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눈물젖은 김밥, 試鍊의 2年… 雇傭센터서 웃음 되찾았죠”|동아일보

“눈물젖은 김밥, 試鍊의 2年… 雇傭센터서 웃음 되찾았죠”

  • 入力 2009年 3月 2日 03時 00分


“눈물 젖은 김밥 대신 요즘엔 웃음꽃 핀 밥 먹어요!” 지난해 노동부 산하 취업센터 ‘광주종합고용지원센터’를 통해 공기업에 재취업한 이재혁 씨. 김미옥 기자
“눈물 젖은 김밥 代身 요즘엔 웃음꽃 핀 밥 먹어요!” 지난해 勞動部 傘下 就業센터 ‘光州綜合雇傭支援센터’를 통해 公企業에 재취업한 이재혁 氏. 김미옥 記者
‘맞춤敎育’으로 仁川都開公 再就業 이재혁 代理

“여보, 김밥 먹고 힘내요!”

김밥 한 個, 두 個, 세 個…. 목이 멘다. 벌컥벌컥 물을 마셔본다. 어느새 두 눈에서 뜨거운 눈물이 주르르 흐른다. 집을 나설 때만 해도 이러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하지만 낮 12時. 아내가 정성스레 싸준 김밥 앞에서 限없이 무너져 내린다. “두 子女의 아빠, 한 女子의 男便이다” “마음 단단히 먹자”라고 몇 番이고 되뇌었다. 하지만 오늘도 그 約束을 지키지 못할 것 같다….

2年 넘게 失職의 아픔을 맛본 뒤 仁川廣域市 都市開發公社 團地事業 事業1本部 黔丹事業處에 再就業하는 데 成功한 이재혁 代理(41). 3年 前 그에게 點心時間은 40年 남짓 살아온 人生 中 가장 외롭고 힘든 瞬間이었다. 아내가 싸준 김밥은 삶의 에너지인 同時에 무거운 짐이었다.

光州에 있는 어엿한 建設會社의 課長이던 그를 ‘失業者’로 만든 것은 한 工事現場의 崩壞 事故였다. 事故가 나자 現場 工事誇張을 맡고 있던 그에게는 ‘事故 誇張’이라는 ‘朱紅 글씨’가 새겨졌다. 2006年 3月, 結局 그는 쫓기듯 짐을 쌌다. 아직 서른여덟이었다.

“아내에게 말할 方法을 찾다가 함께 夫婦旅行을 떠났죠. 已往 會社를 관둔 김에 ‘技術士 資格證’을 따서 몸값을 높이겠다는 얘기를 했어요. 아내는 아무 말 없이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旅行에서 돌아온 後 그는 每日처럼 光州 무등圖書館으로 出勤했다. 午前 6時 氣象, 7時 半까지 圖書館 到着, 午後 11時 歸家. 技術士 資格證을 取得한 後輩로부터 冊을 물려받고 인터넷 動映像 講義도 들으며 試驗에 매달렸지만 結果는 失敗였다.

失意에 빠진 그에게 새 삶을 열어준 곳은 지난해 1月 韓國雇傭情報院을 통해 찾아간 勞動部 傘下 ‘光州綜合雇傭支援센터’였다.

“相談員은 절 보자마자 ‘요즘이 어떤 世上인데…’라며 꾸짖었어요. 自信感을 되찾는 것이 1次 目標였죠.”

그는 支援센터에서 ‘나의 長點 表現하기’를 비롯해 履歷書 作成, 面接 實習 等 1週日짜리 成就 프로그램을 敎育받았다. 特히 ‘파워포인트’를 利用한 ‘프레젠테이션 敎育’이 큰 도움이 됐다. 適切히 寫眞을 配置하는 法부터 核心 키워드 뽑는 法 等 面接官들을 사로잡는 技術을 익혔다.

敎育이 끝나자 仁川廣域市 都市開發公社 經歷職에 願書를 냈다. 土地 設計에 對한 主題 發表 過程에서 다른 志願者들이 ‘워드 소프트웨어’ 發表에 그친 것에 비해 그는 直接 現場을 訪問해 찍은 寫眞을 파워포인트에 넣었다. 差別化하기 위해서였다. 또 ‘前職 誇張’이라는 體面에 얽매이지 않고 눈높이를 낮춰 代理(5級)職에 支援했다.

마침내 지난해 5月 그는 合格通知書를 받아들었다. 다들 부러워하는 公企業이었다.

“第一 重要한 건 自信感이죠. 消極的 態度 代身 스스로 長點을 찾아 積極的으로 行動하는 것이 重要해요. 동아일보의 ‘2009 함께하는 希望 찾기―일자리가 살길이다’ 캠페인을 통해 많은 분들이 저처럼 새로운 삶을 찾았으면 해요.”

김범석 記者 bsism@donga.com

▶ 東亞닷컴 主要記事

- 한나라 車明進 議員 민주 黨職者에 목졸려 病院行

- 漢나라 “이럴려고 本會議場앞 占據했나” 激昂

- 人權委 ‘전여옥 議員 暴行犯’ 昨年 勳章 推薦

- 亞麻는 돈 못번다?… 年 40億 廣告收益 金姸兒를 보라!

- 國民고某 오영실 “男便은 내가 백지연처럼 되길 바랬는데…”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