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2플러스/커버스토리]‘修養느님’ 카리스마 김영철 魅力의 포인트는…이것!|동아일보

[O2플러스/커버스토리]‘修養느님’ 카리스마 김영철 魅力의 포인트는…이것!

  • 東亞日報
  • 入力 2011年 9月 23日 11時 17分


코멘트
# "殿下, 부디 지아비를 살려주십시오." 文宗의 딸 경혜공주가 叔父 首陽大君(世祖) 앞에서 무릎을 꿇고 席藁待罪 한다. 버선발에 素服차림을 하고 고개를 조아린다. "求乞하러 온 것이냐?" 首陽大君의 얼굴에는 卑劣한 微笑와 勝利感이 가득하다.

# 사랑하는 딸도 修養에게서 등을 돌렸다. 上王 端宗을 廢하고 死六臣을 찢어죽일 計劃을 세운 수양에게 딸 세령이 찾아가 銀粧刀를 꺼내들고 絶緣하겠다고 宣言한다. 수양은 "차라리 奴婢가 되라"며 咆哮한다. 피를 吐하듯 시뻘건 눈에는 눈물이 고여 있다.

KBS2 ‘공주의 남자’ 수양대군 역 김영철. KBS제공
KBS2 ‘公州의 男子’ 首陽大君 驛 김영철. KBS提供

KBS2 '公州의 男子'(以下 공남)가 視聽率 22%~23%를 記錄하며 月曜日부터 木曜日 밤 10時 黃金時間帶 미니시리즈 1位를 記錄하고 있다.

'공남'은 1453年 首陽大君(김영철)李 王位를 簒奪한 癸酉靖難을 背景으로 首陽大君 첫째 딸 세령(문채원)과 政敵 김종서 막내아들 김승유(박시후)의 이루어질 수 없는 슬픈 사랑 이야기를 담고 있다.

表面上 朝鮮版 '로미오와 줄리엣'이지만, 專門家들은 '공남' 獨走의 一等功臣으로 김영철(58)李 延期한 '야누스的 魅力'의 首陽大君을 꼽고 있다.

인터넷에선 그를 '修養느님(修養+하느님)'이라고 부른다. "김영철의 惡役 再發見"이라는 글도 視聽者 揭示板에 種種 올라온다.

'공남'의 한 場面에 金영철이 반짝이 衣裳을 입고 MBC '댄싱 위드 더 스타'에 出演한 모습을 合成한 '首陽大君의 二重生活'이라는 패러디映像도 話題가 됐다.

왜 主人公이 아닌 惡役 首陽大君이 '공남'의 一等功臣일까.

最近 史劇에서는 캐릭터를 重視하는 傾向이 짙어졌다. '善德女王' 以後 主人公이 惡의 勢力을 하나씩 해치우면서 成長하는 '미션 클리어' 形式을 띤다. 그러다보니 主人公을 刺戟하는 惡役의 重要性도 커졌다.

'善德女王'에서 멘토型 惡役 迷失(고현정)李 그랬고, '推奴'의 權謀術數의 代價 坐像(김응수)도 特有의 魅力으로 劇을 이끌어가는 中樞的인 役割을 했다.

안房을 사로잡은 그 男子, '공남' 首陽大君은 어떤 魅力이 있을까.

▶'欲望의 結晶體' 現代人 修養

專門家들은 首陽大君이라는 캐릭터가 여느 史劇 人物과는 달리 매우 現代的이라고 말한다.

現代人은 大義보다는 自身의 欲望을 위해 살아간다. '공남' 首陽大君은 王이 되고 싶다는 純粹한 自己 欲望으로 王座에 오르는 人物이다.

그는 妓生집에 들러붙어 사는 市井雜輩를 모아 癸酉靖難(이른바 '양아치 쿠데타')을 일으키고, 政敵 金宗瑞를 만나 除去하기 위해 "當身 아들이 宮女와 사귄다"고 破廉恥한 거짓말을 한다. 政敵에게 칼을 겨누는 것도 아니다. 그는 撤退(쇠몽둥이)를 들고 金宗瑞를 찾아갔다.

過去에도 '王과 비'(임동진), '韓明澮'(서인석), '파천무'(유동근) 等 首陽大君을 다룬 드라마는 많았다.

하지만 이들은 처음부터 斷種 廢位에 積極的이지 않았다. 神權과 王權의 對立 속에서 苦惱를 거듭하다 '救國의 決斷'을 내리는 模樣새를 取했다.

정덕현 大衆文化 評論家는 "요즘 視聽者에겐 大義名分이 먹히지 않는다. 率直한 理由를 꺼내야 共感을 산다"라며 "'공남'의 首陽大君은 政權을 뺏으면서도 '내가 더 政治를 잘할 수 있다'며 끊임없이 自己合理化를 한다"라고 說明했다.

윤석진 충남대 國文科 敎授(드라마 評論家)는 "修養을 바라보는 視線이 혼란스러운 것은 모든 人間이 그와 같은 欲望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首陽大君을 單純한 惡役으로 보기 보다는 또 다른 主人公으로 봐야 한다"고 主張했다.

