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南道에 숨은 藝術魂을 건지세요… 全南 珍島 운림산방 土曜競賣|東亞日報

南道에 숨은 藝術魂을 건지세요… 全南 珍島 운림산방 土曜競賣

  • 入力 2007年 5月 21日 03時 05分


코멘트
전남 진도 ‘운림산방’에서 19일 열린 ‘남도예술은행 토요경매’. 토요일마다 열리는 이 경매에는 한국화 문인화 서예 등 한국 전통을 담은 작품이 30점씩 나온다. 진도=허엽  기자
全南 珍島 ‘운림산방’에서 19日 열린 ‘南道藝術銀行 土曜競賣’. 土曜日마다 열리는 이 競賣에는 韓國畫 文人畫 書藝 等 韓國 傳統을 담은 作品이 30點씩 나온다. 珍島=許曄 記者
《“아∼리 아리랑, 스리 스리랑 아라∼理가 났네∼.”

全南道立國樂團의 임서연 氏가 ‘珍島 아리랑’을 한가락 뽑았다.

곧 全南道廳 文化藝術과 서선숙 氏의 進行으로 競賣價 이어졌다.

여러 作品이 繼續 流札되는가 싶더니 28萬 원에 始作한 양홍길 氏의 作品이 두 次例 競合 끝에 32萬 원에 落札됐다.

커다란 ‘징’ 소리가 落札을 알린다.》

全南 珍島郡 첨찰산의 품 안에 안겨 있는 운림산방(雲林山房)에서 19日 열린 第41回 ‘南道藝術銀行 土曜競賣’ 現場. 운림산방은 小癡 허련(小癡 許鍊)李 末年에 居處하던 畫室의 堂號로 男종 文人畫의 胎室이다. 小癡의 墨香이 가시지 않은 草家와 小癡의 藝術魂을 적셔 주던 蓮못(誤審千)李 文人畫的 雰圍氣를 생생하게 빚어낸다. 誤審천은 朝鮮 士大夫家의 戀愛談을 그린 映畫 ‘스캔들’을 찍었던 곳이기도 하다.

‘南道藝術銀行 土曜競賣’는 全南道廳이 韓國化 文人畫 書藝 部門 地域 作家들의 作品 30點을 每週 土曜日 競賣에 올리는 行事다.

全南道는 2005年 10月 ‘南道藝術銀行’을 設立해 作品을 購入한 뒤 30∼40% 割引해 競賣를 始作한다. 지난해까지 1億7000萬 원을 들여 568點을 購入했으며, 올해에는 年末까지 3億 원을 더 投資할 計劃.

이날 競賣에는 40餘 名이 參加했다. 大部分 專門 컬렉터가 아니라 觀光客이고, 作品 價格도 大部分 40萬 원 안팎이다. 競賣에 나온 作品들은 木浦 儒達山 等 全南의 風光을 담은 水墨畫, 文字香書卷氣(文字香書卷氣)를 傳하는 文人畫, 韓國畫의 境界를 넓히려는 實驗作 等 다양했다.

落札된 作品은 8點으로 總額은 270萬 원. 數十億 원이 오가는 서울의 옥션에 비할 바 못 되지만, 그래서 韓國 傳統 藝術의 脈을 이어 가는 ‘場터 風景’은 더 운림산방의 情趣와 잘 어울렸다.

정경호 氏의 ‘月出山 五月’을 37萬 원에 산 손길자(63·京畿 성남시 분당구) 氏는 “惡山으로 알려진 月出山의 雄壯한 姿態가 마음에 들었다”며 “隱退한 뒤 進度에 자주 오는데 이곳 競賣는 ‘眞品’임을 믿을 수 있는 데다 價格이 低廉해 널리 알리고 싶다”고 말했다.

조규재(26·京畿 水原市 八達區) 氏는 박인희 氏의 ‘老松’을 21萬 원에 購入했다. 그는 “震度 ‘神祕의 바닷길 祝祭’에 왔다가 偶然히 參加했다”며 “그림을 蒐集하시는 아버님 膳物로 安城맞춤”이라고 말했다.

木浦大 大學院에서 經營學을 專攻하는 정성봉(28) 氏는 美術品 競賣의 投資價値를 내다보는 境遇. 그는 “親舊들과 자주 찾아와 投資 次元에서 作品을 購入한다”고 말했다. 그는 김용욱 氏의 ‘마음이 머무는 곳에’를 41萬 원에 購入했고, 競賣가 끝난 뒤 다시 박대용 氏의 作品을 한 點 더 購入했다. 珍島 出身 小說家인 곽의진 氏는 박득규 氏의 ‘봄’에 對해 “내가 사는 곳과 너무 닮아 갖고 싶다”며 作品을 두 番이나 다시 보았다.

하경남 文化藝術課長은 “平素 서너 店밖에 안 나가는 데 비해 오늘은 많이 落札된 便”이라며 “한 사람이 參加하더라도 競賣를 繼續해 이곳을 韓國化 競賣의 트레이드마크로 만들 計劃”이라고 말했다.

珍島=許曄 記者 he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