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화성 專門記者의&joy]강릉대관령 ‘솔向길’ 걷기|東亞日報

[김화성 專門記者의&joy]강릉대관령 ‘솔向길’ 걷기

  • Array
  • 入力 2010年 1月 8日 03時 00分


코멘트

《暴雪注意報 내린 正初에

大關嶺 옛길을 오른다

記憶의 斷層들이 피워 올리는

各樣各色의 얼음 꽃

소나무 가지에서 꽃숭어리 뭉텅 베어

입속에 털어 넣는다, 貨主(火酒)…

싸아하게 김이 오르고

허파꽈리 익어 가는지 숨 멎는다 천천히

뜨거워지는 목구멍 僞裝 쓸개

十二指腸에 고여 있던 눈물이 울컹 올라온다

至毒히 뜨거워진다는 것

氷點에 到達하고 있다는 것

붉게 言 山茱萸 열매하나

발등에 툭, 떨어진다

때로 換腸할 무언가 그리워져

正말 사랑했는지 의심스러워질 적이면

氷花의 大關嶺 옛길, 아무도

오르려하지 않는 나의 길을 걷는다

<김선우의 ‘大關嶺 옛길’에서>》

솔솔 솔냄새… 대굴대굴 굴러도… 걷고 걸으리


겨울大關嶺에 오를 땐 자꾸만 목이 탄다. 눈꽃을 따먹는다. 눈 꽃잎은 입속에서 금세 匕首가 된다. 아프게 목구멍을 찌른다. 가슴속이 시려온다. 아리다. 뱃속이 뜨겁다. 눈꽃은 푸른 솔가지 끝에 매달려 파르르 떤다. 바람이 울 때마다 하얀 꽃잎들이 우르르 떼지어 난다.

大關嶺(海拔 832m)에 숫눈이 쌓였다. 寂寞江山. 아득히 멀리 펼쳐진 눈밭과 둥근 언덕들. 푸른 하늘과 하얀 丘陵의 境界線이 아슴아슴하다. 뼈만 남은 黑褐色 나무들이 秋史體처럼 꿈틀거린다. 우뚝우뚝 커다란 바람개비들이 거친 바람을 개킨다. 狂風은 언제 그랬냐는 듯 차곡차곡 둥글게 말려 켜켜로 잠을 잔다. 大關嶺바람개비들은 그렇게 電氣를 만들며 부르르! 부르르! 진저리를 친다.

江陵사람들은 大關嶺을 ‘대굴령’이라고 부른다. ‘대굴대굴 구르며’ 오르내리는 고개라는 뜻이다. 그만큼 가파르다. 넘어지고 자빠지기 일쑤였다. 江陵사람들에게 大關嶺 너머는 ‘아련한 꿈’이었다. 서울 東大門에서 江陵까지 이어지는 관동대로. 그 끝엔 漢陽都城이 있었다. 江陵사람들은 알게 모르게 漢陽 땅에 목을 맸다. 視線은 늘 大關嶺 너머를 向했다. 등 뒤의 東海바다는 性에 차지 않았다. 바다는 默默히 혼자서 놀았다. 波濤는 그 이마에 몇 겹씩 주름을 만들며 애를 태웠다.

미친 바람과 성난 波濤는 언제나 그 大關嶺 너머 漢陽으로부터 밀려왔다. 漢陽이 울면 江陵은 大聲痛哭했다. 漢陽이 웃으면 江陵은 춤추고 노래했다. 서울 사람들은 ‘東大門 밖 江陵’이라며 치켜세웠다. ‘東大門 밖으로 나와서는 江陵이 가장 살기 좋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뿐이었다. 江原觀察使 松江 鄭澈(1536∼1593)李 關東別曲에서 ‘風俗이 좋고, 忠臣 孝子 烈女가 가득하다’고 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漢陽사람의 눈으로 본 것이었다.

大關嶺 뒷덜미(平昌 쪽)附近엔 局社城隍堂이 있다. 江陵守護神 범일국사와 大關嶺山神 金庾信을 모신 祠堂이다. 범일국사는 ‘處女가 샘물을 마시고 아이를 孕胎해 열 석 달 만에 낳았다’는 新羅末 江陵 出身 高僧. 그는 847年 江陵 학산리에 掘山寺를 創建(現在 옛터만 남음)했고, 죽어선 江陵守護神이 되었다. 局社城隍堂은 太祖 李成桂와 무학대사를 모신 서울 仁王山 國師堂보다 훨씬 오래됐다. 全國 무당들이 빼놓지 않는 굿 巡禮 코스. 꽹과리 장구 징 等 굿 장단소리가 끊이지 않는다. 國師堂과 마찬가지로 使用料를 내면 누구나 굿을 할 수 있다.

