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小說]8月의 저便 136…돌잡이 (2)|東亞日報

[小說]8月의 저便 136…돌잡이 (2)

  • 入力 2002年 9月 30日 18時 10分


女人네들은 미나리가 많은 物價를 찾기보다, 太陽과 함께 移動하여 해바라기를 하는 고양이처럼 陽地 바른 곳을 좇아 쭈그리고 앉아 있다.

“故人德이 마누라 이복수는 아직도 눈물로 지샌다 카더라. 동생 媤宅이 내이동이라, 한 洞네다”

“아아, 벌써 半年이 다 됐네”

“大邱에서 裁判에 있었던 게 昨年 12月 18日이다. 只今도 男便이 그 때 오려둔 新聞 記事를 가끔씩 읽어줘서 다 외워버렸다”

“故人덕이는 몇 番이나 들락날락했재?”

“義烈團 幹部였으니까. 목숨을 걸고 爆彈을 날랐다 아이가”

“큰 소리로 말 안 해도 다 들린다”

“목소리를 江물에 흘리듯 살살 얘기해야재 안 그라면……”

“義烈團 세 名의 家族하고 親戚, 親舊들이 大邱 地方 法院에 몰려갔는데, 200名은 들어갔지만 못 들어간 사람도 많았다더라. 40名의 鄭 私服 警察官하고 私服 憲兵隊가 물샐틈없이 檢問 檢索, 傍聽하는 사람들은 한 사람도 빠짐없이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調査했다”

“女子도 말이가?”

“與否가 있나”

“아이고, 징그럽다”

“이복수는 아버지의 모습을 보여주려고 열세 살 짜리 요한이하고 세 살 짜리 宗規, 그리고 두 딸아이를 데리고 멀리 大邱까지 갔는데, 못 들어간 模樣이더라”

“아이고, 누가 讓步 좀 하지”

“하지만, 故人德은 病勢가 무거워서 出征도 못했다”

“사흘 後에 죽었재?”

“12月 21日 刑務所에서 안 죽었나. 마흔 살이다. 新聞 記事에 그래 쓰여 있더라. 波瀾萬丈한 一生, 監獄行도 두 番이었다고”

“‘病死했다는 거 믿나?“

“아이고, 그랄 理가 있나”

“拷問 때문에 죽었재”

“쉿, 목소리가 크다. 이복수는 屍身이 어땠는지, 아무 말도 않고 묻었다”

“동생인 금식이度 屍身을 거두러 갔다던데, 둘 다 얼굴을 보는 瞬間 幅 고꾸라져서 저 世上까지 울릴만큼 서러운 소리로 울부짖었다 카더라”

“親舊들도 몇 十 名 갔다던데“

“아이고, 警察에 얼굴이 알려져서 쫓기는 몸으로”

글 유미리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