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漫畫]本格 美容 專門漫畫 <시저스>出刊|東亞日報 </시저스>

[漫畫]本格 美容 專門漫畫 <시저스>出刊

  • 入力 2001年 4月 26日 11時 04分


男子 美容 專門家가 主人公으로 나오는 똑같은 題目의 漫畫 2篇이 出刊됐다. 강신재氏의 <시저스>(SCISSORS)(施工社)와 하쉬구치 타카쉬의 <시저스>(歲酒文化史)가 그것. 韓國과 日本의 10代 젊은이가 最高의 美容師가 되기 위해 겪는 成功談을 眞摯하게 그린 作品이다.

新人作家 강신재氏의 <시저스>에서는 아버지가 美容室을 經營하는 19歲 少年 '자연각'李 主人公이다. 每事에 天方地軸이지만 美容師로선 타고난 氣質을 가지고 있는 人物이다.

'시저스'는 美容 가위를 일컫는 말로 自然角이 恒常 몸에 지니고 다니는 唯一한 物件. 남들은 2時間이 걸리는 퍼머를 單 20分에 깔끔하게 해치우는 그에게는 2年동안 별러 온 全國美容大會에서 優勝하는 것이 가장 큰 目標다.

國內 最高의 美容固守라 불리는 '가위손'을 누르려는 자연각의 同期生 '주문진'은 不法 審査를 위해 美容協會를 휘두르려 하고 이 暗鬪에 자연각은 휘말리게 된다. 大會 途中 그들의 陰謀가 밝혀져 '多孔性모(乾燥하고 損傷된 두發)' 마네킹을 받고 窮地에 몰린 자연각은 여기에 銀箔紙를 두르고 불을 질러 사람들을 놀라게 하지만 結果는 大成功. 熱과 接着劑를 使用, 갈라진 毛髮을 찰랑거리고 潤氣나는 머리결로 만들어낸 것. 그러나 審査委員 '배지기'는 그의 行動이 眞正으로 손님을 위한 것이 아니라 美容 大會에서 이기고자 하는 勝負欲이라며 탈락시킨다. 以後 배지기의 弟子로 들어간 자연각은 自慢心을 버리고 美容師 本然의 姿勢를 배우게 된다.

이 漫畫의 長點이라면 現場感이 살아 있다는 것. 美容室의 궂은 일을 도맡아야 하는 新參 美容師들 이야기, 自身이 願하던 것과는 너무 틀리다고 火를 내는 손님 이야기들은 共感이 간다. 또 作家가 直接 現場 取材를 하며 익힌 美容技術들은 作品 理解力에 도움을 준다.

反面 日本 作家 하쉬구치 타카쉬의 <시저스>는 姜氏의 漫畫보다 어두운 色彩를 띄고 있다. 오키나와의 작은 理髮所 아들 '카리野'를 主人公으로 한 이 漫畫는 어려운 環境을 딛고 일어서 꿈을 이룬다는 一種의 '成功 時代'型 漫畫.

美容師가 되기 위해 家族을 버리고 家出한 어머니를 怨望하는 카리野는 아버지의 反對에도 不拘하고 도쿄로 가서 美容師가 되겠다고 固執한다. 마음을 독하게 먹은 카리野는 孑孑單身 하라주쿠의 有名 美容室을 찾아다니며 일하게 해달라고 付託하지만 番番이 거절당한다.

그러던 中 自身의 머리를 손질해 준 美容師 '코마츠'의 幻想的인 커트 솜씨에 反해 自身을 弟子로 받아달라고 付託한다. 코마츠의 마음을 움직였던 것은 카리野에 內在되어 있던 根性과 氣質. 試驗삼아 맡겨본 한 손님은 카리野의 커트에 눈물을 흘릴 程度로 滿足하며 기뻐한다.

日本의 尖端 流行을 한 눈에 느껴볼 수 있는 하라주쿠 거리의 美容室 '시저스'를 背景으로 펼쳐지는 이 漫畫는 國內 패션雜誌에 빠지지 않고 登場하는 '日本 流行 通信'을 接해 볼 수 있다. 姜氏의 <시저스>와 比較해 봤을때 훨씬 破格的인 헤어 스타일이 많이 登場한다.

두 作品은 모두 앞으로 自國에서 成功한 主人公들이 世界의 헤어 디자이너로 발돋움한다는 內容을 그릴 計劃이다.

오현주 <동아닷컴 기자="">vividro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