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尹 “國家遺産靑, 世界人과 함께 누리는 國家遺産 時代 열 것”|東亞日報

尹 “國家遺産靑, 世界人과 함께 누리는 國家遺産 時代 열 것”

  • 뉴시스
  • 入力 2024年 5月 17日 14時 35分


코멘트

“無形遺産·自然遺産度 體系的 管理”
“우리 國民 文化 自負心 더 높일 것”

ⓒ뉴시스

尹錫悅 大統領은 17日 “世界가 사랑하는 우리 文化를 더 跳躍시키는 일이 우리 손이 달려 있다”며 “온 國民과 世界人과 함께 누리는 새로운 國家遺産의 時代를 열어가자”고 말했다.

尹 大統領은 이날 午前 大田 西區 政府大田廳舍에서 열린 國家遺産靑 出帆式에 參席해 “오늘은 文化財라는 오랜 이름이 國家遺産으로 바뀌는 歷史的인 날”이라고 强調했다. 지난 2月 政府組織法 改正을 통해 문화재쳥은 ‘國家遺産靑’으로 이름을 바꾸고 이날 出帆式을 열었다.

尹 大統領은 “그동안 文化財 管理는 遺産을 保存하는데 集中하는 過去 回顧型이었다”며 “앞으로는 國家遺産을 發掘, 保存, 繼承하는 同時에 이를 더욱 發展시키고 擴散하는 未來志向型 體系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尹 大統領은 이어 “國家遺産이라는 槪念의 對象과 範圍도 크게 넓혀진다”고 했다.

尹 大統領은 ‘無形遺産’에 對해서는 “保存과 傳授라는 틀에서 벗어나 風習, 民俗, 祝祭를 비롯한 우리 民族 固有의 삶의 모습을 總體的으로 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自然流産’과 關聯해서는 “이제 國家 遺産으로 體系的으로 管理될 것”이라며 “自然環境에 文化와 觀光의 價値를 더해서 保存을 넘어서는 發展의 길을 열고 더 큰 價値를 創出하도록 만들 거다”고 말했다.

尹 大統領은 “國家遺産은 그 自體로 우리 民族의 正體性”이라며 “새로운 國家遺産 體系를 더 발전시켜 우리 國民의 文化的 自負心을 더욱 높이겠다”고 했다.

尹 大統領은 “世界가 사랑하는 우리 文化를 더 跳躍시키는 일이 우리 손이 달려 있다”며 “온 國民과 世界人과 함께 누리는 새로운 國家遺産의 時代를 열어가자”고 强調했다.

尹 大統領의 祝辭가 끝난 뒤 國家遺産靑 出帆을 祝賀하는 퍼포먼스가 이어졌다.

尹 大統領이 유인촌 文化體育觀光部 長官, 無形遺産 保有者 等과 壇上에 올라서 褓자기에 싸인 區에 손을 올리자 空中에서 褓자기가 裝飾됐다.

褓자기는 國家遺産靑 出帆式의 主된 形象이다. 自然流産, 無形遺産을 國家遺産으로 감싸 안아 未來 世代에 넘겨주겠다는 意味라고 關係者는 說明했다.

尹 大統領에 앞서 최응천 國家遺産廳長은 “지난 60餘 年間 文化財 體制는 國民의 自負心인 國家遺産을 穩全히 保存, 管理하는 成果를 냈지만 이제 國民들께서는 大韓民國과 우리 社會 繁榮을 위한 國家遺産의 새로운 役割을 要求하고 있다”며 國家遺産廳의 誕生 背景을 說明했다.

崔 廳長은 “國家遺産廳의 새로운 비전은 國民과 함께 누리는 未來價値, 國家遺産”이라며 “國家遺産을 大韓民國과 地域發展이 原動力으로 만들겠다”고 했다.

이날 出帆式에는 曹溪宗 總務院長 軫憂 스님, 최종수 成均館長, 利原 大寒皇室文化원 總裁 等 國家遺産 關聯 團體 人士를 包含해 700餘 名이 參席했다.

政府에서는 유인촌 文化體育觀光部 長官, 이배용 國家敎育委員會 委員長 等이 參席했다. 日帝强占期 및 6·25戰爭 中 國家遺産을 지켜낸 澗松 全鎣弼 先生과 차일혁 警務官의 後孫도 오늘 行事에 함께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