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일은 왜 둥글까[서광원의 自然과 삶]〈9〉|東亞日報

과일은 왜 둥글까[서광원의 自然과 삶]〈9〉

  • 東亞日報
  • 入力 2019年 9月 30日 03時 00分


코멘트
서광원 인간자연생명력연구소장
서광원 人間自然生命力硏究所長
當然한 듯한 것에 “왜?”라고 해보면 생각지 못한 것들을 알 수 있다. 例를 들어 나뭇잎은 왜 四角形이 아니라 三角形 模樣의 流線型일까? 조금 더 둥글고 조금 더 긴 게 있지만 나뭇잎들은 大體로 길쭉한 三角形이다. 풀잎도 마찬가지다. 元來 그럴까? 살아있음의 世上에 元來 그런 건 없다. 植物의 잎은 光合成에 必要한 햇빛을 받기 爲한 것이다. 可能한 限 넓어야 하지만 마냥 그럴 순 없다. 颱風 같은 거친 바람에 쉽게 찢어질 수 있다. 그렇다고 작게 만들면 햇빛 받는 게 如意치 않다. 모든 生命體가 겪는 딜레마를 植物도 겪었다. 햇빛을 가장 많이 받으면서 잘 찢기지 않을 순 없을까? 그래서 만들어낸 게 流線型 模樣이다. 수많은 施行錯誤를 통해 찾은 最適化된 形態다.

이뿐인가? 잎은 또 ‘最小 費用 最大 效果’라는 經濟 原理를 具現하고 있다. 가장 적은 에너지로 가장 많은 잎을 만들려면 얇으면서도 질겨야 한다. 얇으면서도 질긴 잎? 이거야말로 矛盾 아닌가? 植物은 여기서도 適切한 解法을 찾아냈다. 가느다란 잎脈을 만들어 强度를 높이고 可能한 限 水平으로 位置하기로 한 것이다. 最大 危機인 바람이 主로 水平으로 불기도 하거니와 햇빛을 잘 받을 수 있는 方法인 까닭이다. 그래서 잎들은 세로로는 쉽게 찢기지만 가로로는 잘 찢기지 않는다. 世上 모든 걸 날려버릴 듯 부는 거친 颱風도 여린 잎 하나를 떨구지 못한다. 나뭇잎 하나, 풀잎 한 張도 그냥 만들어진 게 아닌 것이다.

살아있는 것들이 가진 模樣에는 다 그럴 만한 理由가 있다. 그러면 요즘 같은 가을에 주렁주렁 열리는 과일도 그럴까? 과일은 왜 다들 둥글까?

物理的으로 동그란 形態(球)는 부피 對備 表面的이 가장 작다. 열매를 둥글게 만들면 生存의 核心 要素가 아닌 껍질에 들어가는 에너지를 最小限으로 줄일 수 있다. 또 땅에 떨어졌을 때 어디로든 굴러갈 수도 있다. 잘 굴러갈수록 어미 나무 그늘 밑을 벗어나 제대로 잘 자랄 수 있으니 一擧兩得이다. 事實 알이 둥근 것도 껍질에 드는 費用을 아끼기 위함인데, 알은 과일과 달리 한쪽을 若干 크고 무겁게 만들어 마냥 굴러가지 않도록 한다. 그래야 둥지를 벗어나지 않을 테니 말이다. 우리 눈에 익숙하니 當然한 것 같지만 事實은 다들 刻苦의 努力 끝에 만들어낸 生存戰略의 結果다. 只今도 살아있는 理由다.

우리도 살아가면서 어떤 模樣을 만든다. 表情이나 몸뿐만 아니라 마음도 만든다. 둥글둥글한 사람도 있고 모가 난 사람도 있고 뾰족한 가시 같은 사람도 있다. 둥글둥글하다고 좋은 것도 아니고 모가 났다고 나쁜 것도 아니다. 只今 自身이 있는 곳에 맞는 模樣을 가지고 있느냐, 또는 自身이 가진 模樣을 必要로 하는 곳에 있느냐 하는 게 重要하다. 돌담을 쌓을 때 둥글둥글한 돌만 있으면 담을 쌓을 수 없다. 담을 쌓을 땐 모난 돌이 제格이다.

우리는 只今 어떤 模樣이고, 어떤 模樣을 만들고 있을까? 내 模樣을 必要로 하는 곳에 있을까?

서광원 人間自然生命力硏究所長
#과일 #光合成 #햇빛 #과일模樣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