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꼴이 이게 뭐냐” 高聲 들리자… 實驗인데도 눈끝 파르르|東亞日報

“꼴이 이게 뭐냐” 高聲 들리자… 實驗인데도 눈끝 파르르

  • 東亞日報
  • 入力 2014年 2月 21日 03時 00分


코멘트

[말이 世上을 바꿉니다] <2부>當身을 죽이고 살리는 말
나쁜 말-좋은 말 直接 들어보니

“꼴이 이게 뭐냐? 더럽게 正말…. 얼른 옷 벗고 씻지 못해?”

목덜미에 갑자기 차가운 물방울이 떨어진 듯했다. 가슴이 답답해지고 숨은 거칠어졌다. 송곳처럼 鼓膜을 찌르는 中年 女性의 叱咤는 몇 分 동안 繼續됐다.

“都大體 하루에 옷을 몇 番이나 갈아입어? 짜증나 죽겠네.” 女性의 말끝이 날카롭게 올라갈 땐 종잇張에 손끝이 베인 것처럼 소름이 일었다.

平素 버스나 地下鐵 안에서 아이를 甚하게 꾸짖는 父母의 모습을 볼 때와 비슷한 느낌이 들었다. 어릴 적 들었던 어른들의 꾸짖음도 떠올랐다. 30代 男性인 記者는 마치 어린아이가 된 듯한 羞恥心에 눈 끝이 바르르 떨렸다. 아무리 實驗이라지만 귀를 틀어막고 싶은 氣分이었다.

“스트레스 指數가 7等級까지 올라갔네요.” 스피커를 통해 나오던 中年 女性의 高聲이 잦아들었다. 배명진 숭실대 敎授(電氣通信電子工學部)가 記者의 손끝에서 脈搏 波動 測定器를 떼어냈다. 平穩한 狀態에서 測定했던 스트레스 指數는 頂上 水準인 2等級. 2分餘의 叱咤를 듣고 난 뒤에는 5段階가 뛰어올랐다. 5∼6等級은 慢性 스트레스, 9∼10等級은 精神疾患을 겪을 때 나오는 測定値다.

日常生活 속 듣게 되는 ‘나쁜 말’은 스트레스를 불러일으키는 重要한 要素 中 하나다. 스트레스는 健康에 惡影響을 미친다. 다시 말해 나쁜 말은 듣는 이의 健康을 해치는 셈이다.

이 因果關係를 科學的으로 檢證하기 위해 동아일보 取材陣은 崇實大 소리工學硏究所의 도움을 얻어 두 가지 音聲 實驗을 했다. 實驗은 나쁜 말을 들었을 때 脈搏의 波動과 腦波가 어떻게 變化하는지를 살펴보는 方式으로 進行됐다.

○ 健康 指數 ‘빨간불’

나쁜 말에 露出되는 동안 記者의 脈搏 波動을 測定해 計算한 健康 指數는 100點 滿點에 70點으로 나타났다. 나쁜 말을 듣기 前 點數는 88點이었다. 70點臺는 主로 免疫力이 低下돼 各種 疾患에 걸릴 危險度가 높아진 狀態일 때 나오는 數値다.

原因은 갑자기 늘어난 호르몬 때문. 人體는 스트레스를 받으면 호르몬의 分泌量을 늘린다. 急性 스트레스에 反應해 分泌되는 호르몬인 코르티솔은 分泌量이 늘어나면 血壓을 높이고 體重 增加 要因이 된다. 呼吸이 거칠어지고 脈搏의 波動도 非正常이 된다. 코르티솔의 血中 濃度가 높아지면 食慾이 增加해 肥滿을 招來한다. 高血壓의 危險이 높아지고 慢性疲勞, 頭痛, 不眠症 等의 症狀이 나타난다. 또한 免疫 機能이 弱化돼 感氣와 같은 바이러스性 疾患에 쉽게 露出될 수 있다.

다음은 腦波를 測定하는 實驗. 正確한 實驗 結果를 얻기 위해 첫 實驗에서 받은 刺戟을 가라앉히고 平穩한 狀態로 돌아가야 했다. 눈을 감고 스피커에서 나오는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얼마나 熱心히 뛰어놀았기에 이렇게 더러워졌을까? 엄마가 옷 깨끗이 빨아 줄 테니 來日도 씩씩하게 뛰놀렴.” 나긋나긋한 목소리에 마음이 풀렸다. 2分間의 타이름이 끝난 뒤 測定한 스트레스와 健康 指數는 다시 頂上 水準으로 돌아와 있었다. 목에서 느껴지던 뻐근함도 어느새 잦아들었다.

두 番째 實驗은 머리에 腦波 感知器를 두르고 進行했다. 다시 매서운 女性의 목소리가 귀를 때렸다. “야. 내가 네 빨래하는 사람이냐?” 2分間의 叱咤를 견뎌낸 뒤 腦波의 變化를 살펴봤다. 腦波를 分析한 그래프 屈曲의 一部가 눈에 띄게 치솟아 있었다. 緊張하거나 不安한 狀態일 때 높아지는 腦波人 베타波였다.

腦는 무언가에 熱中하거나 차분하게 日, 工夫 等을 할 때 알파파를 높인다. 冥想이나 깊은 생각을 할 때면 세打破나 델打破가 强해진다. 反面 베타波는 神經이 날카로워질 때 剛한 信號를 나타낸다. 베타波가 높을 땐 注意가 散漫해져 空間 知覺能力과 思考, 行動能力이 낮아진다. 運轉이나 섬세한 作業을 할 때 베타波가 높으면 失手를 하거나 큰 事故로 이어질 수 있다.

○ 나쁜 말은 自身에게도 스트레스

人間이 귀로 들을 수 있는 音域臺는 20에서 2萬 Hz(헤르츠) 사이다. 實驗에 使用된 音源의 波形을 살펴보면 中年 女性이 나긋나긋하게 말할 때는 200∼300Hz였지만 꾸짖을 때는 2∼3倍인 600Hz까지 音域臺가 올라갔다.

갑자기 높은 音域臺의 목소리를 듣게 되면 相對方의 感情 變化를 無意識的으로 感知한다. 이럴 때 人間은 經驗的으로 威脅을 느낀다. 思考나 暴力, 꾸짖는 相對方의 險惡한 얼굴이 聯想되기 때문이다. 이는 마치 救急車의 사이렌 소리를 들을 때와 비슷한 反應이다. 溫和한 말套는 말의 速度도 느리게 한다. 反面 꾸짖을 때는 말이 빨라진다. 實驗에 使用된 音源을 分析해 보니 타이르는 말은 3秒間 9音節, 꾸짖는 말은 15音節이었다.

나쁜 말은 듣는 사람 뿐 아니라 하는 사람에게도 좋지 않은 影響을 미친다고 專門家들은 말한다. 興奮한 狀態에서 相對方을 꾸짖을 땐 목소리가 커지고 말의 速度도 빨라지기 때문에 血壓이 오르고 血液 循環에 障礙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배명진 敎授는 “人間의 五感(五感) 中 腦의 正中央에 位置하고 있는 聽覺은 外部의 刺戟에 가장 敏感하고 中樞神經에도 直接的인 影響을 미친다”고 말했다.

이진석 記者 gene@donga.com
#高聲 #나쁜 말 #스트레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