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밥審 불끈’ 장미란…태릉選手村서 ‘살찌우기 食單’|東亞日報

‘밥審 불끈’ 장미란…태릉選手村서 ‘살찌우기 食單’

  • 入力 2008年 8月 18日 08時 27分


한 달 前 서울 蘆原區 공릉동 태릉選手村 內 食堂. 한 덩치 큰 女性이 가녀린 親舊들과 함께 한창 食事中 이었다. 그의 食卓은 山海珍味로 가득했다. 불고기 돈가스 오징어볶음 삼치구이 等…. 食板에 또 다른 飮食들을 한가득 쌓아 놓았다. 그女는 천천히 飮食을 입에 넣은 뒤 씹고 또 씹었다.

女子 力道 國家代表팀 장미란(25)은 태릉選手村에서 食事量이 가장 많은 人物로 꼽힌다. 아침 點心 저녁은 勿論 間食과 夜食도 빼놓지 않는 大食家다.

우람한 몸매만큼 많은 飮食을 먹는 그이지만 食事하는 模樣새가 그리 맛있어 보이지는 않았다. 理由는 이렇다.

“좀 더 무거운 重量을 들려면 몸무게를 늘려야 해요. 먹기 싫어도 억지로 먹어야 힘이 붙죠.”

장미란이 베이징 올림픽에 나설 때의 몸무게는 116.75kg. 2004 아테네 올림픽 銀메달을 차지했을 때의 110kg보다 7kg 가까이 體重을 불렸다.

그 結果 16日 베이징 올림픽 女子 力道 75kg 以上級에서 引上(140kg) 聳上(186kg) 合計(326kg)에서 모두 다섯 次例 世界新記錄을 세우며 金메달을 목에 걸었다. 태릉選手村에서 ‘밥審’으로 찌운 살이 金메달로 이어진 셈이다.

여기에 體育科學硏究院(KISS)의 공도 빼놓을 수 없다. 장미란의 몸을 科學的으로 分析해 最高의 女子 歷史(力士)로 만들어냈다.

장미란은 바벨을 들어올릴 때 오른발이 뒤로 빠지는 버릇이 있었다. 바벨을 들어올린 兩 팔中 왼쪽 팔이 낮았다. 原因은 中學校 때 交通事故로 다친 오른쪽 무릎에 있었다.

KISS는 장미란의 이런 問題點을 發見하고 左右 筋力이 均衡을 이루는 訓鍊을 통해 體型 矯正 作業을 했다.

뒷굽이 나무로 된 신발도 장미란의 記錄 更新에 한몫을 했다. 딱딱한 나무 뒷굽은 장미란이 바벨을 들어 머리 위로 끌어올릴 때까지 몸의 均衡을 도왔다.

베이징=特別取材團

[關聯記事]S라인보다 偉大한 ‘G(Gold)라인’…NYT “아름다운 챔피언의 몸매”

[關聯記事]金메달은 佛巖山 山神靈의 점지?

[關聯記事]“186㎏ 바벨을 장난감처럼 들었다”…외신 ‘世界에서 가장 剛한 女人’

[關聯記事]世界的 스타로 ‘드림팀’ 꾸린다…역도연맹, 專擔팀 構成키로

[畫報]世界를 들어올린 韓國 力道 장미란, 感動의 瞬間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