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性暴行 試圖男 혀 깨물어 切斷한 女性, 56年 恨 풀지 못했다|동아일보

性暴行 試圖男 혀 깨물어 切斷한 女性, 56年 恨 풀지 못했다

  • 東亞닷컴
  • 入力 2021年 2月 18日 14時 30分


코멘트
최 씨가 부산지방법원에 재심 신청서를 제출하기 전 기자회견을 열고 “정당방위에 따른 무죄를 인정해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2020.5.6 ⓒ News1
崔 氏가 釜山地方法院에 再審 申請書를 提出하기 前 記者會見을 열고 “正當防衛에 따른 無罪를 認定해달라”고 呼訴하고 있다. 2020.5.6 ⓒ News1
56年 前 性暴行을 試圖하는 男性의 혀를 깨물었다가 되레 重傷害 嫌疑로 處罰 받았던 崔某 氏(75)가 正當防衛를 認定해 달라며 法院에 再審을 請求했지만 棄却됐다.

釜山地法 刑事5部(권기철 部長判事)는 지난해 5月 6日 崔 氏가 法院에 提起한 再審 請求를 棄却한다고 18日 밝혔다.

崔 氏는 1964年 5月 6日, 當時 18歲이던 自身을 性暴行 하려던 A 氏에게 抵抗하다 그의 혀를 깨물어 1.5㎝ 假量 자른 嫌疑로 裁判에 넘겨졌다.

當時 檢察은 崔 氏를 重傷害罪로 拘束起訴 하고, A 氏는 特殊住居侵入 및 特殊脅迫罪로 起訴했다. A 氏가 말을 하지 못하는 不具가 됐음을 前提로 重傷害罪를 適用한 것이다.

法院은 崔 氏에게 懲役 10月에 執行猶豫 2年, A 氏에게 懲役 6個月에 執行猶豫 1年을 各各 宣告 했다.

數十 年이 흘러 2018年 社會的으로 ‘미투’運動이 擡頭되자 崔 氏는 韓國女性의전화에 도움을 要請했다. 지난해 5月 6日에는 釜山地方法院에 再審을 請求했다.

崔 氏는 A 氏가 手術을 받고 語訥하지만 말은 할 수 있다는 事實을 새롭게 알게 됐고 “裁判部의 判決이 잘못됐다”며 抗議했다.

그러나 崔 氏는 再審에서 恨을 풀지 못했다.

再審 裁判部는 “崔 氏 側이 提起한 證據만으로는 無罪 等을 認定할 새로운 明白한 證據에 該當된다고 볼 수 없다”고 判示했다.

裁判部는 “再審對象判決의 犯罪事實人 重傷害의 境遇 發音의 顯著한 困難인데 專門家인 醫師가 만든 傷害診斷書 等 客觀的인 證據들을 바탕으로 判斷한 것”이라고 說明했다.

이어 “崔 氏 側 主張처럼 A 氏가 말을 할 수 있었다고 보이지만, 言語能力에는 實際로 相當한 障礙가 發生했다”며 “重傷害罪 構成要件인 不具의 槪念이 반드시 身體 組織의 固有한 機能이 完全히 喪失된 것만을 의미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했다.

또 性差別 認識과 價値觀 變化 等에 비추어 볼 때 半世紀 前 事件을 只今의 잣대로 判斷해 職務上 犯罪를 構成한다고 斷定하기 어려운 點도 棄却 理由로 꼽았다.

다만 裁判部는 棄却 決定을 하면서도 안타까운 心情을 표했다.

裁判部는 “正當防衛에 關한 法理를 論할 때 언제나 登場하고 膾炙됐던 ‘혀 切斷’ 事件의 바로 그 사람이 半世紀가 흐른 後 이렇게 自身의 事件을 바로 잡아달라고, 가슴에 맺힌 응어리를 풀어달라고, 性別 間 平等의 價値를 宣言해 달라고 法廷에 섰다”며 “裁判部 法官들은 請求人의 再審請求는 받아들일 수 없지만, 請求人의 容器와 외침이 헛되이 사라지지 않고, 이 時代를 함께 살아가는 우리 共同體 構成員 한 사람 한 사람에게 커다란 울림과 靈感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崔 氏 側 辯護人團은 “卽時 抗告를 提起할 計劃”이라는 立場을 밝혔다.
박태근 東亞닷컴 記者 pt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오늘의 推薦映像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