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新聞과 놀자!/주니어를 爲한 칼럼 따라잡기]불타버린 슈리城|東亞日報

[新聞과 놀자!/주니어를 爲한 칼럼 따라잡기]불타버린 슈리城

  • 東亞日報
  • 入力 2019年 11月 13日 03時 00分


코멘트
지난달 31日 日本 오키나와(沖繩)의 世界文化遺産 슈리(首里)性이 原因 모를 火災로 불타올랐다. 建物 大部分과 遺物 數百 點이 事實上 全燒(남김없이 다 타버림)됐다. 오키나와 사람들에게 슈리城은 數百 年間 이곳을 支配하던 류큐(琉球)王國의 心臟部와도 같은 곳이다.

오키나와는 只今은 日本의 47個 도도부현(廣域自治團體) 中 하나지만 不過 150年 前만 해도 獨自的인 國際를 가진 류큐王國이었다. 朝鮮과도 交流가 많아 朝鮮王朝實錄 太祖 1年(1392年)에 “유구국 中産王이 使臣을 보냈다”는 記錄을 비롯해 많은 實錄에 朝貢과 使臣이 오간 記錄이 있다. 申叔舟는 ‘海東諸國記’에 류큐國旗를 남겼다. 류큐王國은 1609年 日本의 侵略 뒤에도 中國 日本 兩쪽에 朝貢을 바치는 關係를 維持했지만 메이지 維新 뒤인 1879年 日本 政府에 依해 王朝가 廢止되면서 오키나와縣이 됐다.

日本 政府는 服屬 뒤에도 오키나와를 差別했던 것 같다. 1945年 4月부터 美軍의 本土 進擊을 막기 위해 始作된 血栓 ‘오키나와 戰鬪’에서 住民들은 莫大한 犧牲을 치러야 했다. 日本軍은 住民들을 防牌막이 삼았고 앳된 少年 少女들도 軍隊와 看護隊 等으로 動員했다. 戰況(戰爭의 實際 狀況)李 不利해지자 住民들에게 ‘玉碎(名譽나 忠節을 위하여 깨끗이 죽음을 이르는 말)’를 命令해 自殺을 强要했다. 이 戰爭으로 民間人만 12萬餘 名, 섬 全體 人口의 4分의 1이 犧牲됐다. 當時 陸軍總司令部가 地下벙커를 設置한 곳이 슈리城이었다. 激烈한 戰鬪에 建物이 부서졌고 司令部가 退却을 決定하자 負傷을 입어 따라나설 수 없던 約 5000名이 이 벙커에서 集團 自決하는 慘劇도 벌어졌다.

第2次 世界大戰이 끝난 뒤 오키나와는 美軍政 治下에 들어갔다가 1972年에야 日本에 返還됐다. 只今도 駐日美軍의 70% 以上이 이곳에 駐屯한다. 東아시아 戰略에서 오키나와의 地政學的 重要性 때문일 것이다. 美軍이 많다 보니 事件 事故가 끊이지 않고 住民 反撥도 크다. 오늘날 오키나와는 日本 執權勢力에 對해 가장 ‘野黨性’을 갖고 싸우는 地域이다

4月 노트르담 大聖堂, 지난해 브라질 博物館 等 人類의 努力과 智慧가 蓄積된 文化遺産들이 瞬息間에 火魔(火災를 魔鬼에 比喩하여 이르는 말)에 사라졌다는 消息이 들려올 때마다 안타깝기 그지없다. 오키나와의 代表的 觀光 名所이기도 했던 슈리城을 다시 볼 수 있는 날이 빨리 오길 빈다.

東亞日報 11月 4日子 서영아 論說委員 칼럼 整理

칼럼을 읽고 다음 問題를 풀어 보세요.

1. 다음 中 本文을 읽고 보일 反應으로 適切하지 않은 것을 고르세요.

①世界文化遺産 슈리城 火災로 建物 大部分과 遺物 數百 點이 事實上 全燒돼 매우 안타깝구나.

②류큐王國이 過去 朝鮮과도 交流를 活潑히 했다는 歷史的 記錄은 찾아볼 수 없구나.

③슈리城 火災에 對해 뒤틀린 集團心理로 共通의 敵을 찾으려는 行態는 警戒해야겠구나.

2. 本文에 提示된 다음의 歷史的 事實들을 일어난 時間 順序대로 羅列하세요.

①日本 政府에 依해 류큐王國 王朝가 廢止되면서 오키나와縣이 됐다.

②류큐王國은 日本의 侵略 뒤 中國 日本 兩쪽에 朝貢을 바치는 關係를 維持했다.

③오키나와가 日本에 返還됐다.

④‘오키나와 戰鬪’는 住民의 莫大한 犧牲을 치렀다.

김재성 洞아이地에듀 記者 kimjs6@donga.com
#오키나와 #世界文化遺産 #슈리城 #全燒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