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制憲節 公休日 再指定해 大韓民國 建國 기리자[광화문에서/조종엽]|동아일보

制憲節 公休日 再指定해 大韓民國 建國 기리자[광화문에서/조종엽]

  • 東亞日報
  • 入力 2023年 7月 10日 23時 36分


코멘트
조종엽 문화부 차장
조종엽 文化部 次長
많은 이들이 擧論했던 竹山 曺奉巖(1898∼1959)과 東農 김가진(1846∼1922)의 徐薰 必要性을 最近 이 紙面을 통해 다시금 促求한 바 있다. 이달 初 國家報勳部는 두 人物의 敍勳을 推進하겠다고 밝혔다. 歡迎한다. 大韓民國이라는 巨木의 뿌리를 더욱 豐盛하게 만드는 일이 될 것이다.

國家 正體性을 굳건히 하기 위해 政府가 推進해야 할 또 다른 일이 있다. 푸待接받는 制憲節을 제대로 기리는 일이다.

75年 前인 1948年 檀君 以來 처음 民主的으로 選出된 制憲國會는 7月 12日 全文과 10張, 103組로 構成된 大韓民國 憲法을 통과시키고 17日 公布했다. 아직 政府 樹立은 한 달을 더 기다려야 했지만 憲法이 마련된 以上 韓國人은 이날부터 처음으로 民主共和國에 살게 된 것이나 다름없었다. 오늘날 大韓民國 亦是 政治 經濟 社會 어느 것 하나 制憲憲法에서 비롯되지 않은 것이 없다. 當代의 學者로 初代 監察委員長을 지낸 爲堂 鄭寅普 先生(1893∼1950)은 制憲節 記念曲 歌詞를 지으며 “이날은 大韓民國 億萬年의 터”라고 했다.

그러나 5代 國慶日 가운데 唯一하게 公休日이 아닌 날이 制憲節이다. 2008年부터 公休日에서 除外된 탓이다. 노무현 政府 當時인 2005年 그렇게 바꿨다. 週 5日 勤務制 施行에 따른 勤勞時間 減少 憂慮 때문이었다지만 當時 大統領의 憲法 輕視와도 無關치 않다는 解釋이 나왔다.

15年이 지난 只今 制憲節은 거의 잊힌 날이 됐다고 해도 過言이 아니다. 職場과 學校에 가야 하는 이들에게 政府와 國會의 制憲節 記念行事는 딴 나라 얘기인 게 當然하다. 過去에도 制憲節의 意味를 모르는 靑少年이 적지 않았는데, 15年 새 그런 學生들이 늘었으면 늘었지 줄지는 않았을 것이다.

制憲節의 位相 下落은 또 다른 問題도 낳았다. 國慶日이 5個나 있는데, 大韓民國의 誕生을 慶祝하는 날은 大體 언제인가. 8·15 光復節은 1945年 日帝로부터의 解放과 1948年 政府 樹立을 同時에 慶祝하는 날이지만 多數 國民이 가진 光復節의 心狀은 解放의 意味가 9割 程度다. 過去 一角에서 ‘光復節을 建國節로 기리자’는 主張이 나오기도 했지만 不必要한 論難만 낳았다. 3·1節은 擧族的 獨立運動을 記念하는 날이고, 開天節과 한글날 亦是 距離가 멀거나 無關하다. 純粹하게 大韓民國의 誕生과 관계됐다고 認識되는 날은 事實上 制憲節뿐인 것이다.

勤勞時間 減少 憂慮 亦是 制憲節을 公休日에서 除外하는 根據가 되긴 弱하다. 最近 빠른 速度로 줄긴 했지만 韓國 勞動者의 勤勞時間은 2021年 基準 年間 1915時間으로 經濟協力開發機構(OECD) 38個 會員國 中 다섯 番째로 많다. 하루 쉬어 8時間 勞動을 덜 한다고 해도 5位인 건 그대로다.

制憲節을 다시 公休日로 指定해야 한다. 놀아야 이날이 뭔가 특별한 날이라는 것을 認識할 수 있다. 國慶日이 뭔가. 나라의 경사스러운 날이니 意味를 되새기면서 祝賀하고 놀자는 날이다. 해마다 制憲節에 서울 汝矣島 等에서 불꽃 祝祭가 펼쳐지고, 公休日을 맞은 市民들이 함께 즐기며 民主共和國의 誕生을 祝賀할 수 있기를 期待한다.


조종엽 文化部 次長 jjj@donga.com
#制憲節 #公休日 再指定 #大韓民國 建國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