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쓸쓸한 지단의 뒷모습…토고戰 못뛴채 隱退 可能性|東亞日報

쓸쓸한 지단의 뒷모습…토고戰 못뛴채 隱退 可能性

  • 入力 2006年 6月 20日 03時 01分


코멘트
이제 더는 그의 優雅한 ‘마르세유 턴(360도 回轉)’은 볼 수 없을지도 모른다. 드리블을 하다가 相對 守備手 앞에서 빙그르 몸을 돌리는 技術은 全盛期 時節 지네딘 지단(34)의 專賣特許였다.

그뿐만 아니다. 송곳처럼 찔러주는 前進 패스, 守備壁의 빈틈을 파고드는 正確한 오른발 프리킥, 한 템포 빠른 中距離 슛, 電光石火 같은 헤딩슛 等 지단은 못하는 것이 없다. 19日 韓國戰에서 지단은 競技 내내 多少 지친 모습이었지만 後半 40分 티에리 앙리에게 奇襲的인 패스를 넣어 주며 녹슬지 않은 感覺을 誇示했다. 그러나 그것으로 끝이었다.


▼Active Center▼
스위스 토고 擊破…A·B組 마지막 競技
光化門 거리應援 뒷끝 쓰레기·交通 大亂 없었다
地獄에서 天國으로…재기발랄 붉은악마 表情
奇跡의 同點골! 光化門은 狂亂의 도가니
월드컵 H組 豫選 스페인-튀니지
월드컵 H組 豫選 사우디아라비아-우크라이나
월드컵 G組 豫選 스위스-토고
韓國 vs 프랑스 主要 場面
브라질 vs 濠洲 主要 場面
월드컵 G組 豫選 大韓民國-프랑스
월드컵 F組 豫選 브라질-濠洲
월드컵 F組 豫選 日本-크로아티아
이탈리아 vs 美國 主要 場面
가나 vs 체코 主要 場面
포르투갈 vs 이란 主要 場面

어쩌면 이 競技가 지단의 모습을 그라운드에서 볼 수 있는 마지막 競技일지도 모른다. 이날 지단은 後半 41分 韓國 페널티 地域 近處에서 警告를 받았다. 14日 스위스戰에 이어 이番 大會 두 番째 警告를 받은 지단은 다음 競技인 24日 토고展 出張이 不可能하다.

프랑스가 토고戰에서도 勝利하지 못하면 16强 進出은 挫折된다. 지단은 이番 월드컵을 끝으로 프랑스 代表팀과 所屬팀 레알 마드리드에서 隱退한다고 宣言했다. 이 때문에 프랑스가 組別 리그에서 탈락하면 지단은 이제 出場할 機會가 없다.

中原을 號令해 온 指揮官 지단이 이날 보여준 마지막 모습은 그리 좋아 보이지 않았다. 지단은 後半 46分 다비드 트레제게와 交替돼 나가면서 不滿 가득한 表情을 지었다. 레몽 도메네크 監督과 눈도 마주치지 않고 벤치로 向했고, 손목에 차고 있던 밴드를 神經質的으로 집어던지기도 했다.

마침 토고前이 열리는 24日(現地 時間 23日)은 지단의 生日이다. 지단은 늘 競技場에서 ‘레 블뢰(파란色 軍團)’의 同僚들을 이끌어 왔지만 이제 어쩌면 自身의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는 景氣를, 그것도 生日에 벤치에서 지켜봐야 할 身世가 됐다.

주성원 記者 swon@donga.com

2006 獨逸월드컵 스페인 vs 튀니지
2006 獨逸월드컵 사우디아라비아 vs 우크라이나
2006 獨逸월드컵 스위스 vs 토고
2006 獨逸월드컵 大韓民國 vs 프랑스
2006 獨逸월드컵 브라질 vs 濠洲
2006 獨逸월드컵 日本 vs 크로아티아

光化門에 雲集한 15萬名의 12番째 太極戰士들
‘太極好意 心臟’ 박지성 千金같은 同點골 瞬間
프랑스戰 異色 패션-페이스 페인팅
韓國-프랑스 異色 應援 생생畫報
프랑스 應援團 막판 ‘茫然自失’
韓國 vs 프랑스戰 길거리 應援 생생 現場
決戰을 앞둔 라이프치히 現地 場外 應援戰
라이프치히에도 우리가 왔다
地球村 獵奇潑剌 蹴球應援 생생畫報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