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絶對平等의 陷穽’에 빠진 勞動界|東亞日報

‘絶對平等의 陷穽’에 빠진 勞動界

  • 入力 2007年 7月 12日 03時 00分


코멘트
비정규직 문제로 회사와 갈등을 빚고 있는 이랜드 계열 홈에버 노조원들이 10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홈에버 월드컵점에서 매장 입구를 점거한 채 시위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非正規職 問題로 會社와 葛藤을 빚고 있는 이랜드 系列 홈에버 勞組員들이 10日 서울 마포구 상암동 홈에버 월드컵點에서 賣場 入口를 占據한 채 示威를 벌이고 있다. 聯合뉴스
《“賞與金을 나눠 갖는 데 同意해 주세요.” 最近 안양시 公務員 勞組는 다음 週 2006年分 成果賞與金 支給을 앞두고 組合員들에게서 이런 內容이 담긴 同意書를 받고 있다. 지난해 勤務評價와 多面評價 結果에 따라 差異가 나는 賞與金을 한데 모아 職級別로 똑같이 나눠 갖기 위해서다. 現在 參加率은 90% 程度. 이番에 안양시 公務員(6級 基準)은 最高 等級인 S級은 264萬 원, 中間인 A級 176萬 원, 最下位인 B級은 88萬 원의 成果賞與金을 받는다. 月 基準으로 S級과 B級의 賞與金 隔差는 14萬7000원 程度. 公務員의 全體 賃金에서 賞與金이 차지하는 比重은 平均 3% 程度지만 그 안에서 差異가 나는 것을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것이다. 安養市 勞組 關係者는 “現在의 評價 方式은 공정하다고 보기 어려워 賞與金을 公平하게 나누기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

公務員-敎員勞組 成果給 返納後 均等 分配

單純職種度 “正規職 되면 같은 待遇 해달라”

政府 ‘兩極化解消’ 强調 勤勞者에 幻想 심어

先進國에선 職務-成果 따른 保守差異 當然

韓國의 勞動運動이 ‘衡平性’이라는 陷穽에 빠져들고 있다.

勞組가 個人差가 나는 成果給을 拒否하고 다른 일을 하는 사람들까지 같은 補償을 要求하는 일이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어떤 일’을 ‘얼마나 잘’ 하느냐에 따라 賃金 車를 두는 世界的인 賃金 制度의 큰 흐름에 完全히 逆行하는 움직임이다.

專門家들은 이른바 ‘兩極化 解消’를 내세우며 勤勞者들에게 漠然한 誤解와 錯覺을 심어준 現 政府와 政治權도 이런 狀況에 對한 責任을 避할 수 없다고 指摘한다.

○ 勞動運動 現場마다 ‘똑같이 달라’ 要求

非正規職의 正規職 轉換 問題로 甚한 摩擦을 빚고 있는 이랜드.

이 會社는 올해 들어 契約이 끝난 割引店 홈에버의 非正規職 1100餘 名 가운데 正規職 轉換을 希望한 500餘 名을 正規職으로 轉換했다.

하지만 나머지 600餘 名은 正規職 轉換을 拒否하고 있다. 가장 큰 理由는 “무늬만 正規職이지 賃金은 正規職만큼 받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랜드 社側이 主로 計算臺에서 勤務하는 이들 ‘캐시어’를 正規職으로 바꾸면서 別途의 賃金 體系를 導入해 旣存의 正規職보다 낮은 賃金을 주기 때문이다.

이에 對해 이랜드 社側은 “캐시어 業務를 하는 사람들을 正規職으로 轉換하는 데도 莫大한 處遇改善 費用이 든다”면서 “相對的으로 單純 業務를 하는 이들에게 管理職 水準의 賃金을 줄 수는 없다”고 말했다.

‘大韓民國 建國 以後 처음’으로 最近 政府와 團體 交涉을 始作한 公務員 勞組의 가장 代表的인 要求는 ‘成果給制 廢止’다. “일은 같이 하는데 分配는 個人別로 하는 것은 納得할 수 없다”는 것이 이들의 論理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評價 結果에 따라 支給되는 敎員 成果給을 拒否하고 있다.

전교조는 지난해 約 750億 원의 成果給을 다시 모아 나눠가진 데 이어 올해도 返納된 成果給을 모아 奉仕團體 等에 나눠 준다는 計劃이다.

○ ‘差異’까지 ‘差別’로 보는 韓國 勞動界

올해 3月 非正規職 3000餘 名의 正規職 轉換을 決定한 우리은행에서는 아직까지 별다른 葛藤이 없다. 우리은행이 非正規職을 正規職으로 轉換하는 方式은 業務에 따라 여러 個의 職群(職群)으로 나눠 다른 賃金體系를 適用하는 體制다.

嶺南大 이효수(勞動經濟學) 敎授는 “우리銀行 方式은 非正規職에게 雇傭 安定은 保障해 주지만 賃金 增加에 따른 經營負擔 때문에 正規職과 同一한 待遇는 해 줄 수 없어 생각해 낸 妥協策”이라며 “現實的으로 可能한 거의 唯一한 方法”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勞動界는 ‘中規職’이라는 新造語까지 만들어 우리은행의 非正規職 轉換 方式을 非難하고 있다. 窓口 職員(텔러) 等 非正規職에서 正規職으로 轉換된 職員이 旣存의 正規職 銀行員과 같은 水準의 賃金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을 問題 삼고 있다.

이처럼 ‘衡平性’을 理由로 勞使가 葛藤을 벌이는 狀況은 先進國에서는 볼 수 없는 일이다. 非正規職을 正規職으로 强制로 轉換하는 法度 世界的으로 찾아보기 어렵다.

美國을 비롯해 大部分의 龜尾 先進國은 이미 勤勞者가 ‘職務’와 ‘成果’에 따라 使用者와 契約을 통해 賃金을 받는 慣行이 오래前부터 日常化돼 있기 때문이다.

○ ‘兩極化 解消’ 政策이 불러온 錯覺

2002年 12月 노무현 當時 大統領 候補는 “非正規職 勤勞者의 比重이 56%나 된다”면서 非正規職 問題를 解決하겠다고 約束했다.

以後 政府가 出帆한 뒤 盧 大統領은 非正規職 保護 法案을 積極的으로 推進했다.

이른바 ‘兩極化 解消’를 旗幟로 내건 뒤부터는 ‘非正規職과 正規職의 差別 解消’를 勞動 政策의 最大 目標로 삼았다.

그러나 現 政府는 ‘差別’ 解消에 焦點을 맞추면서 맡은 職務나 個人의 能力 差에 따라 不可避하게 생기는 賃金이나 處遇의 差異에 對해서는 看過했다는 것이 勞動問題 專門家들의 指摘이다.

박준성 성신여대 經營學科 敎授는 “政府는 그동안 非正規職 保護라는 側面을 强調하면서 勤勞者들의 過剩期待를 부추긴 것이 事實”이라며 “只今이라도 政府는 勤勞者들의 誤解를 바로잡기 위해 알릴 것은 제대로 알리면서 勤勞者와 企業 사이에서 嚴正한 審判의 役割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나성엽 記者 cpu@donga.com

金起炫 記者 kimkihy@donga.com

성동기 記者 esprit@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