유네스코 文化遺産 江陵端午祭는 陰曆 四月보름날 大關嶺山神(金庾信 祠堂)에게 祭祀를 지내고, 江陵守護神人 國史城隍神 범일국사를 山 아래 江陵으로 모셔오는 것에서 始作된다. 陰曆 五月七日 梵日國師 城隍神을 ‘다시 大關嶺으로 모셔다드리는 祭祀(送神祭)’가 끝나면 端午祭는 幕을 내린다.

그렇다. 大關嶺은 江陵사람들의 얼이요 精神이다. 大關嶺錦江소나무는 江陵사람들의 뼈다. 大關嶺高原은 江陵사람들의 살이다. 大關嶺의 억센 바람은 江陵사람들의 넋이다. 東海바다 푸른 바닷물은 江陵사람들의 맑고 뜨거운 피다.

江陵은 소나무 洞네다. 어딜 가든 소나무 天地다. 소나무도 하나같이 허리가 꼿꼿하다. 구부정한 소나무가 別로 없다. 훤칠한 貴公子 스타일이다. 구불텅구불텅 慶州王陵 소나무들과 對照的이다. 慶州王陵 소나무들은 하나같이 王陵 쪽으로 고개를 다소곳이 숙이고 있다. 소나무는 워낙 햇빛을 좋아한다. 잔디뿐인 王陵엔 다른 나무들이 거의 없어 햇볕이 잘 든다. 소나무가 그 쪽으로 머리를 向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江陵大關嶺엔 커다란 王陵이 거의 없다. 江陵 金氏 時調 溟州郡王陵 程度가 고작이다. 게다가 비뚤배뚤 자라다간 强風에 東江나기 十常이다. 위로 쭉쭉 두 팔을 벌려야 햇볕을 가장 많이 받을 수 있다.

大關嶺 一帶에는 14萬 그루의 붉은 살갗 錦江소나무가 자란다. 數百 年 된 늙은 소나무도 많다. 1530年에 세워진 江陵 심상진家屋 亭子 海雲亭(海雲亭)의 一百餘 老松들. 선교장 열화당 뒤쪽의 우렁우렁 관운장 소나무들, 강릉고 校庭의 ‘쭉쭉빵빵’ 金剛松들, 溟州郡王陵의 거북등딱지 落落長松들, 許蘭雪軒(1563∼1589) 許筠(1569∼1618) 집 附近의 浩浩蕩蕩 龍비늘 老松들, 鏡浦湖水를 둘러싸고 있는 푸른 말갈기 솔잎의 金剛松들, 강문∼江陵港(3km) 海岸 솔밭의 해맑은 파릇파릇 海松들….

‘金剛松 숲 속에서 金剛松 바라보며/금강송 숲 속에서 金剛松 冥想하며/일주일만 지냈으면!/먹지도 않고 자지도 않고/그냥 一週日만 서성거려 보았으면!/아니 허리 꼿꼿하게 直立해 보았으면!/이 몸도 金剛松이 될 수 있는지./나무 大關嶺 金剛松 菩薩님./나무 觀世音 金剛松 菩薩님’ <박희진의 ‘다시 大關嶺休養林에서’ 部分>

江陵大關嶺 숲길에선 늘 솔香氣가 솔솔 난다. 그래서 모두 ‘솔向길’이다. 江陵 솔向길 1코스를 걷는다. 옛 대관령휴게소(上行線)∼山林廳登山路 入口∼羊떼牧場∼國史盛況當∼反正∼酒幕∼下劑民願∼원우리再∼大關嶺博物館에 이르는 約 9km 길이다.