▶'딸 바보' 修養

피로 물든 王座에 앉으면서도, 修養은 子息들에겐 "다른 뜻이 있어서가 아니라, 宗親의 설움을 너희들에게만은 물려주고 싶지 않아서"라고 理由를 댄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만큼 사랑하는 딸 세령이 김승유와의 사랑에 눈멀어 아비인 自身을 冷待할 때마다 속으로 雅麗하며 돌아선다.

約婚者 新面(송종호)李 戀人 勝遊에게 쏜 화살을 代身 맞은 세령을 보며 嗚咽한 사람도 修養이다. 딸을 끌어안고 그 얼굴을 쓰다듬으며 "내 딸을 살려야 한다"고 悲痛한 아비의 얼굴로 눈물을 흘렸다.

안혁모 iHQ 延期 아카데미 本部長은 "서슬 퍼런 修養도 딸에게 진다. '하얀巨塔'의 김명민처럼 人間的인 面貌가 說得力 있게 그려졌다"며 "父性愛 等 人間的인 面貌, 出世慾·權力慾 等 男子로서의 欲心이 어우러져 魅力的"이라고 말했다.

정덕현 氏는 "修養도 밖에선 權力을 탐하는 人物이지만, 집에 돌아오면 한 아버지다. 아버지로 보면 그를 理解 못할 게 없다"고 說明했다.

▶김영철의 야누스的인 '惡役 아우라'

김영철은 映畫 '달콤한 人生'에서 피도 눈물도 없는 組織 暴力輩 頭目이었다. KBS1 大河史劇 '太祖 王建'에선 惻隱하면서도 獵奇的인 弓裔를 延期했다.

專門家들은 그가 피의 君主이지만 子息들에게는 보통의 아버지가 되는 首陽大君 驛에 숨을 불어넣었다고 말한다.

정덕현 氏는 "그가 하는 惡役은 밉지가 않다. 한마디로 惡役 아우라가 있는 俳優"라며 "캐릭터의 複合的 시너지를 이끌어 내는 것이 演技者의 功力이다. 그가 하면 '單純한 惡黨이 아니다'라는 느낌을 준다"고 말했다. 안혁모 本部長은 "權力慾과 人間的인 面을 시소 唾棄하듯 자연스럽게 하는 演技가 一品"이라고 評價했다.

그의 演技는 다른 史劇의 惡役과도 比較된다. 오연수가 맡은 MBC 階伯의 舍宅費는 過去 고현정이 延期한 迷失을 따라한다는 느낌을 준다. 정덕현 氏는 "舍宅비의 카리스마 코드는 익숙하다. 迷失의 그림자가 커서 그런지 그만큼의 힘을 못 준다"며 "착한 役만 하던 俳優라 그런지 惡役이 語塞하다"고 말했다.

SBS '무사 백동수'에서 天主 役을 맡은 최민수는 "그 役割에 딱 맞는 옷을 입은 듯 잘 어울린다"는 評價를 받았다. 하지만 거기까지다. 過去 太王四神旗에서 보여줬던 惡役이 그대로 묻어나와 새로운 맛을 주지 못한다.

▶'공남'의 獨走='演技者+캐릭터+臺本+歷史'

'공남'의 獨走에는 首陽大君의 演技 뿐 아니라 演技者와 캐릭터, 臺本, 歷史가 잘 버무려져 氣막힌 비빔밥 같다는 評도 있다. 탄탄한 演技力을 바탕으로 癸酉靖難, 端宗 復位 運動 等 巨大談論에 子息世代의 切切한 로맨스까지 加味돼 洗練된 史劇이 나왔다는 것.

정덕현 氏는 "로미오와 줄리엣이라는 멜로가 '史劇의 틀'로 가면 더 强해진다"라며 "現代 멜로로 갔으면 그냥 갈등하고 헤어지는 程度로 끝나지만, 史劇에서는 사람이 죽고 사는 問題로 飛火돼 感情 移入이 더 쉽다"고 말했다. 안혁모 本部長은 "臺本이 세련됐다. 우리가 다 아는 歷史지만, 期待感과 好奇心을 갖고 보게 하는 힘이 있다"고 말했다.

윤석진 敎授는 "'階伯'은 英雄敍事에 머물러 답답한 兵丁놀이를 하고, '무사 백동수'는 暗殺團 黑紗초롱 等 生疏한 記錄에 치우쳐 지나치게 퓨전的"이라며 '공남'의 獨走 理由를 說明했다.

최현정 記者 phoebe@donga.com 
東亞닷컴 이슬비 記者 misty82@donga.com 

※ 오·감·만·族 O₂플러스는 동아일보가 만드는 大衆文化 專門 웹진입니다. 동아닷컴에서 만나는 吳·감·만·族 O₂플러스!(news.donga.com/O2) 스마트폰 앱으로도 만나실 수 있습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