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명화 “北서 짐승처럼 살다간 아버지, 祖國땅에…”|동아일보

손명화 “北서 짐승처럼 살다간 아버지, 祖國땅에…”

  • 東亞日報
  • 入力 2013年 9月 28日 03時 00分


코멘트

本報 報道 ‘脫北 딸’ 손명화氏 身元公開
“눈감으실 때도 故鄕에 묻히길 願해” 中搬出 遺骸 國內送還 政府에 呼訴

손명화 탈북민복지연합회장이 27일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탈북 국군포로 초청 오찬간담회에서 국군포로였던 아버지가 좋아했던 ‘그리운 내 고향 사모곡’을 연주하고 있다. 신원건 기자 laputa@donga.com
손명화 脫北民福祉聯合會腸이 27日 서울 용산구 戰爭記念館에서 열린 脫北 國軍捕虜 招請 午餐懇談會에서 國軍捕虜였던 아버지가 좋아했던 ‘그리운 내 故鄕 思母曲’을 연주하고 있다. 신원건 記者 laputa@donga.com
“北韓에서 짐승처럼 살았던 國軍捕虜 아버지의 遺骸를 大韓民國으로 모셔올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모시고 들어와서 韓國 땅에 묻게 되면 ‘내 아버지는 英雄이었고 大韓의 아들’이라고 자랑하고 싶습니다.”

國軍捕虜 2歲 脫北者인 손명화 脫北民福祉聯合會長(51)은 27日 서울 용산구 戰爭記念館에서 社團法人 勿忘草의 主催로 열린 脫北 國軍捕虜 招請 午餐懇談會에서 이렇게 呼訴했다. 그는 이날 現在 中國 某處에 國軍捕虜의 有害가 保管 中이고 自身이 그의 딸임을 스스로 公開했다. 동아일보는 最近 이 內容을 單獨報道하면서 孫 會長의 要請으로 身元을 밝히지 않았다.

▶本報 9月 11日子 A1面 參照… [單獨]北의 國軍捕虜 遺骸, 脫北 딸이 中國 搬出

孫 會長은 “아버지는 3年間 (6·25)戰爭에서 싸우다가 休戰을 3個月 남겨놓은 狀態에서 捕虜가 됐다”면서 “以後 平生을 國軍捕虜라는 딱紙를 단 채 아오지탄광에서 막勞動을 하다가 돌아가셨다”며 울먹였다. 그는 “아버지는 臨終 直前 맏딸인 나를 따로 불러 故鄕이 慶南 金海라고 알려주며 ‘너만이라도 꼭 그곳으로 가고 (나중에) 내 遺骸도 묻어 달라’고 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2006年 脫北한 孫 會長은 “遺骸를 모셔올 方法을 여러 가지로 苦悶해왔다”고 說明했다.

孫 會長은 어렸을 때는 아버지가 國軍捕虜임을 몰랐으나 大學 進學 等에 制限을 받게 됐을 때 아버지에게서 “모든 것을 抛棄해라. 내가 國軍捕虜여서 너는 아무것도 못한다”는 이야기를 듣게 됐다고 傳했다. 그는 “當時 너무 衝擊을 받아서 아버지를 많이 怨望했고 ‘차라리 죽는 게 낫지 왜 이렇게 사느냐’며 恝視한 적도 많았다”면서 “韓國에 와서 國軍捕虜 어르신들을 볼 때마다 그랬던 내가 부끄러워 눈물이 난다”고 告白했다. 孫 氏는 이날 아버지가 좋아했던 노래인 ‘그리운 내 故鄕 思母曲’을 바이올린으로 연주해 行事場을 肅然하게 만들었다.

孫 會長은 政府에 “遺骸 送還에 協助해 달라”고 要請했고 이에 政府는 關聯 對策會議를 몇 次例 가졌으나 ‘遺骸의 眞僞 與否가 確認된 뒤에야 禮遇를 할 수 있다’는 結論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손 會長은 國軍捕虜送還委員會를 運營하는 勿忘草의 協助를 얻어 直接 遺骸를 國內로 옮겨오는 方案을 講究 中이다.

이정은 記者 lightee@donga.com
#國軍捕虜 #아버지 #遺骸 #脫北 #손명화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