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눈 앞에 닥친 氣候災殃… 是是非非(是是非非) 가릴 때 아니다[기고/최재천]|동아일보

눈 앞에 닥친 氣候災殃… 是是非非(是是非非) 가릴 때 아니다[기고/최재천]

  • 東亞日報
  • 入力 2024年 5月 7日 03時 00分


코멘트

CCPP 氣候環境 寫眞 프로젝트-컨페션 套 디 어스
9月 8日까지 忠武아트센터 갤러리 新黨에서 展示
최재천 敎授 “寫眞展 觀覽한 모든 가슴 뜨거워지길”


최재천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교수, 생명다양성재단 이사장. 중구문화재단 제공
최재천 梨花女大 에코科學部 敎授, 生命多樣性財團 理事長. 中區文化財團 提供
“世上에서 가장 먼 距離는 머리에서 가슴까지”라는 西洋 俗談이 있다. 實際로는 기껏해야 한 者, 卽 30㎝도 안 되는 距離이건만 認識과 行動 間에는 엄청난 間隙이 가로막고 있다. 氣候變化의 眞僞를 두고 論爭을 벌이던 時節이 있었지만, 이제는 이 地球 行星에 사는 그 누구도 曰可曰否하지 않는다. 每日 每 瞬間 일찍이 經驗해 보지 못한 以上 氣候의 느낌을 皮膚로 느끼며 살기 때문이다.

‘CCPP 기후환경 사진 프로젝트-컨페션 투 디 어스(Confession to the Earth) 포스터. 중구문화재단 제공
‘CCPP 氣候環境 寫眞 프로젝트-컨페션 套 디 어스(Confession to the Earth) 포스터. 中區文化財團 提供
氣候가 예전 같지 않다는 認識은 確固해졌다. 이제는 遲滯 없이 行動으로 옮겨야 한다. 이럴까 저럴까 머리를 굴릴 때가 아니라 가슴이 뜨거워져야 할 때가 되었다. 보다 많은 사람들의 가슴을 움직이는 데 寫眞만큼 좋은 媒體가 또 있을까 싶다. 寫眞 이미지는 分明 우리 눈을 통해 들어오는데 바로 곁에 있는 頭腦를 움직이기보다는 한참 아래 있는 가슴을 뒤흔든다. ‘CCPP 氣候環境 寫眞 프로젝트-컨페션 套 디 어스(Confession to the Earth)’에서 만나는 寫眞들은 한결같이 하릴없이 無禮하게 우리 가슴 속으로 파고든다.

世界的인 動物行動學者이자 環境運動家인 제인 구달 博士는 해마다 300日이 넘도록 飛行機를 타고 80個國 以上을 巡訪하며 希望을 傳導한다. 2011年 처음 우리말로 飜譯되었다가 2023年 새로 飜譯되어 나온 <希望의 理由>를 始作으로 하여 <希望의 自然>, <希望의 밥床>, <希望의 씨앗>, 그리고 2023年에 나온 <希望의 冊>에 이르기까지 쉼 없이 希望을 傳播한다.

몇 年 前 함박눈이 포근하게 내리던 크리스마스 이브에 先生님이 ‘네 個의 촛불’이라는 파워포인트 資料를 添附한 이메일 年賀狀을 보내주셨다. 于先 平和(peace)의 촛불이 이제 아무도 自己를 지켜주지 않는다며 힘없이 스러지더니, 믿음(faith)의 촛불도 사람들이 예전만큼 믿음을 重要하게 여기지 않는다며 쓸쓸히 사라지고 이윽고 사랑(love)의 촛불마저 꺼져버린 어두운 房 안으로 한 아이가 들어온다. 永遠히 함께 타기로 約束했던 네 個의 촛불 中 이미 세 個가 꺼져버린 걸 보고 눈물을 흘리는 아이에게 마지막 촛불이 이렇게 말한다. “걱정하지 마라. 내가 타고 있는 한 우리는 언제든 다른 촛불에 새로이 불을 밝힐 수 있단다. 나는 希望(hope)의 촛불이니까.”

氣候變化로는 모자라 氣候 危機라는 表現을 쓰면서 우리는 只今 未來 世代에게 希望보다는 絶望과 無氣力感을 안겨주고 있다. 우리가 저지른 일이니, 우리가 解決해야 한다. ‘氣候變化에 關한 政府間 패널(IPCC)’은 2023年 第6次 報告書에서 氣候 危機의 災殃을 되돌릴 時間이 30個月밖에 남지 않았다고 警告했다. 티격태격 어영부영 時間을 浪費할 수 없다. 只今 當場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일에 着手해야 한다.

이 프로젝트는 英語 이름 머리글字 CCPP와 發音이 비슷한 우리말 ‘是是非非(是是非非)’를 내걸었는데, 나는 거기에 물음標를 덧붙이고 싶다. 只今은 是是非非 따위를 가릴 때가 아니다. 이제는 우리 모두 함께 팔을 걷어붙일 때가 되었다. 이 寫眞展을 觀覽하고 나가는 모든 이들이 팔소매를 걷어 올리는 걸 보고 싶다.

최재천 이화여대 敎授, 生命多樣性財團 理事長
#서울 톡톡 #서울 #ccpp 氣候環境 寫眞 프로젝트-컨페션 套 디 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