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賣國 政府” “또 竹槍가”…라인야후 事態, 與野 ‘反日 感情’ 싸움|東亞日報

“賣國 政府” “또 竹槍가”…라인야후 事態, 與野 ‘反日 感情’ 싸움

  • 뉴스1
  • 入力 2024年 5月 13日 15時 04分


코멘트

日本 政府의 持分 調整 要求로 觸發된 네이버·라인야후 事態가 政治 쟁점화하면서 ‘反日’ 論難으로 번지고 있다. 野黨은 이番 事態를 外交 失敗로 規定하며 ‘反日’ 攻勢에 나섰고, 與黨은 國益을 해치는 輿論몰이龍 ‘竹槍가’라고 反撥했다.

朴贊大 民主黨 院內代表는 13日 最高委員會議에서 “相對가 日本이라서 그런 건가”라며 “對策 마련에 協助하지 않으면 賣國 政府, 賣國 政黨이라는 批判을 받게 될 것”이라고 指摘했다.

정청래 最高委員은 “尹錫悅 政權의 對日 屈從 外交野 익히 알고 있다”고 했고, 徐瑛敎 最高委員은 “日本에 强펀치를 얻어맞고도 쓰러진채 가만히 있으니 尹 大統領은 大體 어느 나라 大統領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앞서 休暇 中인 李在明 더불어民主黨 代表는 지난 10日 마쓰모토 다케아키 日本 總務相이 이토 히로부미의 外高孫子인 點을 指摘하며 “이토히로부미 孫子:大韓民國 사이버 領土 라인 侵奪, 朝鮮 大韓民國 政府:멍~”이라고 올리기도 했다.

曺國 曺國革新黨 代表 亦是 이날 獨島를 찾아 對日 外交 批判 聲明을 發表할 豫定이다.

反面 與黨은 反日 感情을 助長하지 말라고 받아쳤다. 金玟秀 國民의힘 代辯人은 이날 論評을 통해 “外交 問題도 오직 政爭으로 몰고 가는 至毒한 偏狹함”이라고 민주당을 批判했다.

劉承旼 前 議員은 페이스북 글에서 이 代表를 向해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寒心한 發想”이라며 “感情만 건드리는 포퓰리즘으로는 라인 事態에서 아무것도 解決할 수 없다”고 했고, 윤상현 議員은 “大韓民國의 國益守護를 爲해 必要한 것은 ‘竹槍가’가 아닌 ‘超黨的 協力’”이라고 했다.

다만 野黨의 反日 攻勢를 批判하면서도 與黨 亦是 政府의 積極的인 對應을 促求하는 목소리가 큰 狀況이다.

兪 前 議員은 “尹錫悅 大統領과 外交部가 나서서 우리 企業의 海外投資를 保護해야 한다”며 “네이버에 責任을 轉嫁하는 모습”이라고 指摘했다.

尹 議員은 “하루빨리 民間, 與·野 國會 및 政府가 參與하는 TF를 構成하고 韓日 兩國이 共同調査에 나설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한다”고 했다.

政府는 該當 事案이 韓日關係 次元에서 볼 問題는 아니라는 立場이다. 大統領室 高位關係者는 前날 뉴스1 通話에서 “네이버의 立場을 尊重해서 政府가 기다려주고 있는 것”이라며 “積極的인 액션을 願하는 輿論이 있으니 네이버가 立場을 알려주고 狀況을 좀 더 具體的으로 發表해야 우리(政府)도 액션을 取할 수 있다”고 밝혔다.

네이버는 지난 10日 “持分 賣却을 包含해 모든 可能性을 열고 소프트뱅크와 誠實히 協議해 나가고 있다”며 “結論이 나기 前까지는 詳細한 事項을 公開할 수 없다”고 立場을 밝힌 바 있다.

政府는 같은 날 科學技術情報通信部 第2次官 브리핑을 통해 “우리 政府는 日本의 行政指導에 持分을 賣却하라는 表現이 없다고 確認했지만 우리 企業에는 持分賣却 壓迫으로 認識되고 있는 點에 遺憾을 表明한다”고 밝혔다. 4月 16日 日本의 2次 行政指導 以後 24日 만의 立場 表明이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