단오제 때 國史城隍神을 모시고 江陵으로 내려가는 옛길(城隍堂∼反正 1.83km+反正∼博物館 6.04km=7.87km)李 大部分을 차지한다. 옛길은 1511年 1月 朝鮮 中宗(在位 1506∼1544) 때 오솔길을 넓혀 만든 것. 나무꾼이나 소금장수들이 넘던 샛길이 普通사람들도 넘을 수 있는 큰 길이 된 것이다. 申師任堂(1504∼1551)李 어린 栗谷 李珥(1536∼1584)의 손을 잡고 넘었고, 漢陽過去 길에 나선 江陵선비들도 푸른 꿈을 안고 이 고개를 넘었다. 結局 申師任堂과 아들 栗谷은 漢陽에서 이름을 날렸고, 나란히 大韓民國 五萬 원券, 五千 원券 紙幣의 肖像畫로 남았다.

솔向길 1코스 옛길 윗部分은 反筒形이다. 圓筒을 半 자른 것처럼 ‘U字’型 길이다. 구불구불 쇠썰매 봅슬레이 홈桶競技場 같다. 黃褐色 솔잎과 나뭇잎이 버무려진 눈밭. 푹푹 빠지고 미끄럽다. 아이젠과 지팡이는 必須. 가끔 솔방울이 싸르륵 밟혀 달콤하다. 쌓인 눈가루가 다시 살아나 하루살이처럼 어지럽다. 羊떼牧場 언덕에 “잉∼잉∼” 눈들의 아우聲 가득하다. 경포호는 민물과 바닷물이 몸을 섞는 곳이다. 맹물과 짠물이 만나 萬里長城을 쌓는다. 맹물은 懇諫해지고, 짠물은 슴슴해진다. 江陵사람들은 알게 모르게 경포호를 닮았다. 모든 것을 넉넉하게 아우른다. 기쁠 때나, 슬플 때나, 경포호 한 바퀴(4.3km)를 돌며 숨을 고른다. 경포호는 江陵의 눈瞳子이다. 즐거울 땐 옹달샘이 되고, 가슴 아플 땐 눈물샘이 된다.

솔向길 4코스는 경포호를 따라 한 바퀴 도는 ‘頸布8경길’이다. 亦是 大部分 洞네 뒷동산 솔밭길이다. 막내 딸 손잡고 도란도란 걷는 길이다. 누렁이 앞세우고 ‘時느미(느릿느릿)’ 걷는 코스다. 뒷짐 지고 콧노래 부르는 길이다. 아늑하고 고즈넉하다.

바닥엔 ‘소갈비(솔가리)’가 수북이 깔렸다. 어르신들도 ‘한창 때 무릎’으로 걸을 수 있다. 김치饅頭국으로 이름난 南向막국수(033-644-1124) 같은 밥집도 만난다. 매콤하고 津한 四骨肉水 맛이 그만이다. 가끔 아무 솔밭에나 드러누워 푸른 하늘을 우러러 본다. 어디선가 하모니카 소리가 들린다. “쏴아! 쏴아!” 대숲바람 소리가 伴奏를 넣는다. 어릴 적 ‘그 눈물 없던 時節’을 떠올린다.

경포호 西쪽 마루엔 亭子 鏡浦臺가 있다. 두둥실 떠오르는 아침 해를 맞는다. 미끄덩! 西山너머로 붉은 해를 보낸다. 이윽고 눈썹달이 鏡浦臺 늙은 소나무가지에 걸린다. 달이 하나 둘…모두 다섯 個다. 나뭇가지에 걸린 달, 湖水에 어른거리는 달, 바다에 잠긴 달, 술盞 속의 달, 마주앉은 벗님네 눈 속의 달. 달기둥(月柱), 달 塔(月塔), 달 물결(月波)….

鏡浦臺 달빛을 쐬고 자란 사람들은 어디에 있건 모두 江陵사람들이다. 이들이 모여 ‘솔냄새 솔솔 나는’ 솔向길을 만들고 있다. 2011年까지 모두 8個 코스. 大關嶺 옛길, 大關嶺 等길, 鏡浦臺로 가는 길, 鏡浦8경길, 海邊길, 獻花로길, 江陵端午길, 師任堂 길이 그것이다. 申師任堂은 서른일곱(1541年)에 江陵을 떠났다. 漢陽 수진방(청진동)에 있던 詩集 살림살이를 맡기 위해서였다. 江陵엔 늙은 어머니만 홀로 남았다.

