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國의 食卓매너] 乾杯의 첫 술盞 원샷해야 띵호아!|東亞日報

[中國의 食卓매너] 乾杯의 첫 술盞 원샷해야 띵호아!

  • 入力 2008年 8月 7日 08時 25分


‘네 발 달린 것은 冊床 빼고 다 먹는다’는 中國人들.

中國料理는 프랑스料理와 함께 世界 2代 料理로 꼽힐 程度로 맛과 種類에서 他國의 追從을 不許한다. 中國人들만큼 ‘먹는 일’에 執着하는 人種도 찾아보기 어렵다.

옛 中國人들은 ‘뱃속金庫’를 選好했다. 金庫에 넣어둔 돈은 도둑맞을 수 있고, 집은 불에 타 사라질 수 있지만 ‘뱃속’에 넣어둔 ‘돈’은 누구도 손을 댈 수 없다는 論理였다.

實用主義的 意識이 剛한 中國人들의 性向은 食卓에서도 如實히 드러난다.맛있는 飮食을 두고 煩雜하게 구는 일을 좋아하지 않는다. 中國食卓에서는 그저 맛있게 먹어주는 것이 最高의 매너다.

그렇다고는 해도 지켜야 할 매너가 아주 없는 것은 아니다. 혼자서 하는 食事가 아닌 以上 다른 사람이 ‘맛있게 먹는 일’을 妨害하는 것은 곤란하다. 우리나라와 다른 中國人들만의 獨特한 食卓 매너는 特히 注意해야 한다. 어떤 것들이 있을까?

● 술을 마실 때…相對方 盞 비지 않게, 添盞은 굿 매너

손님이 자리에 앉으면 主人이 모두의 盞에 술을 따라준다. 이 盞으로 乾杯를 하면 된다.

乾杯는 盞을 두 손으로 들고 눈높이까지 올린 뒤 마신다. ‘間뻬이’를 외쳤다면 ‘원샷’이 基本이다.

술을 마신 뒤에는 盞의 밑바닥을 相對에게 보이는 제스처를 한다. ‘원샷’에 自信이 없다면 ‘間뻬이’ 代身 ‘쓰으이(隨意)’ 하며 술을 조금만 마시고 남기면 된다.

더 마시고 싶지 않을 境遇 다른 사람이 술을 따르려 할 때 盞 위에 손을 얹는 動作을 한다. 그만 마시겠다는 뜻이다.

韓國式 主導와 달리 中國人들은 添盞이 基本이다. 相對方의 盞이 비지 않도록 隨時로 술을 따라주는 것이 좋은 매너다. 中國人들은 ‘韓國人은 술이 세다’라는 先入見을 갖고 있는 境遇가 많다.

따라준다고 족족 마시다가는 狼狽를 볼 수 있다.

● 테이블에서…대화에 빠져 料理 식혀 버리면 缺禮

中國料理는 빙글빙글 돌아가는 턴테이블에 차려지는 境遇가 많다. 韓國에서는 없는 食卓 꼴이므로 若干의 注意가 必要하다. 中國人들은 食事를 하면서 對話를 즐긴다. 그러나 對話에 푹 빠져 料理를 식혀버리거나 自身 앞에 料理를 오래 두고 있는 것은 缺禮다. 먹지 않더라도 가끔씩 테이블을 돌려주자. 테이블 回轉은 時計方向이 原則이다.

한 番에 많은 飮食을 덜기 보다는 여러 番에 걸쳐 조금씩 덜어 먹는 것이 보기에도 좋다.중국요리 中에는 材料의 正體性이 模糊한 것들이 많다. 다른 사람에게 料理에 對해 물어보는 것은 缺禮가 아니다.

自身의 앞에 料理가 돌아왔을 때 韓國式으로 옆 사람에게 ‘먼저 드십시오’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큰 접시에서 飮食을 덜 때 自身의 젓가락을 使用하는 것은 無妨하다. 모두가 함께 쓰는 테이블 위에 個人접시나 술盞, 재떨이 等을 올려놓아서는 안 된다.

● 食事를 할때…밥그릇 두個 쓰면 ‘두집살림’ 誤解

숟가락은 湯이나 국을 먹을 때만 使用한다. 밥을 먹을 때는 젓가락을 써야 한다. 湯을 먹은 뒤에는 반드시 숟가락을 뒤집어 놓을 것.

使用한 수저를 다른 사람에게 보이는 것은 禮儀에 어긋난다. 밥이나 湯국을 먹을 때는 그릇을 들고 먹는다. 中國人들은 우리나라처럼 고개를 푹 숙이고 먹는 것을 돼지의 食事라고 여기는 傾向이 있다. 재미있는 것은 밥그릇은 하나만을 使用한다는 點. 特히 女性과 食事할 때는 注意해야 한다. 두 個의 밥그릇은 두 집 살림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수저로 빈 밥그릇을 두드리는 일은 絶對 避할 것. 韓國이나 中國이나 거지가 밥 빌어먹을 때 하는 行爲이다. 먹다 남은 뼈나 가시 等을 테이블 위에 올려놓는 것銀中國에선 缺禮가 아니다.

양형모 記者 ranbi@donga.com

[關聯記事]中言論統制, 올림픽 時限爆彈…記者 毆打 當한 日,反中感情 擴散

[關聯記事]올림픽을 마지막 ‘한탕’의 舞臺로…티켓 詐欺主犯은 英國人 셰퍼드?

[關聯記事]돈냄새 물씬…올림픽은 純粹한가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