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釜山/慶南]WCC코리아 合唱大會 ‘半쪽行事’ 責任論 擡頭|東亞日報

[釜山/慶南]WCC코리아 合唱大會 ‘半쪽行事’ 責任論 擡頭

  • 入力 2009年 7月 15日 06時 31分


慶南道, 參加者 40餘名 新種플루 確認… 中間에 閉幕 波紋
一部 藝術人들 “一回用 行事에 80億원 豫算 浪費” 指摘

경남도가 ‘노래하는 人類, 하나 되는 世界’를 主題로 開催한 合唱大會人 ‘월드콰이어챔피언십(WCC) 코리아 2009’가 中間에 取消되면서 波紋이 적지 않다. 이 行事는 昌原 馬山 等 慶南 4個 都市에서 7日부터 17日까지 열릴 豫定이었다. 그러나 參加者 40餘 名이 新種 인플루엔자A 患者로 確認되자 경남도가 前半部 行事만 마치고 10日 서둘러 幕을 내렸다.

○ 3日 行事에 80億 원

이番 大會 費用은 國費 20億 원을 包含해 모두 90億 원. 경남도는 共同主催者人 獨逸 인터쿨투르財團에 280萬 유로(藥 47億5000萬 원)를 미리 支拂했다. 海外弘報와 外國合唱團 募集 等에 使用하는 이른바 ‘國際費用’. 行事 誘致 當時에는 300萬 流路를 주기로 했다가 世界的인 經濟危機와 新種 인플루엔자 等으로 參加팀이 大幅 줄어들면서 20萬 流路를 깎은 것.

代行社(PCO)에 支給한 돈이 20億3000萬 원이고 運營費, 廣告費, 施賞金 等으로 只今까지 總 80億 원을 썼다. 殘金은 10億 원 程度. 경남도 關係者는 “인터쿨투르財團에 支拂한 돈은 準備金 性格이어서 돌려받기는 어렵다”며 “正確한 支出 明細는 17日頃 밝힐 豫定”이라고 말했다.

○ 責任論 擡頭

“비슷한 行事인 ‘濟州國際合唱祭’가 每年 7月 열리는 事實을 알고 있는 경남도가 WCC 코리아를 無理하게 誘致해 생긴 일이다.” 慶南 晉州의 한 藝術人은 14日 “豫算 浪費도 그렇지만 目的도 뚜렷하지 않은 一回性 行事를 强行한 경남도 關係者가 責任을 져야 할 것”이라고 指摘했다.

WCC 코리아는 出發부터 無理가 있었다는 指摘. 경남도는 2年 週期로 열리는 合唱大會人 ‘2010 월드콰이어게임’을 誘致하려다 中國과의 競合에서 밀리자 인터쿨투르財團과 協議해 WCC 코리아라는 模糊한 이름의 새로운 行事를 만들었다. 경남도는 “世界 80個國, 400個팀, 2萬餘 名이 參加하고 100萬 名 以上의 觀光客 誘致를 통해 300億 원의 收益을 낼 것”이라고 弘報했다. 그러나 國內 98個팀, 海外 66個팀 等 164個팀만이 參加申請을 했고, 그나마 ‘半쪽 行事’로 끝났다. 大會組織委員會 關係者는 “平和와 和合의 合唱祭典을 만들기 爲해 最善을 다했으나 豫期치 못한 狀況으로 行事가 中斷돼 안타깝다”고 말했다.

○ 서둘러 出國

이番 大會 參加者 가운데 新種 인플루엔자 確診者는 14日 午前까지 44名. 41名은 인도네시아에서 入國한 合唱團員이며 3名은 國內 自願奉仕者다. 이들 外에 新種 인플루엔자 症勢를 申告한 인도네시아 團員과 自願奉仕者 等 16名에 對한 檢査가 進行 中이어서 確診者는 늘어날 可能性이 크다. 前半部 行事에 參加했던 外國人 合唱團 38個팀 1435名 中 24個팀 929名이 14日까지 出國했다. 나머지는 18日까지 出國할 豫定. 新種 인플루엔자 確診者가 나왔거나 이들과 接觸한 것으로 드러난 6個팀 248名은 病院에서 治療 中이거나 隔離돼 있다.

강정훈 記者 manma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