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스크 視角]兩極化 時代, 株式 投資의 그늘|東亞日報

[데스크 視角]兩極化 時代, 株式 投資의 그늘

  • Array
  • 入力 2011年 8月 22日 03時 00分


코멘트
이은우 경제부 차장
이은우 經濟部 次長
株式 하면 떠오르는 用語로 ‘大박’과 ‘半 토막’은 빠지지 않는 단골이다. 1997年 外換危機를 겪었고, 2000年代 初 ‘벤처 버블’에다 잇단 글로벌 金融危機에 이르기까지 韓國 證市만큼 起伏이 甚했던 곳도 드물기 때문이다. 年末 모임에서는 누가 大舶을 냈고 누군 半 토막이 났다는 式의 얘기가 빠지지 않았다.

이런 屈曲에도 株式人口는 直接投資者만 1995年 243萬 名에서 지난해 478萬 名으로 倍 가까이 늘었다. 2006年부터 펀드와 랩 商品이 人氣몰이를 하면서 株式投資의 底邊은 暴發的으로 擴大됐다. 2006年 末부터 2年 동안 株式型펀드에만 約 100兆 원이 流入됐다. 多樣한 直間接 投資를 합치면 國內 세 家口 中 한 곳은 株式에 投資하고 있다.

投資者와 함께 優良種目度 늘었지만 個人에게 證市는 如前히 만만치 않은 곳이다.

8月 들어 株價 暴落을 이끈 外國人은 2日부터 5去來日 連續 2兆3000億 원어치를 팔아치웠다. 이 期間 時價總額에서 外國人이 차지하는 比重은 32.16%에서 32.30%로 되레 높아졌다. 어떻게 이런 일이 可能할까. 原論的으로 外國人이 판 株式은 以後 더 暴落했고 繼續 保有한 株式은 덜 떨어졌다고 볼 수 있다. 外國人이 팔 때 個人은 샀으니 이番에도 個人은 外國人에게 力不足이었던 셈이다.

個人投資者 사이에서 ‘펀드에 속고 랩에 울고 證市 專門家도 못 믿겠다’는 말도 나온다. 直接投資에 限界를 느껴 專門家가 運用한다는 펀드에 投資했다가 2008年 金融危機 때 失望하고, 暴落場에서 발 빠르게 對應할 수 있다던 랩 商品도 이番 危機에서 全혀 對應을 못했다는 얘기다. 不過 한 달 前까지 年末 코스피 2400∼2500을 호기롭게 외치던 證市 專門家들은 요즘 反省文을 쓰느라 바쁘다.

海外 變數에 脆弱한 經濟構造를 考慮하면 어쩔 수 없는 일이기도 하다. 이런데도 平凡한 主婦와 職場人, 自營業者들이 株式市場에 몰려들고 있다. ‘未來를 準備할 마땅한 投資 方法이 없다’는 것이 가장 現實的인 理由일 것이다. 所得 兩極化가 深化되면서 中産層 比率은 2003年 60.4%에서 2009年 55.5%로 減少했다. 月 所得이 뻔한 國民들은 언제든 貧困層으로 轉落할 수 있다는 不安感에 시달린다. 結局 엄청난 收益을 내고 있는 大企業의 株式에 投資해 希望을 걸어볼 수밖에 없다는 分析이 나온다.

人口 構造로 보면 株式投資는 늘어날 可能性이 크다. 올 初 日本 노무라證券은 株式投資에 積極的인 韓國의 35∼64歲 人口 比重이 2020年 全體 人口의 47.7%까지 올라갈 것이라고 分析했다. 미래에셋증권도 年平均 94萬 名이 태어났던 1958∼1974年生 1600萬 名이 向後 10年 以上 證市를 이끌 것으로 대다봤다. 이들도 ‘餘裕돈으로 分散해서 長期間 投資하라’는 證市 格言 程度는 알고 있다. 實質所得이 늘어날 幾微가 없는 가운데 兩極化만 깊어질 境遇 ‘한탕’을 노린 短期投資 行態가 問題가 될 수 있다. 18日 金融當局은 家計貸出 規制에 나섰다. 빚내서 株式에 投資하는 行爲를 막겠다는 것도 規制 理由의 하나였다. 그런 投資者를 辯護할 생각은 없지만 그들 中 一部는 未來가 不安한 平凡한 家長일 수도 있다는 것은 지나친 臆測일까.

이은우 經濟部 次長 libr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