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文化 칼럼/김용택]나의 映畫 데뷔(?)기|동아일보

[文化 칼럼/김용택]나의 映畫 데뷔(?)기

  • 東亞日報
  • 入力 2010年 5月 29日 03時 00分


코멘트
지난해 여름 이창동 監督으로부터 만나자는 電話가 왔다. 바쁘실 테니 할 말 있으면 電話로 하자고 했더니 만나서 이야기하자고 했다. 얼마 後 서울 어느 講演場으로 젊은이가 찾아와 그의 시나리오를 傳하고 갔다. 난生처음 보는 映畫 시나리오였다. 題目이 ‘詩’였다. 집으로 돌아오는 車 안에서 시나리오를 읽었다. 單숨에 읽어졌다. 아주 잘 다듬어진 한篇의 小說이었다. 그림이 쫙 그려졌다. 시나리오 속에 김용탁이라는 詩 講師가 나와 내 이름과 비슷해서 혼자 웃었다.

왜 나한테 시나리오를 주었을까. 며칠 後 서울 가는 길에 그의 事務室에서 마주 앉았다. 映畫에 對한 이런저런 이야기가 오고 가다가 ‘詩’ 시나리오 이야기가 나왔다. 主人公인 최미자 役을 누구로 했으면 좋겠냐고 그가 나에게 물었다. 김혜자 김혜숙 고두심 尹汝貞 氏가 머릿속에 잠깐 머물다 갔지만 모두 이미지가 맞아떨어지지 않았다. 내가 모르겠다며 누군데 하고 물었다. 그가 나를 빤히 바라보고 빙긋이 웃으며 윤정희 氏라고 했다. 나는 무릎을 쳤다. 그렇구나! 윤정희 氏가 있었구나. 絶妙했다.

그런데, 媤집도 안 팔리고 사람들이 詩를 읽지도 않는데 映畫 ‘詩’를 볼까. 그랬더니 그러니까 時여야 한다고 했다. 그는 우리가 사는 世上을 詩로 물어보고 詩로 苦悶해 보자고 했다. 그러더니 나에게 말했다. 오랫동안 映畫를 놓치지 않고 보았으니 이제 銀幕에 데뷔(?) 해 보는 게 어떻겠냐고. 나는 弄談 말라고 하며 웃었다. 나는 無責任한 映畫 觀客일 뿐이라고 했다.

“世上을 詩로 묻고 苦悶해봅시다”

머릿속이 갑자기 複雜해졌다. 시나리오 속의 김용탁이라는 이름이 번개처럼 지나갔기 때문이다. 어떤 일에 對한 苦悶이 늘 이것이냐 저것이냐 이듯이 나도 갑자기 햄릿이 됐다. 이 일은 그냥 한番 해 보는 初等學校 學藝會가 아니지 않은가. 이창동 監督이 어떤 監督인가. 한 番의 映畫 出演으로 映畫俳優를 만들어버리는 監督이 아닌가. 이창동 監督에 對해 알 만큼 알고 있는 나는 덜컥 怯이 났다. “안 돼야. 나 못혀” 잔뜩 怯을 먹은 얼굴로 나는 頑强하게 못한다고 했다. 내가 繼續 못한다고 하자 그가 말했다. “내가 시키는 대로만 할 수 있으면 돼요.”

그가 얼마나 신중하게 생각을 한 끝에 付託을 했을까. 신중함이 짙게 묻어왔다. 그는 巨匠이 아닌가. 한番 해 본 말이 아닐 것이다. 며칠 苦悶해 보겠다고 했다.

그러나 말이다. 무슨 일이든 안 하려고 마음먹으면 苦悶 같은 건 안 한다. 하려는 생각이 있으니 苦悶이 생긴다. 해보자는 쪽으로 생각이 기울다가 다시 다른 쪽으로 기울었다. 어떤 때는 두 가지 생각이 팽팽하게 맞서 머리가 아팠다. 決定을 못하는데 그에게서 電話가 왔다. 어떻게 하기로 했냐는 質問이었다. 그의 물음에 나는 그냥 시키는 대로 해 보겠다고 했다. 엉겁결이었다. 말해 놓고 나는 머리가 띵하고 머릿속이 캄캄했다. 臺本 속에 나오는 臺詞를 외우기가 正말 어려웠다.

秋夕날 寧越에 갔다. 一週日間 映畫를 찍었다. 때론 힘이 들었다. 그럴 때마다 나보다 힘이 더 들 그를 생각했다. 윤정희 先生이 모니터를 보고 난 後 나를 稱讚했다. 나는 괴롭고 監督은 말이 없었다. 그가 스크린에 쓰고 싶은 詩 때문에, 우리가 사는 이 剛愎한 세상에, 모든 價値가 陷沒된 이 뻔뻔한 世上에 던져놓고 싶은 한 篇의 詩 때문에 그는 괴롭고 나는 詩人으로서 苦痛 속을 헤맸다.

나는 잠 못 든 밤, 달 뜬 동강 가를 서성였다. 달빛에 죽고 사는 江물을 바라보며 괴로워 잠 못 들던 젊은 時節이 생각났기 때문이다. 그 時節 江물은 늘 캄캄한 어둠을 뚫고 흘러갔다. 詩가 이렇게 나를 다시 괴롭히다니. 내가 그동안 쓴 詩는? 우리가 쓰는 詩는? 삶은? 달빛은? 삶과 죽음은? 撮影 내내 나는 수도 없이 많은 NG를 냈다. 그동안 돌아다니며 講演을 했던 나의 말이 나를 不自由하게 만들었다. 그러면서 監督에게 내가 늘 물은 말은 “그런데, 나도 스크린에 얼굴이 크게 나와?”였다.

苦痛의 一週日이 남긴 깨달음

왠지 두려웠다. 試寫會場에서 나는 映畫를 제대로 볼 수가 없었다. 全州에 와서 映畫를 다시 보았다. 山 사이를 빠져 돌아 나오는 江물이, 그리고 마지막으로 자갈 밭 위를 지나가는 자글거리는 물소리가 나의 日常 속의 일을 건들며 흘러갔다. 苦痛이 祝祭가 되고 詩가 되던 時節도 있었다.

우리가 잃어버린 것이 詩가 아니라, 우리가 버린 것이 詩가 아니라, 우리가 죽인 것이 詩가 아니라, 우리가 外面한 것이 實은 나였고 우리라는 그 물소리가, 主人公 미자가 죽은 女中學生을 따라간 물길이 아픈 詩의 길이라는 點을 나는 나중에야 깨달았다. 眞實의 通路가 막히면 삶은 苦痛이 된다. 市價, 아니 우리가 잃어버린 點이 무엇인지 모르는 이 世上에 對한 그의 叱咤는 이렇다. “詩 같은 건 죽어도 싸.” 죽어도 싸다는 말은 詩에만 該當되는 말은 아닐 것이다.

김용택 詩人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