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專門醫 칼럼]10年 後 ‘腦卒中 醫療 空白’ 막으려면 診療 環境 바꿔야|동아일보

[專門醫 칼럼]10年 後 ‘腦卒中 醫療 空白’ 막으려면 診療 環境 바꿔야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11月 23日 03時 00分


코멘트

〈3〉腦卒中 診療

게티이미지코리아
게티이미지코리아
갑작스레 發生하는 腦血管 閉鎖로 인해 偏痲痹, 言語障礙, 어지럼症 等 다양한 症狀을 보이는 腦卒中은 國內 死亡 原因 4位 疾患이다. 現在 年間 10萬 名의 急性 腦卒中 患者들이 發生하고 있으며 患者 數 亦是 每年 增加 趨勢다. 多幸히 治療 藥劑와 方法이 改善되면서 死亡率은 오히려 減少하는 趨勢다.

다만 이처럼 治療 藥劑와 方法은 過去에 비해 많은 發展을 이뤘음에도 몇 가지 解決되지 못한 課題들이 效果的인 腦卒中 治療를 가로막고 있다. 가장 時急하게 解決해야 할 課題는 專門 人力의 確保다. 腦卒中은 疾患 特性上 迅速한 措置를 위해 365日 24時間 專門醫의 상주가 必要하다. 腦卒中 患者가 發生하면 專門醫는 分秒를 다투며 檢査와 應急 施術 또는 手術을 進行하며, 患者 1名을 3∼4時間씩 觀察해야 한다. 하지만 大學病院級에도 腦卒中 分野別 專門醫는 1∼2名에 不過하고 程度의 差異는 있겠지만 株當 100時間이 넘는 業務 强度를 ‘使命感’으로 버티는 일이 非一非再하다. 現實이 이렇다 보니 腦卒中을 專攻하는 醫師는 갈수록 줄어들고, 人力 確保는 더욱 어려워지는 惡循環을 낳는다.

이를 打開하기 위해서는 專門醫에 基盤한 腦卒中 常時 診療시스템 構築이라는 課題를 더 以上 個別 病院의 몫으로만 돌려서는 안 된다. 現在의 應急醫療體系와 같이 國家 政策에 基盤해 適正 規模의 人力으로 診療시스템을 構築할 수 있도록 支援해야 하고, 現實的인 醫療酬價를 策定하는 等 腦卒中 專門醫의 業務 强度에 對한 補償 亦是 뒷받침돼야 할 것이다.

백장현 강북삼성병원 신경과 교수 (대한신경중재치료의학회 홍보·대외협력 이사)
백장현 강북삼성병원 神經과 敎授 (大韓神經仲裁治療醫學回 弘報·對外協力 理事)
더불어 專門 診療科 間의 協力에도 關心과 支援이 必要하다. 腦卒中 專門 診療科는 神經科, 神經外科, 映像醫學科가 있다. 神經과는 腦卒中의 一線 診療와 選別, 첫 診斷과 함께 腦卒中 中 主로 血管 閉塞이 原因인 腦硬塞(虛血性 腦卒中)을 擔當한다. 神經外科는 主로 出血이 原因인 腦出血(出血性 腦卒中)을 包含한 各種 腦卒中의 手術的 治療를 擔當한다. 映像醫學科는 腦卒中의 主要 治療 方法인 腦血管仲裁施術(血戰除去술이나 코일色戰術 等)을 擔當한다. 그間 腦卒中 診療는 이 세 診療科의 有機的인 協力 아래에 이뤄져 왔는데, 最近 專門 人力의 減少 等으로 協業體系가 瓦解되고 있어 憂慮스럽다. 앞으로의 腦卒中 關聯 政策에는 이러한 各 專門 診療科의 役割을 合理的으로 規定하고 조화롭게 運營될 수 있도록 支援하기 위한 內容도 反映돼야 할 것이다.

腦卒中 集中治療가 可能한 心腦血管疾患센터의 不足 및 未洽한 運營도 持續的으로 提起되는 問題다. 最近 圈域別 心腦血管疾患센터를 中心으로 醫療機關, 119救急隊 等 地域 實情에 맞게 네트워크를 構成, 疾患의 發生부터 最終 治療까지 時間을 短縮해 治療 成果를 높이고자 하는 ‘應急心腦血管疾患 傳達體系 改編 示範事業’을 施行한다고 하는데, 이러한 示範事業의 成果에 基盤해 全國的인 心腦血管疾患센터의 增設과 再整備도 이뤄지기를 期待해 본다.

高齡社會로 접어들면서 우리나라의 腦卒中 患者 增加勢는 더욱 가팔라질것으로 展望된다. 2030年에는 年間 腦卒中 發生者 數가 35萬 名에 이를 것으로 推算된다. 只今의 狀況을 繼續 放置한다면 10年 後에는 醫療 空白이 深化돼 社會的 問題가 惹起될 수 있다. 只今부터라도 政府와 醫療界 從事者들이 關心을 갖고 持續 可能한 腦卒中 診療 環境을 만들기 위해 努力해야 한다.

백장현 강북삼성병원 神經과 敎授 (大韓神經仲裁治療醫學回 弘報·對外協力 理事)
#헬스東亞 #健康 #醫學 #專門醫 칼럼 #腦卒中 醫療 空白 #診療 環境 #腦卒中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