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希望바이러스] <1>朱紅글씨를 지워라|동아일보 </1>

[希望바이러스] <1>朱紅글씨를 지워라

  • 入力 2009年 7月 20日 02時 56分


《2000年 大學校 4學年 때 交通事故로 全身에 큰 火傷을 입은 二至線 氏(30). 힘겨운 治療過程을 거치면서도 ‘智詵아 사랑해’ ‘오늘도 幸福합니다’라는 冊을 썼던 그女. 現在 美國 컬럼비아대에서 社會福祉 碩士課程을 밟고 있는 李 氏의 世上 사는 이야기를 隔週로 紹介한다.》

全身火傷… 새 얼굴… 그래도 난 이지선

9年 前 大學 4學年이었던 어느 여름날, 뜻하지 않은 交通事故를 當했다. 23年을 살면서 單 한 番도 接하지 않았던 火傷과 病院, 手術이 日常이 되었다.

K大學病院 7層 맨 끝 病室에서 언제 끝날지 모르는 싸움을 始作한 뒤로 난 ‘二至線’이라는 이름을 잃은 채 ‘Burn(畫像)’으로 불렸다. 醫療陣들이 患者의 이름을 다 외울 수 없어 그 病名을 마치 이름인 듯 指稱해서다. 當時에 火傷患者度 거의 없던 病院인지라 ‘번(burn)’이라고 부르면 헷갈릴 것도 없이 나를 말하는 것이었다.

그것도 된 發音으로 ‘뻔’으로 불리는데 한 番도 내色하지 않았지만 참 싫었다. 나를 나라고 證明할 얼굴皮膚度 다 잃었고, 그래서 皮膚 代身 繃帶를 감고 있었지만 나는 이지선이었다. 여덟 個의 손가락 切斷으로 나만의 固有性을 보여줄 至文도 잃어버렸지만 그래도 나는 이지선이었다. 그런데 ‘번’으로 불리는 瞬間 ‘사람’ 이지선은 사라지고 治療받아야 할 ‘火傷傷處’만 남았다. 어느 날 갑자기 만난 病과 傷處 앞에서 病名만 남은 ‘몸뚱이’의 主人이 되는 經驗은 갑작스레 닥친 事故만큼이나 衝擊的이었다.

事故 後 7個月이 지나서야 얼굴에 皮膚移植 手術을 받고, 期待와는 全혀 다른 ‘새 얼굴’을 가지게 됐다. 새 얼굴을 對할 때마다 머릿속에서 그 이미지를 지우려고 애썼던 적도 있었다. 하지만 새로운 人生의 意味를 찾고, 使命을 깨달았다. 그제야 나는 처음으로 거울 앞에 섰고, 거울 속의 나 自身에게 ‘안녕’이라고 人事를 했다. 그리고 새 얼굴의 나에게 다시 ‘二至線’이라고 불러주었다.

그러나 얼굴 皮膚를 가졌다고 해도 如前히 火傷患者였다. 자꾸 줄어드는 새 皮膚는 四方에서 당겨져서 漸漸 더 무서운 얼굴로 變해갔다. 웃어도 우는 것 같은, 女子인지 男子인지 區分할 수 없는 스물네 살 나의 새 얼굴을 보고 한 꼬마는 ‘怪物’로 불렀고 또 한 아저씨는 ‘아줌마’로 불렀다.

事故 前 모습과 닮은 구석이라곤 하나도 없는 當時의 얼굴은 그저 同情의 對象일 뿐이었다. ‘쯧쯧쯧’ 혀를 차는 소리는 죽기보다 더 듣기 싫었지만 韓國의 文化에서는 어쩌면 들어 마땅한 그런 얼굴이었는지 모르겠다. 모두가 ‘저러고 어떻게 사나, 나 같으면 죽어버리겠다’는 말을 자연스럽게 할 만큼, 하늘이 준 生命을 버려도 異常할 것 없는 그런 얼굴이었는가 보다.

30餘 次例의 手術로 이제 더는 ‘怪物’이라고 不利地圖 않고 또 ‘아줌마’라고 불려도 어쩔 수 없는 나이에 슬슬 가까워지고 있는 只今. 나는 如前히 떼어낼 수 없는 修飾語를 달고 다닌다. 나를 紹介하는 모든 말과 글에는 ‘不意의 交通事故’, ‘前身 55%의 3度 火傷’ 같은 修飾語가 ‘二至線’이라는 이름에 언제나 앞장 서 있다. 떼어낼 수 없는 朱紅글씨처럼….

나의 冊이 베스트셀러가 되었지만 아직 ‘作家 이지선’은 나의 ‘아이덴티티’가 되기엔 좀 不足하다. 美國 보스턴代에서 再活相談學 碩士課程을 마쳤고 來年 5月이면 컬럼비아大 社會福祉 碩士學位를 받겠지만 나는 如前히 火傷患者이다.

卒業 後엔 博士課程에 들어가 火傷治療만큼이나 길고도 어려운 留學生活에 다시 挑戰하려고 한다. 烙印처럼 따라다니는 지긋지긋한 ‘畫像’이라는 單語를 떼어내기 위해서다. 이 社會에서 意味 있는 일을 하며 살아가면서 나를 說明하고 代表할 수 있는 ‘무엇’을 만들어 가고 싶다. 그것이 무엇이 될지 마음속에 그려본다. 더는 이름 석 字 앞에 至毒한 運命과 和解하고 살아간다는 新派調의 긴 說明이 붙지 않아도 되는, 그런 正體性을 가진 ‘나’로 거듭나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고 싶다. 오늘의 내가 앞으로 어떻게 불릴지 期待하면서 말이다.

이지선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