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라리의 元祖格 ‘알파 로메오’… 510馬力 ‘줄리아’ 公開|東亞日報

페라리의 元祖格 ‘알파 로메오’… 510馬力 ‘줄리아’ 公開

  • 동아經濟
  • 入力 2015年 6月 26日 09時 43分


코멘트
페라리, 마세라티, 알파 로메오, 피아트, 크라이슬러, 지프 等 13個 브랜드를 거느린 世界 7位의 自動車 그룹 FCA(Fiat Chrysler Automobiles)는 알파 로메오 設立 105周年을 記念해 새로운 알파 로메오 엠블럼과 高性能 스포츠세단 ‘뉴 알파 로메오 줄리아(Giulia)’를 지난 25日 公開했다.

새로운 엠블럼이 처음 適用된 뉴 줄리아는 獨特한 이탈리안 디자인, 革新的인 最尖端 엔진, 앞뒤 完璧한 50:50 무게 配分, 尖端 技術, 同級 最高의 무게對備 出力 等 알파 로메오만의 特徵이 모두 녹아 있는 모델이다.

FCA의 세르지오 마르키오네 會長은 “1910年 6月 24日 알파 로메오 創立 以來 올해로 105周年을 맞아 새로운 엠블럼과 뉴 줄리아를 公開했다”며 “알파 로메오 브랜드는 2018年까지 뉴 줄리아 以外에 總 7個의 모델을 追加로 더 出市할 豫定이며, 2013年 7萬4000代 水準이었던 販賣量도 2018年까지 40萬臺로 끌어올릴 計劃”이라고 말했다.

한便 이날 처음 公開된 뉴 줄리아는 모든 것이 運轉者를 中心으로 設計돼 精巧한 스티어링, 應答性 높은 加速 性能, 卽刻的인 기어 變速 및 制動 性能 等을 통해 불타는 熱情과 숨막히는 運轉 經驗을 提供한다.

50:50의 무게 配分과 後輪驅動 시스템이 特徵인 알파 로메오 모델답게 完璧한 무게 配分을 爲해 모든 機械 部品들을 앞뒤 車軸 사이에 位置시켰다.

오버행이 매우 짧고, 보닛과 프론트 윙은 길어진 反面 휠베이스는 同級에서 가장 길어 매우 다이내믹한 車體 比率을 보여준다.

簡潔하고 自然스러운 라인을 통해 優雅한 外觀과 洗練된 이탈리아 感性을 具現하고 있는 뉴 줄리아의 側面을 따라 흐르는 强烈한 라인, 歲잎 클로버를 聯想시키는 傳說的인 트레포일(trefoil) 全面 디자인은 가장 널리 알려진 알파 로메오의 스타일을 그대로 보여준다.

뉴 줄리아 콰드리폴리오(Quadrifoglio) 버전에 搭載된 알루미늄 6氣筒 터보 가솔린 엔진은 앞車軸에 걸리는 무게를 줄여주며, 알파 로메오 特有의 엔진 사운드와 함께 出力 510馬力, 靜止狀態에서 100km/h까지 3.9秒의 强力한 性能을 提供한다.

이밖에도 더블 클러치와 兩쪽 뒷바퀴로 傳達되는 動力을 別途로 制御해 주는 토크 벡터링이 適用되어 미끄러운 道路에서도 더욱 다이내믹한 走行을 즐길 수 있고, 姿勢制御裝置(stability control)와 最上의 制動 性能으로 有名한 旣存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統合한 IBS(Integrated Brake System)을 最初로 適用해 安全性을 더욱 높였다.

또한 알파 DNA(Alfa DNA) 시스템을 통해 다이내믹(Dynamic), 平時(Natural), 燃費(Advanced Efficiency), 레이싱(Racing) 等의 모드를 選擇할 수 있어 알파 로메오를 運轉하는 즐거움을 倍加시켜 준다.

뉴 줄리아는 프로펠러 샤프트, 보닛, 루프 等에 카본 파이버를 適用했고 엔진, 브레이크, 서스펜션, 도어, 윙 等 많은 部品을 알루미늄으로 製作하는 等 무게를 줄여 馬力當 3kg이 채 안 되는 最上의 動力 臺 무게比를 具現했다.

한便 알파 로메오는 1910年 6月 24日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誕生한 스포츠카 브랜드로 逆三角形 防牌 模樣의 그릴이 外觀上 特徵이다. 라인업은 小型車인 MiTo(미토)와 準中型車인 Giulietta(쥴리에타), 스포츠카 4C 等이 있다. 스포츠카 業體 페라리와는 愛憎의 關係로 페라리의 設立者 엔조 페라리(Enzo Ferrari)가 알파 로메오 레이싱 팀의 드라이버로 活動했던 經歷으로부터 始作된다.

김훈기 東亞닷컴 記者 hoon149@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