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東亞 오프블로그/뒷얘기]리조트에 1年間 滯在費… KT ‘쿡街代表 選拔’ 아이디어 어떻게|동아일보

[東亞 오프블로그/뒷얘기]리조트에 1年間 滯在費… KT ‘쿡街代表 選拔’ 아이디어 어떻게

  • 入力 2009年 9月 22日 02時 51分


코멘트
리조트에 1年間 滯在費… KT ‘쿡街代表 選拔’ 아이디어 어떻게
南太平洋 ‘쿡아일랜드’ 存在 알고 “바로 이거다”

“南太平洋 섬나라, 에메랄드 빛 바다가 보이는 最高級 리조트에서 空짜로 1年間 마음껏 쉴 수 있다면….”

꿈같은 얘기다. 하지만 KT가 10月 4日까지 벌이는 ‘쿡街代表(QOOK家代表) 選拔戰’에 當籤되면 이런 꿈이 이뤄질 수 있다. KT는 當籤者 1名에게 쿡아일랜드(쿡 制度)의 리조트를 1年間 빌려주고 滯在費度 준다. 리조트 賃借料는 1億 원, 滯在費는 3000萬 원.

누리꾼 사이에서는 ‘쿡아일랜드가 實際로 存在하는 섬인지’(ID rmrmrm07), ‘KT가 이벤트를 벌이려고 쿡 아일랜드를 산 것인지’(ID ogisafan) 等의 궁금症이 잇따르고 있다. 이 캠페인의 實務者인 이수호 KT 統合이미지擔當 部門 科長에게 ‘쿡아일랜드 開拓期’를 들어봤다.

올해 3月 KT의 새로운 브랜드가 ‘쿡(QOOK)’으로 定해지자 마케팅 擔當者들은 머리를 싸맸다. 그러던 中 偶然히 쿡아일랜드가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 처음에는 이들도 半信半疑했다. 쿡아일랜드가 地球上에 있는 곳인지 確認하는 게 急先務였다.

確認 結果 쿡아일랜드는 섬 15個로 이뤄진 人口 2萬 名의 自治領이었다. 英國 航海士 제임스 쿡(Cook)李 18世紀 末 最初로 發見했다고 해서 이름이 쿡아일랜드(Cook Islands)가 됐다. 美國 人氣 리얼리티 쇼 ‘서바이버’의 背景이 됐던 곳으로 每年 觀光客 9萬 名이 몰린다. 지난해 中國 베이징 올림픽 開幕式에서는 103番째로 入場하기도 했다.

마케팅 擔當者들은 이를 잘 活用하면 勝算이 있겠다 싶었다. 올해 1月 濠洲 퀸즐랜드 觀光廳이 濠洲의 한 섬을 空짜로 즐기며 섬을 弘報할 사람을 뽑는 ‘꿈의 職業(The best job in the world)’ 캠페인을 벌인 點도 떠올랐다.

KT가 쿡아일랜드에서 ‘韓國版 꿈의 職業’ 캠페인을 벌이는 自體로 弘報效果를 톡톡히 볼 것이라는 計算이 나왔다. 特히 쿡아일랜드의 집 한 채를 통째로 빌려주는 것은 쿡TV(인터넷TV) 等으로 愉快한 집을 만든다는 KT의 戰略과도 맞아떨어졌다.

問題는 쿡아일랜드의 關係者를 接觸하는 일. 쿡아일랜드 政府의 홈페이지를 찾았지만 擔當者를 찾기는 힘들었다. 隣近 國家인 뉴질랜드 旅行社에 搜所聞한 끝에 쿡아일랜드 觀光廳을 紹介받았다. 하지만 한 番 連絡하면 應答을 받기까지 2, 3日 걸리는 게 茶飯事. 답답한 나머지 이 課長은 올해 7月 쿡아일랜드로 날아갔다. 以後 提携事業은 一瀉千里로 이뤄졌다. 쿡아일랜드 觀光淸道 “KT와의 提携를 契機로 아시아圈에 쿡아일랜드를 弘報하고 싶다”며 積極的이었다.

最近 쿡 아일랜드의 테레페 마와테 副總理가 訪韓해 李錫采 KT 會長과 쿡街代表 選拔戰 等 브랜드 協力을 담은 內容의 諒解覺書(MOU)를 맺었다. 쿡街代表 選拔戰 參與 希望者는 ‘www.qook.co.kr/qook_islands’에 申請하면 된다. 李 課長은 “가장 愉快한 사람이 이番 選拔戰의 勝者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영 記者 abc@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