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日右翼, 무라야마 植民謝罪 反撥해 세운 ‘侵略 巨塔’|東亞日報

日右翼, 무라야마 植民謝罪 反撥해 세운 ‘侵略 巨塔’

  • 東亞日報
  • 入力 2013年 9月 17日 03時 00分


코멘트

[日 右傾化의 뿌리, 現場을 가다] <5·끝>太平洋戰爭 正當化하는 大東亞聖戰對備

[1]2000년 8월 일본 이시카와 현 가나자와 시에 세워진 대동아성전대비. [2]이 비석의 뒤편에 적힌 ‘팔굉위우’는 전 세계를 일왕 아래 한집안으로 한다는 의미로 일본이 아시아를 침략할 때 내세운 슬로건이었다. [3]비석 설립 단체는 식민 지배를 받았던 한국도 비석 건립에 찬성한다고 선전하기 위해 한국인 이름을 본인이나 유족의 동의도 받지 않고 새겨 넣었다. 가나자와=박형준 특파원
[1] 2000年 8月 日本 이시카와 現 가나자와 市에 세워진 帶同牙城前對備. [2] 이 碑石의 뒤便에 적힌 ‘팔굉위우’는 全 世界를 日王 아래 한집안으로 한다는 意味로 日本이 아시아를 侵略할 때 내세운 슬로건이었다. [3] 碑石 設立 團體는 植民 支配를 받았던 韓國도 碑石 建立에 贊成한다고 宣傳하기 위해 韓國인 이름을 本人이나 遺族의 同意도 받지 않고 새겨 넣었다. 가나자와=朴亨埈 特派員
日本 右翼 勢力들이 第2次 世界大戰 終戰 50周年을 맞던 1995年 大型 碑石 세우기 運動을 통해 內閣과 議會의 過去事 反省 政策을 뒤집어엎는 試圖를 했다.

當時 衆議院은 “日本이 過去에 行한 行爲나 타 國民, 特히 아시아 여러 民族에게 준 苦痛을 認識하고 깊은 反省의 뜻을 表明한다”는 決議案을 發表했다.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總理도 植民 支配와 侵略을 謝罪하는 談話를 내놨다.

危機感을 느낀 日本 右翼들은 反擊의 機會를 찾았다. 이시카와(石川) 現 가나자와(金澤) 市의 右翼團體 ‘日本을 지키는 모임’도 마찬가지였다. 이 모임은 衆議院 決意를 ‘亡國의 謝罪’라 규정짓고 “亡國 狀態에 對한 反擊은 千萬 마디 말보다 對比(大碑) 建立으로 맞서야 한다”고 主張했다.

그 後 全國的인 募金 運動을 벌여 1億 엔(약 11億 원)을 모았고 2000年 8月 4日 가나자와 市內 한복판에 大型 碑石을 세웠다. 바로 ‘帶同牙城前對備(大東亞聖戰大碑)’다.

12日 이 碑石이 세워진 혼다老母里 公園을 찾았다. 碑石은 가로 4m, 높이 12m로 버스에서 내리면 한눈에 보일 程度로 雄壯했다. 正面 윗部分에는 히노마루(日章旗) 模樣의 붉은 圓이 있고 그 아래로 大東亞聖戰對備라 적혀 있다. 侵略 戰爭을 美化한 ‘聖戰’이라는 文句가 碑石 正面에 鮮明하게 새겨진 것이다.

碑石의 뒤便에는 ‘팔굉위우(八紘爲宇)’라고 적혀 있었다. 全 世界를 日王 아래 한 집안으로 한다는 뜻이다. 미야자키(宮崎) 現 미야자키 詩에 있는 ‘八紘一宇(八紘一宇) 塔’에 새겨진 文句와 같다. 日本은 이 슬로건을 내세우며 아시아 侵略을 恣行했다.

參拜客들은 그리 많지 않았다. 1時間 동안 선글라스를 낀 20代 男性, 아기를 안은 夫婦, 70代 老人 等 3名이 다녀갔을 뿐이었다. 70代 老人에게 碑石의 意味를 물었더니 意外로 親切히 答해줬다.

“徹底히 右翼의 論理를 代辯하는 塔이다. ‘大東亞戰爭’이라는 이름부터 右翼의 視角을 담고 있다. 그걸 ‘聖戰’이라고 했으니 아시아 侵略을 옳다고 보는 것이다.”

日本은 1941年 말 아시아 侵略을 始作하며 “西洋의 植民 支配로부터 解放되려면 日本을 中心으로 大東亞共榮圈을 結成해야 한다”고 主張했다. 大東亞戰爭이란 말에는 侵略 戰爭이 아니라 植民地 解放戰爭이라는 視角이 담겨 있다.

老人은 “15年 前 募金 運動이 벌어질 때 나도 寄附를 했다. 하지만 대놓고 日本의 侵略戰爭을 美化하는 塔이 만들어질지는 몰랐다”고 말했다. ‘韓國에서 왔다’고 밝히자 “韓國에는 참 未安한 塔”이라고 덧붙였다.

碑石의 基壇(基壇)에는 寄附金을 낸 個人 646名과 團體 275個 이름이 새겨져 있었다. 當時 5萬 엔의 寄附金을 내면 이름 하나를 새길 수 있었다. 꼼꼼히 살펴보니 韓國人 9名의 이름도 보였다. 團體 이름에는 박동훈(朴東薰) 김상필(金尙弼) 최정근(崔貞根) 탁경縣(卓庚絃) 이왕은(李王垠) 等 5名이 包含돼 있었고, 個人에 한정실(韓鼎實) 李賢在(李賢載) 이윤범(李允範) 度봉룡(都鳳龍) 等 4名이 새겨져 있었다.

碑石을 만드는 데 主導的 役割을 했던 帶同牙城前對備 호지(護持)會(옛 ‘日本을 지키는 모임’)에 連絡을 했지만 인터뷰를 拒絶했다. 代身 이 碑石의 撤去를 要求하는 市民團體 所屬의 야마구치 다카시(山口隆) 氏를 만났다. 그는 “右翼들이 碑石을 만들며 朝鮮人들도 大東亞戰爭에 贊成하고 있다고 宣傳하기 위해 無斷으로 이름을 새긴 것”이라고 說明했다. 그는 “一部 連絡이 닿은 遺族들은 이름이 새겨진 事實을 全혀 모르고 있었다. 遺族들이 訴訟을 檢討했지만 費用 等 問題로 抛棄했다”고 덧붙였다.

帶同牙城前對備 바로 옆에는 直四角形 模樣의 碑石이 하나 더 있다. 大東亞聖戰對備는 太平洋戰爭에 對한 仔細한 說明이 없기 때문에 一般人들이 碑石의 意味를 把握하기 힘들다는 指摘에 따라 2010年 8月 4日에 따로 세워졌다.

碑石에는 ‘日本은 決코 軍國主義나 植民 支配를 하지 않았다. (오히려) 解放시킨 歷史가 있다. 天命에 따른 戰爭이라는 眞實을 알아야 한다’는 內容이 새겨져 있었다.

이 公園에서 每年 8月 4日 聖戰 記念行事가 열린다. 每年 持續的으로 行事를 열며 歪曲된 歷史를 傳播하는 現場이다. 야마구치 氏는 “日本이 右傾化되면서 漸次 大東亞戰爭을 아시아 解放戰爭으로 보는 사람들이 늘고 있어 안타깝다”고 歎息했다.


가나자와=朴亨埈 特派員 lovesong@donga.com
#右傾化 #日本 #帶同牙城前對備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