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橫說竪說]전진우/河回탈춤과 엘리자베스女王|東亞日報

[橫說竪說]전진우/河回탈춤과 엘리자베스女王

  • 入力 1999年 4月 20日 19時 29分


安東 하회마을 하면 떠오르는 하회別神굿탈놀이‘白丁마당’의 한토막. 소를 잡은 白丁이 兩班과 선비를 戱弄한다.

“보소 샌님들 염통 사소, 염통요. …아무도 안 사니껴? 그라만(그러면) 염통 사먹지 말고 쓸개나 염통 없는 兩班들 사서 넣어보소. 사람 것보다 훨씬 커서 誤줄(五臟六腑) 없는 兩班들 誤줄 생기고, 廉恥 없는 兩班 廉恥 생기니더. 여 있는 兩班들 다 五臟 쓸개가 바로 백힌 兩班들인 模樣인데, 者 그라만 염통 사먹지 말고 牛囊 사소, 牛囊요. 牛囊 모르니껴. 소불알 말이시더. …늙은 兩班 마느래(마누라) 둘씩 데리고 사는데는 이 소불알 아이고는 안 될께시더. 아따 남의 눈치는 머할라꼬 보니껴….”

▽安東은 退溪 李滉(退溪 李滉)先生과 西厓 柳成龍(西厓 柳成龍)先生의 고명(高名)으로 象徵되는 傳統的 兩班 儒敎 마을. 班常(班常)李 有別하던 朝鮮時代에 그곳 하회마을에서 賤民 中 賤民으로 取扱받던 白丁이 쏟아내는 걸쭉한 입담은 諷刺와 諧謔을 넘어 階級社會를 共存케 하는 破格이요, 넉넉함이자 멋이 아니었을까.

▽굿과 탈춤을 통해 常民은 兩班에 쌓인 疏外感과 怨(寃)을 풀고, 兩班은 脫衣 匿名性을 媒介로 常民에 對한 統制를 살짝 늦추어줌으로써 共同體를 圓滿하게 維持해나갈 수 있었을 터이다. 그리고 그것이야말로 5百年 朝鮮歷史를 可能케한 참다운 兩班文化의 一面이기도 하다.

▽下廻(河回)의 우리 이름은 물돌이桐. 洛東江물이 마을을 휘감고 나간다고 해서 그렇게 부른다고 하는데, 에돌아나가는 江물처럼 悠久한 歲月속에서도 하회마을은 우리 文化의 옛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해왔다. 그곳 하회마을에서 英國 엘리자베스2世 女王이 오늘 73回 生日床을 받는다고 한다. 이 또한 東西를 가로넘는 破格의 美學이 아닌가.

전진우 <논설위원>youngji@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