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本報讀者人權위 座談] 女關聯 報道에서 留意할 性差別 問題|東亞日報

[本報讀者人權위 座談] 女關聯 報道에서 留意할 性差別 問題

  • 入力 2003年 6月 1日 18時 19分


코멘트
독자인권위원들이 ‘여성 관련 보도에서 유의할 성차별 문제’를 주제로 좌담하고 있다. 왼쪽부터 양창순 위원, 이용훈 위원장, 이종왕위원, 김영석 위원.-김미옥기자
讀者人權위員들이 ‘女性 關聯 報道에서 留意할 性差別 問題’를 主題로 座談하고 있다. 왼쪽부터 양창순 委員, 이용훈 委員長, 이종왕委員, 김영석 委員.-김미옥記者
《동아일보 讀者人權委員會 (POC·Press Oversight Committee) 委員들은 지난달 29日 열린 第11次 定期會議에서 言論 媒體들은 無心결에라도 性差別하는 報道를 하지 않도록 恒常 留念하고 注意해야 한다고 强調했다. 人權委員들은 ‘女性 關聯 報道에서 留意할 性差別 問題’를 主題로 座談하는 가운데 興味爲主나 煽情主義로 흐르는 言論報道가 性差別을 부추길 수 있다고 指摘하면서 女性問題를 다룰 때는 社會意識 變化에 맞추어 素材選定에서부터 報道方式에 이르기까지 徹底한 變化가 要求된다고 말했다. 設令 一部 讀者가 願한다 하더라도 一流紙 權威紙부터 商業主義 煽情主義 報道로 女性問題를 歪曲하는 態度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注文했다.》

社會=이영근 專門委員

―無心코 性役割을 强調하는 言論報道가 性差別을 부추긴다는 指摘이 社會團體나 女性界로부터 자주 提起돼왔습니다. 期間制敎師의 茶시중과 關聯한 葛藤을 다룬 本報 最近 칼럼을 읽고 讀者가 抗議電話를 해온 事例도 있습니다만….

▽양창순 委員=男女平等은 分明 우리 社會가 志向해야 할 窮極的 目標의 하나이겠지요. 兩性平等 問題는 요즘 젊은이들 사이에 深刻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男女가 서로의 長點을 살려 共存 共生할 수 있도록 言論이 方向을 잡아줄 必要가 있습니다.

▽이용훈 委員長=能力과 資質이 같은데도 女性이라고 差別한다면 그것이 性差別이겠지요. 茶시중은 男性과 女性 다 할 수 있습니다. 問題는 어떤 狀況에서 事案이 불거졌는가에 있습니다.

▽김영석 委員=言論報道가 男女의 社會的 役割이나 業務를 生物學的 差異에 따라 定型化하는 것이 問題가 돼왔습니다. 美國이나 유럽에서는 1970年代에 들어서면서 TV나 映畫에서 男女가 同等한 能力과 役割을 맡게 되는 形態로 바뀌기 始作했고 男女平等에 對한 意識의 變化도 加速度를 붙이게 됐지요. 우리는 過渡期에 서있는 것 같습니다.

▽이종왕 委員=男性優越 意識이 오랜 期間 우리 社會의 底邊에 스며 있었던 까닭에 言論도 無意識中에 性差別的 視角을 나타내는 事例가 눈에 띄는데 注意해야겠습니다. 無心결에라도 性差別하는 報道를 하지 않도록 留念하고 操心해야 하겠습니다.

―2月 개그우먼 이경실氏가 男便의 暴力으로 入院했을 때 一部 言論이 보여준 報道態度에 對해 最近 한 討論會에서 强度 높은 批判이 提起되기도 했는데요….

▽이종왕=被害者가 演藝人이고 女性이라고 해서 지나치게 煽情主義로 흐른게 아닌가 싶습니다. ‘行實에 疑惑이 있다’느니 하는 式으로 接近한 一部 報道는 눈살을 찌푸리게 했습니다.

▽양창순=어느 討論會에서 만났던 한 警察 高位職 人事마저 “萬若 내 딸이 性暴力 被害者라고 해도 나는 告發하지 않겠다”고 하더군요. 家庭暴力이나 性暴力 事案을 報道할 때는 그 어떤 事案보다도 眞摯하게 接近하고 問題의 核心을 드러내야 마땅할 텐데 가십이나 스캔들 水準의 興味거리로 다뤄지기 때문이라는 理由에서였습니다.

▽김영석=우리 社會만큼 性이 商品化되고 興味爲主로 다루어지는 社會도 드물다고 생각됩니다. 그런 狀況이니 言論 亦是 煽情主義로 나갈 可能性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權威紙는 女性關聯 뉴스를 煽情主義에서 벗어나 보다 客觀的인 視角으로 接近하고 社會的 이슈로 診斷해보려는 努力이 要求됩니다.

―新聞이나 TV가 兩性平等을 북돋우는 報道를 하려면 어떤 點에 留意해야 할까요….

▽양창순=강금실 法務長官이나 송경희 前 靑瓦臺代辯人 等은 國家의 核心機能을 責任지는 地位에 있거나 있었지만 女性이라는 理由로 興味爲主로 接近하는 報道들을 보게 됩니다. 어떤 色깔의 옷을 입고 쇼핑은 어떻게 하며 어느 美容室에 主로 들르는지, 나아가 離婚過程이 어떻고 前 男便의 빚을 떠안아 苦生한다는 等 核心을 벗어나는 報道가 그런 例이지요. 女性이라는 理由 하나로 役割, 能力, 資質 等에 焦點을 맞추고 社會的으로 責任진 機能에 符合하는 內容을 이슈化하려는 報道에서 벗어나는 境遇들이 있습니다.

▽김영석=이제는 우리 言論도 똑똑한 女性을 ‘社會의 양념’ 程度로 보는 視角에서 하루 빨리 벗어나야 합니다. 大學도 過去 10%臺에 머물렀던 女大生 比率이 이제는 50%를 넘나들 程度로 社會가 바뀌었습니다. 美國 新聞들은 男女 區別 없이 어떤 사람을 指稱할 때 過去에 通用되던 3人稱 代名詞 ‘he’(그男子)를 ‘he/she’(그男子/그女子)로 바꾸어 쓰기 始作한지 이미 오래됐습니다. 女性 關聯 報道를 할 때는 素材選定에서부터 報道方式에 이르기까지 徹底한 變化가 要求되는 時點입니다.

▽이용훈=法律的으로 解釋하기 어려운 대목은 있지만 性差別 報道에 對해 앞으로는 反論報道 請求나 損害賠償 訴訟이 提起될 可能性도 排除할 수만은 없을 것입니다.

整理=金鍾河記者 1101ha@donga.com

▼參席者 名單▼

이 龍 勳 委員長(李容勳·前 大法官)

이 鐘 王 委員(李鍾旺·辯護士)

金 영 席 委員(金永錫·연세대 言論弘報大學院長)

양 窓 順 委員(楊昌順·神經精神科 專門醫)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