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首都圈/그 골목엔 뭔가 있다] <8>文來洞 創作村|東亞日報 </8>

[首都圈/그 골목엔 뭔가 있다] <8>文來洞 創作村

  • 入力 2009年 1月 12日 02時 59分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철재상가단지에 예술가들이 속속 입주해 새로운 문화 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홍진환 기자
서울 永登浦區 文來洞 鐵材商街團地에 藝術家들이 續續 入住해 새로운 文化 空間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홍진환 記者
낮엔 鐵工所… 밤엔 作業室

쇳가루와 藝術 ‘幻想 宮合’

賃借料 낮아 젊은 藝術家들 建物 2,3層 入住

再開發 可能性에 集團藝術村 사라질까 憂慮

서울 永登浦區 문래동은 한때 ‘大韓民國 鐵鋼材 販賣 1番地’였다.

1960年代 急速한 工業化로 영등포 一帶에 工場들이 몰리면서 自然스럽게 鐵鋼團地가 形成됐다가 1990年代부터 서울 外郭으로 工場들이 빠져나가면서 斜陽길을 걷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文來洞3街 一帶에는 小賣商과 鐵工所 等이 꽤 남아 있다. 鐵鋼, 스테인리스鋼, 特殊鋼, 鎔接, 切斷, 파이프, 알루미늄…. 文來 射距離 뒤쪽에는 이런 看板을 단 小規模 가게들이 密集해 있다.

午後 6時頃 가게들이 하나 둘씩 門을 닫으면 全혀 딴 世上이 펼쳐진다. 夜行性 藝術家들의 活動이 本格的으로 始作되는 것이다.

이곳에선 낮에는 1層 鐵工所에서 勞動 活動이 일어나고, 밤이 되면 建物 2, 3層에 入住한 藝術家들이 創作 活動에 沒頭한다.

썩 어울릴 것 같지 않은 藝術과 쇳가루의 사이좋은 同居. 鐵工所의 에너지와 젊은 藝術家들의 創作 熱氣가 幻想的인 宮合을 이루는 이곳은 ‘文來洞 創作村’이다. 여기에선 65個 作業室에서 150餘 名의 藝術家가 活動하고 있다.

○ 鐵工所에서 피어나는 藝術의 香氣

어두컴컴한 거리 곳곳에는 藝術家들의 손길이 묻어 있다. 새한鐵鋼上司의 鐵大門은 쇠 作業을 하는 勞動者를 재미있게 描寫한 김윤환 作家의 壁畫 作品이다.

個別的으로 活動하던 作家들은 2007年 6月에 거리祝祭人 ‘境界 없는 藝術프로젝트#3@文來洞’을 열었고, 10月에는 聯合祝祭인 ‘물레아트페스티벌’을 開催해 市民들에게 自身들을 알리기 始作했다.

이곳의 가장 큰 魅力은 싼 賃借料다. 鐵鋼 産業이 내리막길로 접어들자 2, 3層에 있던 仲介 事務所들은 京畿 始興 等 首都圈 地域으로 續續 떠났다.

홍익대 美大를 卒業한 6名이 만든 디자인그룹 ‘盧네임老샵’의 김건태(34) 作家는 “遊興街가 掌握한 홍익대 앞에 비해 오랫동안 時間과 땀이 蓄積된 工場 地帶는 創作의 훌륭한 原動力이 된다”고 말했다.

○ ‘韓國의 茶山쯔’를 꿈꾸며

젊은 藝術家들 德分에 沈滯 一路를 걷던 이 地域 雰圍氣도 많이 變했다.

鐵工所 從事者들은 公演이나 展示를 觀覽하기도 하고, 行事 後에는 藝術家들과 함께 三겹살 파티를 벌이기도 한다. 大門이나 屋上에 그림을 그려 달라는 사람들도 있다. 藝術家들은 鐵材 等의 材料를 空짜로 제공받곤 한다.

하지만 ‘文來洞 創作村’의 未來는 相當히 不透明하다. 지난해 市內 준공업地域에 最大 80%까지 아파트를 建立할 수 있도록 서울市 條例가 改正됐고, 隣近 住民들과 開發業者들이 再開發을 希望하고 있기 때문.

‘랩39’의 共同디렉터이자 ‘藝術과 都市社會硏究所’를 運營하고 있는 김윤환 代表는 “문래동은 軍需工場에서 集團 藝術村으로 變身한 中國 베이징(北京)의 茶山쯔(大山子)처럼 서울의 새로운 文化名所가 될 수 있다”며 “젊은 藝術家들에 依해 自生的으로 생겨난 이곳을 創造産業團地로 발전시킬 必要가 있다”고 말했다.

이헌재 記者 uni@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