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詩를 보내며]박태일의 ´點骨´|東亞日報

[이 詩를 보내며]박태일의 ´點骨´

  • 入力 2002年 8月 8日 18時 33分


박갑영, '시간의 흐름 속에서'
박갑영, '時間의 흐름 속에서'
點骨 / 박태일

바람재 너머 點骨

쇠部리터 옛적 풀무질 소리

저녁마다 검은 먼지 생鐵 수레가 바람재를 넘어 갔다

돌아오지 않았다 첫 아이를 밴 玉女

귀밥 엷은 男便은 돌아오지 않았다

玉女, 텃밭 구르던 막사발

初겨울 눈발이 드문드문 바람材를 내려설 때

玉女 가랑잎 밑에서 두근거렸다

▼to:신경림▼

강은교 / 신경림

신경림 先生님, 저 소리가 보이세요?

오늘 아침 무섭게 불어대는 저 바람의-속에 들어있는 소리, 웅덩이를 밟은 듯 진흙 투성이가 다 된 저 구두 속에 들어있는 소리, 살풋 아스팔트에 떨어져 제 피빛 살(肉)을 문대고 있는 冬柏꽃 속에 들어있는 소리, 저 출렁이며 가는 가방들의 소리...........

先生님 詩에선 가끔 소리가 보여요.

그런데 ‘敦煌’에 가면, 어느 洞窟이던가-천정에 바람을 그려놓았지요. 바람의 視覺化(視覺化)…………이 時代의 재미있는 主題 아니예요?

강은교 드림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