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畫像競馬場에 꽃꽂이 배우러 가요”|동아일보

“畫像競馬場에 꽃꽂이 배우러 가요”

  • 東亞日報
  • 入力 2016年 3月 18日 03時 00分


코멘트

競馬없는 月∼木曜日 文化센터 活用

한국마사회가 기피시설로 인식되던 전국 마권 장외발매소 30곳을 ‘문화공감센터’로 바꿔 개방해 주민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사진은 렛츠런 문화공감센터 강남의 꽃꽂이 강좌. 한국마사회 제공
韓國馬事會가 忌避施設로 認識되던 全國 馬券 場外發賣所 30곳을 ‘文化共感센터’로 바꿔 開放해 住民들의 呼應을 얻고 있다. 寫眞은 렛츠런 文化共感센터 江南의 꽃꽂이 講座. 韓國馬事會 提供
14日 午後 京畿 議政府市 市民로(가능동) 韓國馬事會 ‘文化共感센터 議政府’ 2層. 이제 갓 걸음마를 뗀 아이들의 해맑은 웃음소리가 講義室 안에 가득했다. 아이들은 先生님이 읽어주는 童話에 귀를 쫑긋 세우며 까르르 웃다가 어떤 대목에선 眞摯한 表情을 짓기도 했다.

뒤뚱뒤뚱 걷다 넘어지는 아이, 탬버린 等의 樂器를 神奇한 듯 바라보는 아이, 엄마 옆에 꼭 붙어 先生님과 또래 親舊들을 빤히 쳐다보는 아이도 눈에 띄었다. 15∼22個月 된 아이들을 對象으로 發達에 적합한 놀이를 통해 身體·認知能力, 創意性을 길러주기 위해 馬事會가 支援하는 統合놀이 授業의 한 場面이다.

元來 이곳은 競馬場에 가지 않고 馬券을 산 뒤 中繼畵面을 보면서 競馬를 즐기는 場外發賣所(畫像競馬場)다. 射倖性을 助長한다는 理由로 競馬에 對한 住民들의 反感이 높고 民願이 끊이지 않아 場外發賣所는 代表的인 忌避施設이었다.

하지만 2年 前 就任한 현명관 會長은 ‘렛츠런(LetsRun·세상을 向해 함께 달려간다) 革新經營’을 宣布하고 나눔과 相生을 强調했다. 이때부터 場外發賣所는 ‘文化共感센터’로 看板을 바꿔 달았다. 競馬가 없는 月∼木曜日은 施設을 開放해 住民들의 ‘놀이터’ 役割을 한다.

文化共感센터 議政府(1萬5000m²)도 리모델링을 통해 2014年 11月 다시 태어났다.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百貨店 文化센터와 다를 바 없다. 地域住民 1600餘 名이 會員으로 加入해 70餘 個에 이르는 講座에 하루 300∼400名이 參席한다. 價格도 한 달에 3000∼1萬 원 程度로 負擔이 없다. 周邊 可能2棟, 議政府2棟 住民은 1個 講座는 無料이고 議政府 市民은 受講料 折半을 깎아준다.

깔끔하게 꾸민 1層 카페 ‘마음 쉼터’는 講座가 始作되기를 기다리는 受講生이나 保護者들이 便하게 쉴 수 있는 空間이다. 실버 바리스타가 내리는 커피 價格은 一般 커피專門店의 半값 水準. 어린이圖書館(64m²) 키즈카페(38m²) 헬스場(64m²) 展示場(170m²) 講義·會議室 等도 미리 申請하면 使用할 수 있다. 主婦 임수정 氏(35)는 “집이 가까워 아들과 자주 찾는다”며 “施設이나 水準이 百貨店 못지않은 데다 費用 負擔이 없다는 게 長點”이라고 말했다.

馬事會의 文化共感센터는 全國的으로 30곳에서 運營된다. 現在 900餘 個 講座, 2萬6000餘 名이 會員이다. 지난해 年間 累積 利用者가 7萬 名이 넘는다. 乘馬敎室, 天然 化粧品 만들기, 꽃꽂이, 노래敎室, 韓國舞踊 等 選擇의 幅도 넓다. 3個月 單位의 學期制 槪念을 導入한 뒤 目標를 設定해 動機를 附與한 것도 肯定的이다. 장유진 文化共感센터 議政府 센터長은 “地域社會와 疏通하고 다양한 文化的 惠澤을 주기 위해 住民 參與型 複合文化센터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조영달 記者 dalsarang@donga.com
#畫像競馬場 #꽃꽂이 #文化센터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