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東亞 에세이/朴亨埈]살아生前에 못해드린 末 “엄마, 사랑해요”|동아일보

[東亞 에세이/朴亨埈]살아生前에 못해드린 末 “엄마, 사랑해요”

  • Array
  • 入力 2012年 12月 5日 03時 00分


코멘트
박형준 시인
朴亨埈 是認
父母는 살아계실 때 온 精誠을 다해 子息을 사랑한다. 그러나 子息은 父母가 돌아가시고 나면 父母를 사랑한다. 내 꼴이 꼭 그렇다. 아버지 어머니가 살아계실 때 사랑한다는 말을 거의 하지 못했다. 나는 2男 6女의 막내로 자랐지만 어머니로부터 속을 알 수 없는 子息이라는 말을 많이 들었다. 내가 막내여서 사랑받는 게 익숙한 側面이 있어서 그랬을까.

어머니는 내가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섬으로 고춧가루 장사를 떠나시곤 해서 나는 누이들의 등에 업혀 어린 時節을 보냈다. 그래서 어머니는 내가 말이 없는 것을 늦둥이인 데다가 젖을 일찍 떼서 그렇다고 생각하신 模樣이다. 게다가 나는 都市로 일찍 올라온 便이었다. 어머니는 子息에 對한 愛着이 類달리 剛한 분이셨다. 시골에서 서너 달에 한 番꼴로 都會地로 올라와 子息들이 어떻게 사는지 눈으로 確認하고 나서야 直星이 풀리셨다. 八旬이 되셨을 때도 八男妹의 집을 一一이 돌아다니시며, 가지 많은 나무에 바람 잘 날 없는 子息들의 生活을 건사하고 나서야 故鄕집으로 내려가셨다. 그것이 어머니가 一 年에 몇 番꼴로 치르는 子息 巡禮였다.

그 巡禮의 마지막에 恒常 막내의 自炊房이 있었다. 빨래부터 김장까지 老母는 허리가 휘어지도록 일을 하셨다. 내가 일을 끝내고 저녁 무렵에 집에 돌아오면 어머니는 房바닥의 머리칼을 손바닥으로 쓸어내고 계셨다. 房바닥의 머리칼은 房 빗자루보다 손바닥으로 쓸어내는 게 더 淸掃가 잘된다는 거였다. 나는 어머니가 밤에 잠이 드실 때를 除外하곤 내 自炊房에서 便하게 누워계신 모습을 본 적이 없다.

그런 어머니에게 내 속을 드러내고 살갑게 이야기를 해 드린 적이 없었다. 부엌에서 일을 하시는 어머니를 놔두고 나는 文學靑年期人 二十 代부터 내 房으로 들어가 詩를 쓰곤 하였다. 내 新春文藝 當選作 ‘家具(家具)의 힘’도 어머니 때문에 쓰게 되었다. 어느 날 親戚집에 들렀다가 내 自炊房에 들른 어머니가 부엌에서 고구마 筍을 다듬으며 중얼거리는 音聲을 듣게 되었다. 그래도 子息인지라 나는 어머니의 말씀을 안 듣기가 뭐해서 내 房門을 半쯤 열어두었다. 어머니는 고구마 筍을 뚝뚝 부러뜨리며 身世 恨歎하듯 껍질을 벗겨내시며 내 걱정을 하고 계셨다. 2男 6女를 키우느라 손등이 개미처럼 까맣게 타들어간 어머니의 손을 房門 틈으로 힐끔거리며, 나는 내 나름대로 어머니의 말씀에 내 생각을 덧붙이듯이 종이에 받아 적어 내려갔다. 結局 나는 그렇게 偶然히 쓰인 한 篇의 詩로 文壇에 나왔다. 그 詩는 내가 쓴 것이 아니고 어머니가 쓴 것이었다.

나는 七 年 前 네 番째 詩集을 냈을 때 아버지를 잃었고 昨年에 다섯 番째 詩集을 내고 올봄에 어머니를 잃었다. 아버지는 들판에 나가 일을 끝내고 돌아오시면 그저 조용히 房 안의 저녁빛으로 물드는 窓戶紙 아래서 발뒤꿈치의 굳은살을 面刀날로 깎아내는 분이셨다. 나는 아버지가 돌아가시기 前까지 房바닥에 떨어진, 面刀날로 베어낸 발뒤꿈치의 굳은살이 아버지의 설운 삶의 痕跡인지 몰랐다.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나서도 마찬가지였다. 葬禮式 期間에는 눈물이 안 나더니 어머니를 故鄕에 모실 때, 어머니를 下棺할 때에야 허리가 끊어질 듯한 슬픔이 뭔지 알게 되었다.

어머니가 돌아가시기 한 달 前쯤이었다. 어머니는 아버지 돌아가시고 몸이 急激히 衰弱해져 療養院에서 生活하고 계셨다. 혼자 걷지는 못했지만 내가 찾아가 부축해 드리면 나와 함께 療養院 複道를 散策하시길 좋아했다. 그때 어머니에게 내가 正말 살갑게 말했었나 보다. 어머니, 뭐 드시고 싶어요. 어머니는 都統 그런 말씀을 안 하시는 분이셨는데, 초콜릿이라고 하시며 웃으셨다. 하지만 나는 그 約束을 끝내 지켜 드리지 못했다. 그저 携帶電話에 ‘초콜릿’이라는 文字를 貯藏해 놓고 있었다. 어쩌면 그 말이 老母가 내게 그토록 듣고 싶었던 사랑한다는 말은 아니었을까. 子息은 언제나 때늦은 後悔로 어머니를 되새기며 울 뿐이다. 그래도 이 못난 子息의 사랑한다는 뒤늦은 告白을 어머니는 하늘나라에서 아버지와 함께 내려다보시며 받아줄 것이다. 살아生前 언제나 그러셨듯이.

朴亨埈 是認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