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3最强 쿠바를 깼다!|동아일보

15-3最强 쿠바를 깼다!

  • 入力 2008年 8月 7日 08時 08分


17安打 爆發 ‘콜드게임’級 大勝…김경문號 베이징 메달 화끈한 리허설

쿠바가 韓國인지, 韓國이 쿠바인지 눈을 疑心해야했다.

韓國이 아마추어 世界 最强으로 불리는 쿠바를 擊沈시켰다. 評價戰이 아닌 올림픽이었다면 콜드게임人 15-3의 大勝이었다. 成人代表팀間 競技에서 韓國野球 史上 4番째 쿠바戰 勝利였다. 또한 90年 世界選手權에서 1-26이라는 恥辱的인 敗北를 當하는 等 過去 숱하게 쿠바에 콜드게임으로 무릎을 꿇었던 韓國이 처음으로 그 受侮를 되갚았다.

韓國은 6日 잠실구장에서 열린 쿠바와의 2次 評價戰에서 選拔 봉중근의 力投와 홈런 2房을 包含한 長短 17安打를 效果的으로 묶어 15-3의 大勝을 거두고 前날의 2-6 敗北를 雪辱했다.

1回 始作하자마자 김동주의 2打點짜리 坐月 2壘打로 機先을 잡은 韓國은 2回와 8回를 除外하고 매이닝 點數를 뽑아냈다. 5-0으로 앞선 5回初 고영민의 仲月 2點홈런으로 勝負에 쐐기를 박았고, 13-1으로 앞선 7回에는 정근우의 左側 폴을 맞는 2點홈런으로 得點파티의 大尾를 裝飾했다.

先發投手 봉중근은 4이닝 동안 4安打 無失點으로 쿠바打線을 잠재웠다. 아웃카운트 12個 中 三振만 無慮 7個. 4回에는 氣막힌 1壘 牽制로 走者를 솎아내기도 했다.

쿠바는 野球가 올림픽 正式種目으로 採擇된 92바르셀로나올림픽부터 2004아테네올림픽까지 4回 모두 出戰, 2000시드니올림픽 銀메달을 除外하고 3次例나 金메달을 獲得한 最强팀이다.

韓國은 過去 쿠바 콤플렉스에 시달렸다. 76年 12月 콜롬비아 카르타헤나에서 열린 世界選手權大會에서 史上 처음 쿠바와 激突, 1-13으로 完敗했다.

78年 이탈리아 世界選手權에서는 0-11 콜드게임牌, 83年 벨기에 大陸間컵에서 홈런 6放 包含, 24安打를 두들겨 맞으며 2-17로 慘敗했다. 90年代에 들어와서도 93年 이탈리아 大陸間컵 豫選 0-11 7回 콜드게임牌 等 쿠바를 相對로 한자릿數 失點은 차라리 宣傳이었다.

韓國은 그동안 쿠바를 3次例 이겼다. 史上 첫 쿠바戰 勝利는 78年 第10回 네덜란드 할렘國際大會. 김응룡 監督이 이끈 代表팀은 더블리그로 펼쳐진 이 大會에서 8月 14日 김시진-최동원의 繼投로 6-3으로 이겼다. 8月 19日에는 0-2로 뒤진 4回부터 登板한 박철순이 無失點 力投로 막고, 김봉연 박해종의 홈런砲를 앞세워 4-2로 逆轉勝했다.

그러나 할렘大會 以後 成人代表팀은 90年代 後半까지 20連霸를 當했다. 韓國이 다시 쿠바를 꺾은 것은 97年 日本 오사카에서 열린 애틀랜타올림픽 記念 4個國 親善大會 1次리그. 9回末 장교성의 끝내기 희생플라이로 6-5 짜릿한 勝利를 거뒀다. 그러나 곧이어 고베에서 열린 3次리그에서 1-7로 敗했다.

프로選手가 參加한 2000年 以後에도 韓國은 이날 競技 勝利 前까지 國際大會에서 8戰全敗를 當하고 있었다. 올림픽에서는 96애틀랜타, 2000시드니에서 2番 만나 모두 敗했다.

世界를 號令하던 쿠바가 이처럼 큰 點數差로 진 적이 있을까. 韓國은 强力한 金메달 候補인 쿠바를 꺾음으로써 金메달도 挑戰하지 못할 高地가 아니라는 自信感을 얻었다.

蠶室= 理財局記者 keystone@donga.com

[畫報]올림픽野球 韓國vs쿠바 親善競技 2次戰 생생畫報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