‘山 疊疊 내 故鄕 여기서 千里/꿈속에도 오로지 故鄕생각뿐/한송정 언덕 위에 외로이 뜬 달/鏡浦臺 앞에서 한바탕 바람/갈매기는 모래톱에 헤어졌다 모이고/고깃배는 바다 위를 오고 가겠지/언제쯤 江陵길 다시 밟아가/색동옷 입고 어머니 곁에서 바느질 할꼬’

<師任堂 ‘私親(思親)’에서>

김화성 記者 mars@donga.com

▼300칸 선교장… 朝鮮 詩人 學者들의 舍廊房▼


선교장(船橋莊·戰警 寫眞)엔 江陵사람들의 마음이 오롯이 배어있다. 선교장은 9萬9000㎡(藥 3萬 坪) 大地에 본채 120칸 等 總 300칸에 이르는 大邸宅. 1703年 朝鮮 英祖 때 孝寧大君의 後孫인 이내번에 依해 지어졌다. 배다리라는 뜻의 ‘宣敎’는 옛날 鏡浦湖水가 이 집 앞에까지 이어져 배를 타고 오간 데서 由來된 것.

主人은 主로 열화당(悅話堂)에서 居處하며 손님을 맞았다. 손님들은 行廊채의 23個 房에서 묵었으며 그 房들은 열화당을 빙 둘러싸고 있다. 열화당은 中國 陶淵明(365∼427)의 ‘歸去來辭’에 나오는 말로 ‘기쁘게 情談을 나누는 곳’이라는 뜻.

선교장에는 朝鮮八道의 내로라하는 詩人墨客 政治人 學者 等이 묵고 갔다. 食客들로 늘 북적였다. 선교장은 金剛山 구경 베이스캠프로 有名했다. 가기 前에 이곳에 들러 金剛山 가는 길에 對한 各種 情報를 얻었고, 돌아올 땐 이야기 褓따리와 쌓인 旅毒을 풀었다. 짧게는 一週日, 길게는 몇 달씩 묵었다. 宿食費用은 모두 空짜였고, 오는 사람 막지 않고, 가는 사람 잡지 않았다. 한마디로 오늘날의 文化舍廊房이나 같았다.

大邸宅 선교장 大門은 뜻밖에도 庶民들 집 大門처럼 素朴하다. 威壓感이 全혀 없다. 손님들이 便安하게 올 수 있도록 配慮한 것이다. 大門(月下門) 兩쪽 기둥엔 한時가 붙어 있다. ‘새는 蓮못가 나무에서 잠들고, 한밤 나그네는 이 門을 두드린다(鳥宿池邊樹 僧鼓月下門)’. 疲困한 길손은 그 누구든 괜찮으니 들어와 쉬었다 가라는 뜻이다.

선교장 全州 李氏 家門은 萬石꾼이었지만 代代로 베풀었다. ‘베풀지 않으면 하늘이 베풀 때가 올 것이고, 그때는 큰 災難을 면치 못할 것’이라는 게 선교장의 精神. 그래서일까. 1894年 東學革命 때도 선교장은 아무런 頉이 없었다.

|트레킹 情報|

◇交通 ▽乘用車=서울∼嶺東高速道路∼중앙고속도로∼진부∼江陵 ▽高速버스=서울 江南高速버스터미널, 東서울터미널 江陵行 ▽飛行機=서울 金浦國際空港∼襄陽國際空港

◇먹을거리 △초당(草堂)순豆腐는 江陵의 代表的인 名物. 草堂은 風雲兒 許筠(1569∼1618)의 아버지 許曄(1517∼1580)의 號. 許曄이 江陵府使 時節 아이디어를 내 ‘바닷물을 간水로 써서 만든 순豆腐’가 초당巡豆腐다. 天日鹽은 東海바다에선 나지 않아 貴했기 때문이다. 그만큼 간수 鹽度가 낮아 맛이 슴슴하고 부드럽다. 許曄 一家가 살았던 草堂洞엔 數十 個의 순豆腐집이 있다. 土담순豆腐(033-652-0336), 動畫가든순豆腐(033-652-9885), 古阜순豆腐(033-653-7271), 400年집超黨순豆腐(033-644-3516). △물膾국수도 一品이다. 펄펄 뛰는 生鮮을 卽時 膾쳐서 먹는 것이 물膾. 양념이 잘 스며들어 膾가 붉은 기운을 띠었을 때 먹어야 맛있다. 국수를 넣고 마지막에 밥까지 비벼 먹으면 꿀맛. 우럭 미역국으로 매운 입맛을 다독여 주는 것도 잊지 말 것. 물膾국수專門(옛城度膾집 033-653-7745).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