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餘震에 ‘집채 바위’ 우르르… 날마다 죽음의 恐怖와 싸워|동아일보

餘震에 ‘집채 바위’ 우르르… 날마다 죽음의 恐怖와 싸워

  • 東亞日報
  • 入力 2015年 5月 14日 03時 00分


코멘트

[잠못드는 네팔 르포]

12일 오후 네팔 고르카 주 만드레마을 주민들이 엄홍길휴먼재단의 구호물품을 받기 위해 기다리던 도중 지진이 발생해 산사태가 
일어나자 황급히 공터로 몸을 피하고 있다. 절벽에는 산사태로 발생한 뿌연 흙먼지가 선명하다. 고르카=박성진 기자 
psjin@donga.com
12日 午後 네팔 고르카 週 만드레마을 住民들이 엄홍길휴먼財團의 口號物品을 받기 위해 기다리던 途中 地震이 發生해 山沙汰가 일어나자 遑急히 空터로 몸을 避하고 있다. 絶壁에는 山沙汰로 發生한 뿌연 흙먼지가 鮮明하다. 고르카=박성진 記者 psjin@donga.com
고르카=박성진 기자
고르카=박성진 記者
12日 낮 12時 50分頃 네팔 만드레마을에서 발끝으로 振動이 傳해졌다. 깎아놓은 듯한 絶壁 사이 空터에서 悲鳴이 터져 나왔다. 쌀 콩 食用油 天幕 等 口號物品을 받으려고 기다리던 마을 住民들과 救護 活動을 하던 사람들은 一齊히 絶壁과 絶壁 사이 中間地點으로 뛰기 始作했다. 얼마 前 “아직 네팔은 餘震이 繼續되니 現場에서는 現地 사람들이 하는 대로 따라 해야만 살 수 있다”는 엄홍길 緊急救護隊醬의 注意事項이 現實이 되는 瞬間이었다.

振動이 일어난 直後 맞은便 絶壁이 무너져 내리기 始作했다. 뿌연 흙먼지 속으로 집채만 한 바윗덩어리들이 굴러 떨어졌다. 엄마의 치맛자락을 붙잡고 있던 어린 少女는 怯에 질린 듯 눈을 감았다. 口號物品을 머리에 이고 걸어가던 한 靑年은 쌀 包袋를 내동댕이쳤다. 振動이 멈추자 住民들은 오른쪽 귀를 땅에 대고 振動이 繼續되는지 살폈다. 餘震의 恐怖였다.

엄홍길휴먼財團, 大韓赤十字社와 함께 마을을 찾은 韓國人들도 처음으로 地震의 恐怖를 느꼈다. 집을 떠나 天幕 生活을 하던 만드레마을 住民들의 걱정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住民 랍락 丘陵 氏(32)는 “餘震이 언제까지 繼續될지 모르는 不安한 狀況에서 每日 죽음의 恐怖와 싸우고 있다”고 말했다. 다니던 學校가 무너져 내렸다는 수스彌陀 丘陵 量(8)은 “하루하루 죽을 수도 있다는 생각에 너무 슬퍼 잠이 오지 않는다”며 “조금이라도 異常한 낌새가 있으면 자다가도 엄마가 깨워 空터로 데리고 나간다”고 말했다.

4日 네팔에 派遣된 大韓赤十字社 ‘네팔地震 緊急醫療團’은 곳곳에 베이스캠프를 차리고 醫療支援 및 救護物品 普及에 나섰다. 하지만 大部分 山岳 地形으로 車輛 移動이 不可能한 곳이 많아 口號의 손길이 제때 미치지 못하고 있다. 道路 事情이 나은 곳은 집집마다 쌀 콩 等 口號物品이 쌓여 있었지만 山속으로 들어갈수록 救護品을 傳達하기 어려웠다.

現地에 있던 大韓赤十字社 이재승 팀長은 “많은 나라의 口號團體가 들어와 있지만 車輛이 갈 수 있는 곳에만 物品을 傳해 주는 境遇가 많다”고 말했다. 救護物資와 醫療支援도 地理的으로 가까운 곳에 集中된다는 것이다.

大韓赤十字社는 移動式 醫療支援施設을 設置해 奧地까지 直接 患者를 찾아가고 있다. 엄홍길휴먼財團도 만드레마을, 다딩 週 컬레里마을 等 奧地 마을을 찾아다니고 있다. 嚴 大將은 “카트만두 市內에서 10時間 가까이 非鋪裝 山岳道路를 달려야 到着할 수 있는 마을”이라며 “아직까지 한 番도 口號物品을 받지 못한 곳이 많다”고 말했다.

한便 이날 餘震으로 네팔에서만 最小 76名이 숨지고 2700餘 名이 다쳤다. 美軍 6名과 네팔 軍人 2名을 태운 美 海兵隊 所屬 헬기는 이날 네팔 北東部 地域에서 救護活動 途中 失踪됐다.

고르카=박성진 記者 psjin@donga.com
#집채 바위 #餘震 #네팔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