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석수 總理署理 財産公開]子女에 預金 便法贈與 疑惑|東亞日報

[김석수 總理署理 財産公開]子女에 預金 便法贈與 疑惑

  • 入力 2002年 9月 17日 18時 59分


김석수(金碩洙) 國務總理署理는 17日 財産內容을 公開하며 本人과 家族의 總財産이 25億 4727萬원이라고 밝혔다.

▽主要 財테크는 預金〓金 總理署理 家族은 모두 相當額의 預金을 갖고 있다. 預金은 △本人 3億598萬원 △否認 3億2669萬원 △長男 1億4962萬원 △次男 9403萬원 △次男의 夫人 1億809萬원 △次女 2億9210萬원 等 總 12億7000餘萬원에 達해 總 財産의 折半을 차지했다.

國務總理 祕書室은 “辯護士 受任料, 年金(月 280萬원), 社外理事 手當(250萬∼350萬원) 等 세 가지가 金 總理署理의 主 收入源”이라며 “年金과 社外理事 手當은 夫人이 生活費로 쓰도록 했다”고 傳했다.

金 總理署理는 最近 서울 江南區 개포동 현대아파트(50坪)를 8億300萬원에 팔고, 95年 6月 7億원에 分讓 받은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50坪)로 早晩間 移徙할 豫定이라고 밝혔다. 金 總理署理는 1億3100萬원짜리 뉴서울CC 골프 會員券을, 夫人은 다른 사람에게 販賣할 수 없는 150萬원짜리 週中(週中) 골프 會員券이 있다.

▽財産 關聯 疑惑들〓30代 初 中盤의 子女가 모두 巨額의 預金을 갖고 있어 金 總理署理가 便法 贈與를 한 것 아니냐는 疑惑이 提起되고 있다. 長男(36)은 특별한 職業 없이 外國에서 語學硏修 等을 하며 生活해왔고, 97年 結婚한 次男 夫婦도 俸給生活者를 거쳐 最近 自營業을 始作했지만 各各 1億5000萬원과 2億원의 預金을 保有하고 있다.

이에 對해 김덕봉(金德奉) 總理公報首席은 “長男은 예전 預金에 利子가 붙은 데다 집안의 宗孫이어서 親戚들이 이런저런 돈을 꽤 줬다고 하고, 次男은 結婚 以後 夫婦가 繼續 맞벌이를 하고 있다”며 “便法 贈與 같은 것은 없었다”고 解明했다.

김석수 國務總理署理가 國會에 提出한 財産登錄 內容
區分 所有者 項目 金額(怨)
不動産 本人 慶南 河東郡 고전면 고하리 및 명교리 林野 2萬6945.5㎡ 1238萬
〃 명교리 논 3250㎡ 1958萬3000
〃 명교리 밭 1468㎡ 381萬6000
서울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 아파트 專用 50坪 6億9975萬3000
慶南 河東郡 고전면 명교리 農家住宅 14坪 76萬1000
長男 〃 밭 2798㎡ 1681萬
次男 서울 中區 신당동 南山타운 專用 18坪 1億6100萬
동산 本人 서울 江南區 개포동 현대아파트 賣渡 殘金 4億
서울 瑞草區 서초동 辯護士 事務室 傳貰權 3450萬
SM525V 98年式 2495㏄ 乘用車 2580萬
預金 3億598萬3000
債券 6100萬
콘도미니엄 會員券 150萬
골프(뉴서울 CC) 會員券 1億3100萬
否認 預金 3億2669萬
골프(하이트開發㈜) 會員券 1500萬
長男 預金 1億4962萬
次男 비스토 2001年式 798㏄, EF쏘나타 2001年式 1997㏄ 2522萬
預金 9403萬9000
株式 68萬2000
며느리 預金 1億809萬1000
次女 預金 2億9210萬7000
아반떼 98年式 1495㏄ 1133萬
債務 本人 受任事件 辭任으로 因한 受任料 返還 債務 30件 2億8703萬8000
總計 25億4727萬7000

父型권기자 bookum90@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