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布石, 없다… 始作, 戰鬪다… 復棋, 없었다|동아일보

布石, 없다… 始作, 戰鬪다… 復棋, 없었다

  • Array
  • 入力 2011年 11月 16日 03時 00分


코멘트

38年 맞手… 曺薰鉉-서봉수 9段
맥심커피杯서 11個月 만에 大國

영원한 맞수 조훈현 9단(왼쪽)과 서봉수 9단이 14일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 본선에서 만났다. 11개월 만에 마주한 두 기사는 361수까지 가는 혈투를 벌였다. 조 9단이 4집반을 이겼다. 타이젬 제공
永遠한 맞手 조훈현 9段(왼쪽)과 서봉수 9段이 14日 맥심커피杯 立身最强戰 本選에서 만났다. 11個月 만에 마주한 두 記事는 361手까지 가는 血鬪를 벌였다. 조 9段이 4집半을 이겼다. 타이젬 提供
바둑界에서 맞手라는 意味에 가장 걸맞은 두 記事, 조훈현 9段과 서봉수 9段이 오랜만에 바둑板 앞에 마주했다. 14日 第13回 맥심커피杯 立身最强戰 本選 大國에서다. 11個月 만이다.

1953年生 同甲인 두 사람은 1970年代 中盤에서 90年代까지 熾烈하게, 그리고 지겹도록 싸웠다. 日本에서 바둑 留學을 한 엘리트 조훈현과 獨學으로 工夫한 國內派 서봉수가 처음 對局한 것은 1973年 第1回 백남배 本選. 첫 對局은 조훈현의 勝利였다. 以後 두 사람은 國手戰 名人傳 旣往戰 王位戰 等 各種 決勝戰에서 싸우고 또 싸웠다. 이날 對局前까지 歷代 戰績은 246勝 119敗로 조 9段이 앞선다. 타이틀전만 해도 71次例나 맞붙었으나 조 9段이 57番을 이겼고, 14番 졌다. 조 9段이 이기고 또 이겼지만 어느 사이엔가 徐 9段이 다시 올라왔다.

바둑팬들은 不世出의 天才와 獨學派 된醬바둑의 싸움에 便이 갈리기도 했다. 그 결에 韓國바둑度 成長했다. 두 사람은 因緣 깊은 棋戰 타이틀에 따라 ‘朝 국수’와 ‘徐 名人’으로 불린다. 서 名人은 1971年 生涯 첫 타이틀인 名人을 따내면서 7次例 優勝했다. 兆 국수는 國手戰 55回 歷史上 16次例나 優勝했다.

歲月이 흘렀지만 14日 對局에서도 두 사람 間에는 팽팽한 緊張感이 감돌았다. 過去에는 두 記事가 主로 決勝戰에서 만났지만, 이날은 立身最强戰 24强戰에서였다. 2000年代 들어 둘 間의 對局은 뜸해졌다. 이날 對局 前까지 모두 15次例 만나 조 9段이 8勝 7敗로 앞섰다. 다만 2006年부터 3年間 徐 9段이 非公式 棋戰을 包含해 4連勝하다가 지난해부터 조 9段이 3連勝을 했다.

이날 바둑도 初盤부터 불꽃이 튀었다. 布石도 없이 下邊을 비워놓고 싸움이 始作돼 40首가 돼서야 4귀에 着點할 程度였다. 初盤 戰鬪에서는 百을 든 조 9段이 유리했다. 中盤 以後 黑이 喪變에서 勝負手를 날려 百 집에서 살면서 逆轉되는 雰圍氣였으나 막판 徐 9段의 錯覺으로 다시 逆轉됐다.

마지막 牌싸움까지 近來 보기 드물게 361手까지 이어진 긴 血鬪 끝에 計家한 結果 백 4집半 勝이었다. 조 9段은 1勝을 보태 247勝이 됐다. 두 사람은 計家가 끝나고 누구랄 것도 없이 바둑돌을 담았다. 復棋는 없었다.

15日 過去의 맞手를 評해 달라는 質問에 서 名人은 “내게는 넘어야 할 山이었고, 어떤 意味에서는 實戰스승이었다”고 했다. 兆 국수는 “타이틀전 等에서 여러 番 진 것이 바둑 工夫에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윤양섭 專門記者 lailai@donga.com   
兆-西 ‘班常의 歷史’

○ 1973年 백남배 本選서 첫 對決(조훈현 勝利) ○ 通算 大國 366次例(조훈현 247勝 119敗) ○ 타이틀전 大國 71次例(조훈현 57勝 14敗) ○ 2000年代 以後 大國 16次例(조훈현 9勝 7敗)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