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光州地法, 强制動員 賠償金 供託 ‘不受理’… 外交部 “異議 着手”|東亞日報

光州地法, 强制動員 賠償金 供託 ‘不受理’… 外交部 “異議 着手”

  • 뉴스1
  • 入力 2023年 7月 4日 12時 58分


코멘트
외교부 후문. 뉴스1
外交部 後聞. 뉴스1
政府가 一部 日帝强占期 强制動員 被害者들에게 支給할 賠償金(判決金)을 法院에 供託하기로 決定했지만 光州地方法院 所屬 供託公務員이 ‘不受理 決定’을 내리자 强한 遺憾을 표하고 異議節次에 着手할 것임을 豫告했다.

外交部는 4日 出入記者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에서 “前날 政府는 强制徵用(强制動員) 被害者 中 이미 政府로부터 辨濟金을 受領한 11名과의 衡平性을 考慮해 아직 辨濟에 應하지 않고 있는 4名에 對한 供託節次를 開始했다”고 밝혔다.

外交部는 “그러나 光州地方法院 所屬 供託公務員이 그 中 양금덕 할머니에 對한 供託을 ‘不受理 決定’을 했다”며 遺憾을 표했다.

外交部는 光州地法 所屬 供託 公務員의 判斷에 對해 條目條目 反駁하기도 했다.

먼저 外交部는 “供託制度는 供託公務員의 形式的 審査權, 供託事務의 機械的 處理, 形式的인 處理를 前提로 해 運營된다는 것이 確立된 大法院 判例(96다11747 全員合議體 判決)”라고 主張했다.

이어 “供託公務員이 形式上 要件을 完全히 갖춘 供託申請에 對해 ‘第3字 辨濟에 對한 法理’를 提示하며 不受理 決定을 한 것은 供託公務員의 權限範圍를 벗어난 것”이라며 “또 憲法上 保障된 ‘法官으로부터 裁判받을 權利’를 侵害하는 것이다. 이는 類例 없는 일이기도 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擔當 供託公務員은 所屬 다른 同僚 公務員들에게 意見을 求한 後 ‘不受理 決定’을 했다”며 “이는 供託公務員이 個別的으로 獨立해 判斷하도록 한 ‘法院 實務便覽’에도 어긋나는 것”이라고 指摘했다.

外交部는 “辨濟 供託制度는 元來 辨濟를 拒否하는 債權者에게 供託하는 것”이라며 “그 供託이 辨濟로서 有效한지 與否는 向後 裁判 過程에서 判斷될 問題”라고도 했다.

外交部는 이미 供託 推進 前 綿密한 法的 檢討를 거쳤다며 “1件의 不受理 決定은 法理上 承服하기 어렵다”라며 “이에 卽時 異議節次에 着手해 法院의 올바른 判斷을 求할 것이며 被害者의 圓滑한 被害 回復을 위해서도 最善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對해 光州地法은 ‘外交部는 該當 事案에 對한 當事者가 아니기 떄문에 異議節次를 밟을 수 없다’는 立場이다. 供託申請과 法院의 供託處分에 對한 異議申請은 當事者들만 할 수 있다는 判斷이다.

光州地法이 供託修理를 拒否한 양금덕 할머니 件의 境遇 量 할머니가 事前에 法院 側에 ‘第3字 辨濟를 통한 供託金을 받지 않겠다’는 意見書를 提出했었다.

光州地法 供託界는 民法上 當事者가 第3字 辨濟를 拒否할 수 있다는 民法을 適用했다.

또 日帝强制動員 被害者인 이춘식 할아버지를 對象으로 申請된 供託書는 書類 未備를 理由로 返戾 處分했다.

供託을 건 財團 側이 ‘供託權 處分에 對한 異議 申請’을 할 境遇 法院 擔當 判事를 이를 維持하거나 更定할 수 있다.

前날 政府는 올 3月 發表한 日帝强占期 强制動員 被害賠償 解法을 두고 一部 被害者 側에서 ‘受容 拒否’ 意思를 固守하자 이들에게 支給 豫定인 賠償金(判決金)을 法院에 供託하기로 決定했다.

(서울·廣州=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