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百 투 더 東亞/11月 9日]2003年 ‘停年 65歲 延長’을 論하다|동아일보

[百 투 더 東亞/11月 9日]2003年 ‘停年 65歲 延長’을 論하다

  • 東亞日報
  • 入力 2017年 11月 8日 17時 05分


코멘트
올해 초 서울 마포구청에서 열린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통합 안내 및 참여자 모집 공고를 보고 신청서를 내러 온 어르신들. 고령화 사회로 경제활동이 필요한 노인 인구들이 급증하면서 정년 연장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동아일보DB
올해 初 서울 마포구청에서 열린 ‘老人일자리 및 社會活動 支援事業’ 統合 案內 및 參與者 募集 公告를 보고 申請書를 내러 온 어르신들. 高齡化 社會로 經濟活動이 必要한 老人 人口들이 急增하면서 停年 延長 論議가 이뤄지고 있다. 東亞日報DB
最近 政府가 現行 60歲인 法廷 停年을 65歲로 늘리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計劃인 것으로 알려졌다. 來年부터 段階的으로 上向되는 國民年金 需給 開始 年齡과 隱退 年齡 間 差異를 좁히자는 趣旨다.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高齡化 趨勢를 勘案해 停年을 延長해야 한다는 主張과 靑年 就業難에 否定的인 影響을 준다는 立場이 맞서고 있다.

‘停年 65歲’ 延長 推進 計劃이 政府 발(發)로 나온 것은 2003年이었다. 그해 11月9日 財政經濟部는 ‘人口 高齡化 現況 및 政策 對應 方向’ 報告書를 통해 勞動力 確保와 老人扶養 費用 節減을 위해 60歲에서 65歲로 停年 延長 政策을 檢討하고 있다고 밝혔다.(동아일보 2003年 11月 10日子 1面)
정부의 정년 65세 연장 추진 계획을 보도한 동아일보 2003년 11월10일자 1면.
政府의 停年 65歲 延長 推進 計劃을 報道한 동아일보 2003年 11月10日子 1面.

當時 改正 檢討 對象은 ‘高齡者雇傭促進法 19兆’로 企業이 義務的으로 따라야 하는 强制條項은 아니었다. 하지만 ‘停年 65歲’가 처음으로 行政的으로 言及된 때였던 만큼 贊反 論難이 뜨거웠다. 한국경영자총협회 김영배 專務는 “深刻한 靑年失業 問題가 惡化될 수 있는 데다 勞組에서 停年 延長條項을 빌미로 會社 側에 過度한 要求를 할 수 있는 만큼 經濟가 어느 程度 回復된 다음에 論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에 對해 백창현 대한노인회 顧問은 “停年 延長은 健康한 老人에게 일자리를 提供하는 等 老人 福祉를 擴充하는 契機가 될 것”이라고 歡迎했다.(동아일보 2003年 11月 10日子 3面)

當時 ‘停年 65歲 延長 推進’ 計劃과 맞물려 注目받은 論議는 亦是 ‘韓國의 高齡化 速度’였다. 韓國이 全體 人口 中 滿 65歲 以上 高齡人口 比率이 7% 以上인 高齡化 社會에 2000年 進入하면서다. 高齡人口 比率이 14% 以上인 高齡社會는 2019年, 20% 以上인 超高齡社會는 2026年에 들어갈 것으로 展望되면서 ‘엄청나게 빠른 高齡化 速度’가 注目받았다.

日本, 프랑스, 美國이 高齡化社會에서 高齡社會까지 가는 期間이 24~115年, 高齡社會에서 超高齡社會가 될 때까지 걸리는 期間이 12~41年으로 豫測돼서다. “政府가 이처럼 停年 延長을 推進하는 것은 現在 韓國 人口의 高齡化 速度가 國家 財政을 威脅할 程度로 빠른 速度로 進行되고 있기 때문이다. 高齡 人口의 經濟活動 期間을 늘려 老人福祉 費用 支出을 줄이는 것이 時急해진 것이다.”(동아일보 2003年 11月 10日子 1面)

이렇게 觸發된 ‘停年 延長 推進 計劃’은 論議를 거듭하다 2013年 60歲를 事業場과 公共機關의 停年으로 義務化 法制化시키게 됐다. ‘停年을 法으로 定한 國家’가 된 것.

最近 停年 65歲 延長 論議는 이렇게 60歲 停年을 法制化한 지 不過 4年 만에 나온 것이다. 그만큼 高齡化에 對한 危機意識이 크다는 얘기다. 그러나 한便으로 靑年 雇傭 絶壁 事態도 또한 憂慮되고 있다. 이 難題들을 解決할 수 있는 代案과 勞動市場의 改革 方案을 摸索해야 할 때다.

김지영 記者 kimj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