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健康]癌患者 밥床健康學! ‘What(무엇)’ 보다 ‘How(어떻게)’!|동아일보

[健康]癌患者 밥床健康學! ‘What(무엇)’ 보다 ‘How(어떻게)’!

  • Array
  • 入力 2010年 6月 21日 03時 00分


코멘트
經濟協力開發機構(OECD)의 最近 發表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境遇 癌 死亡率은 人口 10萬 名當 242名으로 OECD 會員國 中 네 番째로 높다. 特히 飮食은 癌을 誘發하는 重要한 原因 中 하나다.

이에 따라 最近 癌을 豫防하거나 克服하기 위한 方法으로 ‘食習慣’에 對한 關心이 늘고 있다. ‘무엇을’ 먹느냐보다 ‘어떻게’ 먹느냐가 더 重要하기 때문이다.

癌을 豫防하거나 克服하기 위해 自然休養 웰니스센터 힐里언스 선마을이 提供하는 食單을 參考해 보는 건 어떨까. 힐里언스 선마을은 癌을 豫防하고 癌이 再發하는 것을 防止하기 위한 ‘知彼知己 暗轉百勝(知彼知己 癌戰百勝)’ 프로그램을 運營한다.

癌 患者들은 纖維質과 비타민이 豐富한 綠黃色 菜蔬와 과일을 每日 攝取해 주는 것이 좋다. 또한 每끼 김치를 除外하고 3, 4가지 菜蔬 飯饌을 攝取해야 한다. 이때 비타민C와 葉酸 等이 많은 菜蔬는 營養素 破壞를 막기 위해 살짝 익히거나 生으로 먹는 것이 낫다.

선마을 諮問委員인 서울아산병원 放射線 腫瘍學科 이상욱 敎授는 “癌 患者들은 過多한 肉類攝取를 삼가야 한다”면서 “癌細胞도 蛋白質로 構成되어 있기 때문에 蛋白質이 많으면 癌細胞 增殖이 促進될 可能性이 커진다”고 말했다.

蛋白質이 體內에서 分解될 때 만들어지는 ‘아민’이라는 物質은 發癌物質인 ‘니트로소아민’의 原料가 된다. 따라서 癌 患者들은 기름氣가 적은 肉類나 등 푸른 生鮮 等으로 適切한 量의 蛋白質을 攝取해야 한다.

癌 患者들은 먹는 ‘陽’에도 神經을 써야 한다. 平素 먹는 量의 50% 程度만 攝取하면 疲勞를 덜 수 있고, 正常體重을 維持할 수 있기 때문이다.

‘癌患者 食單’을 맡고 있는 고현영 營養士는 “아침 食事를 하기 前에 가벼운 散策을 마치고 基礎 體溫을 維持하도록 대추茶나 生薑茶를 若干 달게 마시는 것이 좋다”면서 “집에서 飮食을 해먹을 때 힐里언스 선마을 食單을 活用하는 것도 方法”이라고 말했다.

知彼知己 暗轉百勝 프로그램은 2泊 3日 日程으로 7月 넷째 週에 進行된다. 그 外에도 食習慣 改善을 願하는 사람은 6泊 7日 過程의 ‘生活習慣 改善프로그램’에 參與할 수 있다. 問議 및 接受 1588-9983

정석교 記者 stayfun@donga.com

※ 본 記事는 醫療專門 정선우 辯護士의 監修를 받았습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