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노보드 皇帝’ 숀 화이트 “내 方式으로 隱退 할 수 있어 기뻐”|동아일보

‘스노보드 皇帝’ 숀 화이트 “내 方式으로 隱退 할 수 있어 기뻐”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2月 22日 14時 56分


코멘트

“언젠가는 하프파이브 말고 다른 種目을 보러 올림픽에 오겠다(웃음).”

‘스노보드 皇帝’ 숀 화이트(36·美國)가 隱退 所感을 밝혔다. 스노보드 하프파이프 種目에서 3次例 올림픽 金메달을 獲得한 그는 2022 베이징 겨울올림픽 閉會 이틀 뒤인 22日 畫像으로 열린 오메가 앰배서더 인터뷰를 통해 向後 計劃 等을 밝혔다.

올림픽에 앞서 隱退를 豫告한 화이트는 11日 中國 장자커우 켄팅 스노우파크에서 열린 스노보드 男子 하프파이프 決選 2次 試技에서 85.00으로 4位에 올랐다. 세 次例의 試圖 中 가장 좋은 點數로 順位를 매기는데, 마지막 3次 時期에서는 미끄러져 좋은 點數를 받지 못했고(14.75점), 2次 時期 點數가 그의 마지막 成績表로 남았다. 마지막 試圖가 虛無하게 끝난 뒤 고글을 벗고 妙한 表情을 지었던 그는 팬들을 向해 손을 들었다.


이날 日本의 히라노 아유무(24·일본)가 96.00으로 金메달을, 濠洲의 스코티 제임스(28)가 92.50點으로 銀메달을, 스위스의 얀 셰러(28)가 87.25點으로 銅메달을 獲得했다. ‘화이트 키즈’이자 화이트를 憧憬하며 스노보드를 탔던 이들은 화이트에게 다가가 그의 마지막을 禮遇했다.

이날 ‘라스트 댄스’에 對해 화이트는 “즐겁게 豫選을 치렀고 負擔感, 緊張感이 있었지만 잘 克服해 決選에도 올랐다. 選手로 恒常 더 좋은 成跡을 내길 바라겠지만 나의 方式으로 告別을 할 수 있어 正말 기뻤다”고 말했다. 덧붙여 “美國에서 오랜 時間 내가 唯一하게 스노보드를 代表하는 選手로 여겨졌는데 이제 世界 다양한 나라에서 좋은 選手들이 나오고 있다. 스노보드의 人氣가 앞으로 더 많아질 것 같다”고 말했다.



화이트가 이 種目 마지막 올림픽 金메달을 목에 건 2018年 平昌 大會 當時 그의 팬이던 한 手製 버거 가게 社長이 화이트를 위한 스페셜 메뉴를 내놓아 話題를 모았다. 消息을 들은 화이트度 이곳을 찾았다. 화이트는 “그동안 딴 金메달 2個를 意味하는 패티 2張이 있었다. 平昌 올림픽에서 金메달을 따면 패티를 1張 더 追加하겠다는 說明이 있었기에 金메달을 따고 다시 그곳을 갔는데 主人이 너무 기쁜 나머지 눈물을 흘렸다. 팬과 함께 할 수 있어 기쁜 時間이었다”며 當時를 回想하며 웃었다.

이番 올림픽 때는 新種 코로나 바이러스 感染症(코로나19)李 氣勝을 부려 競技場 밖에서 薰薰한 모습을 못 보게 돼 아쉬웠겠다는 質問에 “只今 우리가 할 수 있는 것들을 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幸福하다는 敎訓을 코로나19 팬데믹 以後 얻었기에 괜찮았다”고 말했다.


皇帝, 傳說로 불리고 있는 화이트는 “하프파이프가 처음에는 只今처럼 人氣가 없었다. 내가 그 認識을 바꿔놓은 選手로 記憶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隱退라는 單語가 조금 무서운 말이기는 하다. 하지만 解放感도 준다. 隱退를 해도 이 種目에서 많은 役割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화이트 스페이스’라는 個人 會社를 運營할 計劃이다. 經營人, 그리고 公認이 아닌 個人으로서의 삶이 期待된다”고 말했다.


김배중 記者wanted@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