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新聞과 놀자!]모르는 單語 퀴즈로 풀며 배워, 冊 읽는 時間이 더 즐거워져요|동아일보

[新聞과 놀자!]모르는 單語 퀴즈로 풀며 배워, 冊 읽는 時間이 더 즐거워져요

  • Array
  • 入力 2011年 12月 15日 03時 00分


코멘트

■ 美國 敎育에서 배우는 NIE

미국 워싱턴 주 선셋초등학교의 창의적 책읽기 수업. 어린이가 자신이 만든 작품을 갖고 교사와 친구들에게 설명하고 있다.
美國 워싱턴 州 선셋初等學校의 創意的 冊읽기 授業. 어린이가 自身이 만든 作品을 갖고 敎師와 親舊들에게 說明하고 있다.
《美國 하버드대는 “우리 大學 學生들은 人類 最大 文化遺産인 冊을 읽고 理解하고 解釋할 수 있어야 한다. 學生들은 自身의 생각을 明瞭하고 說得力 있는 글로 써낼 수 있어야 한다”는 目標를 갖고 있다고 합니다.》

하버드大만이 아니라 學校 現場의 先生님이라면 누구나 글 읽기와 글쓰기가 敎育에서 가장 重要한 일 中의 하나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래서 敎師들은 어떻게 하면 學生이 글을 잘 읽고 쓸지를 苦悶하면서 다양한 事例를 알려줍니다.

저도 어린 學生들이 읽기와 쓰기를 잘할 方法을 찾으려고 많이 苦悶했습니다. 敎育은 저마다 다른 特性이 있는 어린이를 指導하는 일이므로 가장 좋은 方法이 定해져 있지는 않습니다. 제가 찾았던 美國에서는 學校 家庭 社會가 힘을 합쳐 어린이에게 必要한 읽는 힘을 길러주려고 努力했습니다.

앨라배마 主 작은 시골學校들의 記憶은 10年이 지난 只今까지 남아 있습니다. 當時 저는 學校 두 곳의 授業을 一週日씩 參觀했습니다. 冊을 읽으라고 一方的으로 指示하는 데 그치지 않고 늘 冊과 함께하는 雰圍氣를 만드는 努力이 印象的이었습니다.

幼稚園生과 初等學生이 每日 한 番씩 圖書館에 가는 授業이 있더군요. 司書 敎師는 어린이를 무릎 앞에 앉히고 冊을 읽어 주고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冊을 어찌나 재미있게 읽어 주던지 어른인 저도 빠져들었습니다. 司書 敎師는 아이들의 水準에 맞춰 人形을 利用해 읽거나, 演技를 하듯 움직이며 읽었습니다. 中間 中間에 質問을 하며 읽기도 했습니다.

數學 科學 社會 等 모든 敎科에서 새로운 主題를 다룰 때에는 여기에 必要한 語彙를 먼저 가르쳤습니다. 이들은 자투리 時間도 活用했습니다. 低學年은 낮잠을 자는 時間이 있었는데 擔任敎師가 조용한 音樂을 틀어 주고 冊을 읽었습니다.

아이들은 先生님의 이야기를 들으며 하나 둘씩 잠이 들었습니다. 家庭에서와 마찬가지로 學校에서도 이렇게 잠들기 前에 冊을 읽는 習慣을 길러준 겁니다. 읽기에 關한 家庭通信文에서는 學生이 冊을 잘 읽는 方法을 가르치기도 하고, 學校만이 아니라 地域社會 圖書館 行事를 알려주기도 했습니다.

저는 이 學校 校長先生님의 집으로 招待를 받았습니다. 初等學校 6學年 아들이 있었습니다. 저녁食事를 準備하는 동안, 그는 學校 生活과 그날 읽은 冊의 內容에 對해 父母와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食事가 끝나고 校長先生님은 집 이곳저곳을 案內했습니다. 아들의 冊欌 위에 종이로 만든 3個의 王冠이 보였습니다. 家族이 가장 所重하게 생각한다고 말하더군요. 初等學校에서 冊 100卷을 읽을 때마다 하나씩 받은 王冠입니다. 校長先生님은 冊을 熱心히 읽는 아들을 자랑스럽게 생각했습니다.

저는 이 모습을 보며 우리 어린이들을 떠올렸습니다. 冊을 읽으라고만 했지 잘 읽도록 父母와 敎師가 도왔나? 家庭과 學校가 함께 激勵하며 一貫性 있게 가르쳤나? 우리는 冊을 많이 읽었다고 初等學校 때 받은 종이 王冠을 家族이 가장 所重하게 간직할까? 많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글 읽기는 單純히 재미로 하는 行爲가 아닙니다. 內容을 理解하고 分析하고 適用하고 綜合하고 評價하고, 더 나아가 읽은 內容을 土臺로 새로운 內容을 만들려면 제대로 읽어야 합니다. 글을 제대로 읽으려면 위에서 紹介한 美國 事例에서 알 수 있듯이 家庭과 學校의 一貫性 있는 努力이 必要합니다.

大部分의 어린이는 冊을 통해 글을 接합니다. 새로운 情報를 얻으려면 冊을 읽어야 하는데, 요즘처럼 새로운 知識이 넘쳐나는 時代에는 新聞을 꼼꼼하게 읽는 習慣을 길러줘야 합니다. 新聞이 새 消息의 報告(寶庫)이자 살아 있는 敎科書이니까요.

新聞을 잘 읽으려면 몇 가지 努力을 해야 합니다. 敎科書와 다른 點이 있으니까요. 敎科書는 學生의 發達 段階를 생각해서 語彙와 內容을 選定해 만듭니다. 新聞은 不特定 多數를 위해 만든 媒體이므로 어린 學生에게 적합하지 않거나 어려운 語彙가 적지 않습니다. 새로운 消息을 傳하므로 어른도 쉽게 理解하기 힘든 用語마저 繼續 登場합니다.

심옥령 청심초등학교 추진위원장
심옥令 淸心初等學校 推進委員長
낱말을 모르면 新聞을 읽고 싶어도 읽을 수 없습니다. 語彙를 많이 알면 豐饒로운 言語活動을 할 수 있습니다. 言語를 豐富하게 使用하는 사람은 知識을 폭넓게 얻고 思考力을 깊이 있게 키울 수 있습니다.

記事에서 만난 어려운 낱말을 一一이 辭典에서 찾아 읽기는 쉽지 않습니다. 語彙力이 어느 程度 늘어날 때까지는 父母와 敎師의 도움이 必要합니다. 그래서 저는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퀴즈를 낱말工夫에 活用합니다. 놀이처럼 즐길 수 있도록 指導하는 거죠. 다음 時間에 仔細한 方法을 알려 드릴게요.

심옥令 淸心初等學校 推進委員長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