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脫北者25名 北京 스페인大使館 進入|東亞日報

脫北者25名 北京 스페인大使館 進入

  • 入力 2002年 3月 14日 18時 00分



北韓을 脫出한 住民 25名이 14日 中國의 베이징(北京) 駐在 스페인 大使館에 强制로 밀고 들어가 難民地位 認定과 韓國行을 要請하며 籠城에 들어갔다. 이들은 빠르면 數日內 ‘不法 入國’罪로 제3국으로 追放될 것으로 보인다고 中國 消息通들이 밝혔다.

▼關聯記事▼

- [社說]脫北者 25名 韓國으로 와야
- 5國 理解 엇갈려 外交葛藤 可能性
- 3國追放이 最善…中說得 未知數
- 政府 第3國 追放에 外交力 集中
- 中 "國內法律 따라 處理"
- "007 映畫처럼 準備"
- "脫北者 北强制召喚땐 無慈悲한 拷問"
- 장길수家族 亡命後 世界 關心 高調
- “國際 이슈化 起爆劑 亡命繼續 이어질것”
- [過去事例]장길수 家族 4日만에 出國許可
- 相當數 北에 强制 送還됐다 再脫北
- 脫北 25名 聲明書 要旨
- 脫北者 中國서 20萬名 떠돈다
- 日 市民團體가 脫北 도왔다
- 駐韓 스페인大使 "人道的 解決策 찾겠다"

中國의 장치웨(章啓月) 外交部 代辯人은 이날 이들의 身分과 關聯해 이들에게 難民 地位는 附與하지 않겠다는 뜻을 分明히 하면서도 “李 같은 사람들에 對해 우리는 줄곧 人道主義 觀點에서 出發해 잘 對해 왔다”고 말해 3國 追放 可能性을 열어두었다.

脫北者들은 미리 準備한 聲明書를 통해 中國 當局이 自身들을 다시 北韓으로 送還할 境遇에 對備해 自殺하기 위한 劇藥을 所持하고 있다고 말해 中國의 强制 送還視 强力히 反撥할 것임을 分明히 했다.

脫北者 大使館 進入場面 動映像(YTN提供)

[畫報]스페인 大使館 進入 瞬間

中國 當局은 이날 밤 9時頃(韓國時間)부터 스페인大使館 正門앞에 脫北者들의 輸送用으로 보이는 버스 한 臺를 配置했다.

外交通商部는 14日 緊急對策會議를 연 뒤 中國과 스페인 政府側에 “이 問題가 人道主義的인 立場에서 處理돼야 하며 特히 本人들의 意思에 反해 北送되는 일이 없도록 해달라”고 要請했다. 베이징 駐在 韓國大使館은 스페인 大使館側에 脫北者들과의 面談을 要請, 狀況 把握에 나섰다.

政府는 베이징 유엔難民高等辦務官室(UNHCR) 等 國際機構에도 積極的 協力을 要請한 것으로 알려졌다.

政府 當局者는 “中國이 지난해 장길수君 家族을 追放하면서 ‘先例를 構成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는 點에서 緊密한 外交的 解決이 必要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脫北者들은 英文으로 發表한 聲明書에서 “우리는 只今 엄청난 絶望에 빠져 있고 處罰의 恐怖 속에 살고 있다”면서 “우리의 不幸을 受動的으로 기다리기보다는 自由를 위해 목숨을 걸기로 決定, 大使館에 進入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여섯 家族과 2名의 孤兒少女로 構成돼 있으며 이들 中 8名은 어린이”라면서 身元을 公開했으나 “北韓에 남아있는 親知에게 加해질 迫害가 두려워 大部分 이름은 匿名으로 處理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個別 聲明을 통해 韓國行을 希望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이날 午前 11時頃 中國 警備員을 밀치고 스페인 大使館 正門을 通過해 안으로 들어갔으며 進入 過程에서 一部는 正門 警備員과 몸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지난해 6月에는 脫北者인 장길수君 家族 7名이 베이징 駐在 유엔難民高等辦務官 事務所에 들어가 韓國行을 要求한 끝에 4日만에 필리핀을 거쳐 서울에 들어올 수 있었다.

베이징〓이종환特派員 ljhzip@donga.com

김영식記者 spear@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