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은영의 父母마음 아이마음]〈77〉말하려 努力하는 아이에게 稱讚과 激勵를|동아일보

[오은영의 父母마음 아이마음]〈77〉말하려 努力하는 아이에게 稱讚과 激勵를

  • 東亞日報
  • 入力 2019年 5月 21日 03時 00分


코멘트

아이가 갑자기 말 더듬을 때

일러스트레이션 김수진 기자 soojin@donga.com
일러스트레이션 김수진 記者 soojin@donga.com
오은영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오은영 소아청소년클리닉 원장
오은영 精神健康醫學科 專門醫·오은영 小兒靑少年클리닉 院長
育兒를 하다 보면 아이가 一定 期間 갑자기 말을 더듬는 것을 볼 때가 있다. 統計에 依하면 萬 2∼5歲 12名 中 1名은 말을 더듬는다고 한다. 多幸히 이 아이들 中 75%는 특별한 治療 없이 말 더듬는 問題가 저절로 없어진다. 아이들은 왜 말을 더듬을까? 여러 가지 理由가 있다. 于先 말로 表現하는 것에 對해 不安感을 가지고 있는 境遇 그럴 수 있다. 氣質的으로 小心하고 自身이 없는 아이일수록 말로 自身을 表現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래서 말을 할 때 躊躇하거나 머뭇거릴 때가 많은데 그러다 보니 더듬게 되는 것이다. 完璧主義的인 性向이 있는 아이들도 그럴 수 있다. 이 아이들은 100% 正確하지 않으면 선뜻 表現하려 하지 않는다. 充分히 自身이 없는데 말을 해야 하면 緊張感이 높아져 말을 더듬을 수 있다. 家族歷이 있어도 그럴 수 있다.

言語 發達 過程의 다양한 原因에 依해서도 말을 더듬을 수 있다. 첫째, 말하는 速度가 너무 빠르거나 말을 너무 急하게 하는 境遇다. 둘째, 아직 充分하게 言語 發達이 되지 않은 狀態에서 마음이 急해지거나 興奮했을 때 말을 하게 되는 境遇다. 셋째, 머릿속에 생각은 많은데 이 생각이 말로 表現될 만큼 아직 言語가 發達되지 않았을 境遇다. 以外에도 注意 集中을 잘 못하는 아이, 卽 散漫한 아이들도 말을 種種 더듬곤 한다. 생각이 宏壯히 빠르고 順次的으로 차근차근 進行되지 않기 때문이다. 例를 들어 幼稚園에서 點心時間에 무엇을 먹었는지 엄마와 이야기하면서 머리는 벌써 그 다음에 親舊와 놀았던 것을 생각하느라 말을 더듬을 수 있다. 結局 認知的 衝動性 때문에 일어나는 現象이다. 6歲 以前에 나타나는 말 더듬는 現象은 大部分 成長하면서 자연스럽게 없어지는 境遇가 많지만, 6歲 以後부터 就學 後까지 持續되면 仔細한 評價와 診斷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그렇다면 아이가 말을 더듬을 때 父母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무엇보다 아이가 말을 더듬더라도 中間에 介入해서 아이의 말을 끊지 말고 끝까지 들어 주어야 한다. 父母들 中에는 아이가 말 더듬는 것이 답답해서 中間中間에 끼어드는 境遇가 많다. “천천히 다시 말해” “發音을 正確하게 해야지” “숨 좀 쉬면서 말 해” “못 알아듣겠잖아” 하면서 자꾸 아이의 말을 끊는다. 이렇게 되면 아이는 便安하고 自由로운 狀態에서 自己表現을 하기가 어렵다. 中間에 中止시켰다가 다시 말하게 하면 아이의 緊張感과 不安感이 더 높아져서 이 때문에 말을 더듬는 것이 더 심해질 수도 있다.

또 아이에게 얼른 말하라고 재촉하거나 强要하지 않아야 한다. 아이가 말을 더듬는다면 아이의 생각이 머릿속에서 整理될 때까지 조용히 기다려 주는 것이 좋다. 생각이 채 整理되기도 前에 아이에게 말을 하라고 强要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父母 自身도 천천히 생각을 整理해서 말하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는 것이 좋다. 또한 아이의 말에 應答하기 前에 잠깐 멈춰서 時間을 가졌다가 反應해 준다. 이를 통해서 아이의 말하는 速度와 페이스를 바꿔 줄 수가 있다.

아이들끼리 서로 말하는 競爭을 하는 狀況도 만들지 말아야 한다. 例를 들어 父母가 職場에서 일을 마치고 집에 돌아오면 아이들이 서로 먼저 父母에게 自己 일을 말하려고 할 때가 있다. 그러다 보면 한 아이의 말이 끝나기 무섭게 다른 아이가 바로 그 말을 채 가서 自己 말을 하게 되고, 또 그 말을 함과 同時에 다른 아이가 끼어들어 말을 하기도 한다. 이처럼 말을 하는 것을 競爭하는 雰圍氣가 되면 急한 마음에 아이가 말을 더듬을 수 있고 더듬는 것이 심해질 수도 있다.

아이가 말을 하는 狀況에서 無言의 壓迫을 주지도 말아야 한다. 例를 들어 外出했다가 돌아온 엄마가 “할머니께서 오늘 네가 어떻게 지냈는지 엄마한테 다 이야기해 주셨는데…”라며 다 알고 있다는 式의 말을 하면, 아이는 말을 하기 前부터 壓迫感을 느낄 수 있다. 이런 狀態에서는 말을 더 더듬을 수 있다.

요즘처럼 바쁜 社會에서는 父母와 아이가 便安한 마음으로 수다를 떨 時間이 別로 없다. 말을 더듬는 아이일수록 緊張을 이완시킬 수 있는 狀態에서 父母와 便安하게 이야기하는 機會를 많이 주어야 한다. 그래야 아이가 말하는 것에 自信感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父母는 아이가 말을 더듬는 것에 重點을 두지 말고, 말하는 內容이나 말하려고 努力하는 것 自體에 意味를 두고 激勵와 稱讚을 하려고 努力해야 한다.
 
오은영 精神健康醫學科 專門醫·오은영 小兒靑少年클리닉 院長
#말 더듬을 때 #言語 發達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