 微細플라스틱, 韓國-日本 向해 쏟아졌다

  • 東亞닷컴
  • 入力 2021年 7月 5日 11時 02分


코멘트

實際 大量의 微細플라스틱, 螺絲에 捕捉
中國, 微細플라스틱 汚染源…疑心에서 確信으로

2017년 6월 22~27일 사이 관측된 (중국 항저우를 지나는 첸탕강(錢塘江)에서 서해로 분출되는) 미세플라스틱(적색)의 흐름. 미시간대 연구진
2017年 6月 22~27日 사이 觀測된 (中國 항저우를 지나는 첸탕강(錢塘江)에서 西海로 噴出되는) 微細플라스틱(赤色)의 흐름. 미시간大 硏究陣
美國 미시간대학교와 螺絲(NASA·美 航空宇宙局)는 미시간大 硏究陣이 나사의 人工衛星(CYGNSS)을 利用해 中國 양쯔江(揚子江)과 첸탕강(錢塘江) 河口에서 西海로 噴出되는 微細플라스틱의 흐름을 捕捉했다고 밝혔다. 이는 韓國과 日本으로 흘러들어온 것으로 觀測됐다.

中國의 양쯔江 河口는 오랫동안 微細플라스틱의 主要 原因으로 疑心받았지만 視覺的 資料로 그 흐름이 捕捉된 것은 이番이 처음이다. 使用된 나사의 人工衛星은 레이더를 利用해 허리케인의 世紀와 風俗에 對한 情報를 提供하는 8個의 작은 衛星들로 이뤄진 시스템으로 알려졌다.

미시간大 크리스토퍼 러프 敎授와 大學院生 매들린 에번스는 지난달 ‘IEEE Xplore’라는 이름의 學術모임을 통해 ‘宇宙 空間 레이더를 통한 海洋 微細플라스틱의 發見과 이미지化’ 硏究 報告書를 發表했다. 이 報告書에 따르면 2017年 特定 時期에 中國 양쯔江과 첸탕강 等 江 河口에서 微細플라스틱의 大量 흐름이 發見됐다. 微細플라스틱이 적은 部分은 파란色을, 많은 部分은 赤色으로 나타나고 있다.

a(왼쪽 상단)는 연간 평균 미세플라스틱의 흐름, b(오른쪽 상단)는 2017년 6월 22일부터 일주일 간 중국 항저우를 지나는 첸탕강에서 미세플라스틱(적색)이 서해로 쏟아져 나오는 모습, c(왼쪽 하단)는 2017년 10월 27일부터 일주일 간 양쯔강에서 분출되는 미세플라스틱의 흐름, d(오른쪽 하단)는 2017년 12월 2일부터 중국의 강 하구들에서 이동하는 미세플라스틱의 흐름. 미시간대 연구진
a(왼쪽 上段)는 年間 平均 微細플라스틱의 흐름, b(오른쪽 上段)는 2017年 6月 22日부터 一週日 間 中國 항저우를 지나는 첸탕강에서 微細플라스틱(赤色)李 西海로 쏟아져 나오는 모습, c(왼쪽 下端)는 2017年 10月 27日부터 一週日 間 양쯔江에서 噴出되는 微細플라스틱의 흐름, d(오른쪽 下端)는 2017年 12月 2日부터 中國의 江 河口들에서 移動하는 微細플라스틱의 흐름. 미시간大 硏究陣

2017年 6月 22~28日 一週日 동안 中國 항저우를 거쳐 양쯔江 쪽으로 合流돼 西海로 이어지는 첸탕강에서는 붉은 微細플라스틱의 흐름이 西海로 流入됐다. 6月엔 世界 全體的으로 微細플라스틱의 排出이 많은 달이기도 하다고 硏究陣이 말했다.

以後 2017年 10月 27日부터 11月 2日까지 一週日間 같은 現象이 反復됐다. 양쯔江 河口에서 붉은 微細플라스틱의 흐름이 韓國과 日本 쪽으로 噴出된 것이다.

이番 硏究 成果에 對해 擔當 硏究 敎授는 “微細플라스틱 汚染源을 疑心하는 것과 그게 일어나는 場面을 보는 것은 別個의 일”이라며 “過去에는 微細플라스틱에 對한 데이터가 制限的이었다”라고 오늘날 成果에 意義를 뒀다.

한便 各種 플라스틱 쓰레기와 微細플라스틱은 사하라 沙漠, 에베레스트山은 勿論 北極까지 地球上 모든 곳에서 發見되고 있다. 特히 環境에 蓄積되기 쉬운 微細플라스틱은 動物들도 쉽게 攝取·吸入하면서 體內 毒性을 일으켜 死亡에 이르기 때문에 生態系에도 威脅的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지혜 東亞닷컴 記者 onewisdo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오늘의 推薦映像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