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兩날의 劍’ 베네수엘라 原油…美國과 마두로 누가 쥘까|동아일보

‘兩날의 劍’ 베네수엘라 原油…美國과 마두로 누가 쥘까

  • 뉴스1
  • 入力 2019年 1月 25日 14時 45分


코멘트

?‘마두로가 石油 武器로 使用 못한 理由’는?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大統領에 對한 美國의 辭退 壓力이 剛해지는 가운데 이를 물리칠 唯一한 그의 武器가 ‘石油’라는 分析이 提起됐다. 하지만 이를 現實的로 使用하기에는 여러 難關이 있으며 도리어 石油는 美國이 베네수엘라를 壓迫할 카드라는 分析도 나왔다.

24日(現地時間) 워싱턴포스트(WP) 分析에 따르면 멕시코灣에 基地를 둔 美國 精油社들은 如前히 베네수엘라로부터의 原油 供給에 依存하고 있다. 專門家들은 美國에서의 디젤유 生産에 베네수엘라 原乳가 必須的이라면서 올해 初 基準으로 하루 約 50萬배럴의 베네수엘라 原乳가 美國으로 輸入되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마두로 政權은 이런 狀況에서도 베네수엘라의 石油를 美國과 맞설 武器로 쓸 수 없었다는 게 專門家들의 分析이다. 베네수엘라의 經濟 崩壞는 마두로가 石油 輸出을 外交 武器로 利用하는 것을 事實上 不可能하게 만들었다는 說明이다.

라피團 에너지의 스캇 모델 매니징 디렉터는 “베네수엘라 原油 輸出로 인한 現金의 75%가 美國에서 나온다”고 말했다. 베네수엘라는 러시아와 中國과 같은 主要 外交 友邦國에도 相當한 量의 原油를 輸出하지만 거의 모든 收益은 旣存 負債를 償還하는 데 使用한다.

모델 디렉터는 “베네수엘라는 原乳로 (빚을 갚느라) 現金을 얻지 못해, 現金을 懇切히 願한다”라고 말했다. 이런 狀況에서 美 輸出을 끊는다는 것은 自害 行爲라는 것이다.

섀넌 오닐 南美 專門家 亦是 “石油 輸出을 中斷하거나 해서 美國을 經濟的으로 打擊하려는 試圖는 ‘제 발등 찍기’가 되어 美國보다 베네수엘라에 더 큰 打擊을 줄것이라고 말했다.

業界에서는 도리어 美國 쪽이 輸入 中斷으로 베네수엘라에 打擊을 줄 수 있는 유리한 地點에 있다고 본다. 베네수엘라 石油 輸入을 中斷해 資金源을 옥죌 수 있고, 베네수엘라가 石油 輸出에 꼭 必要로 하는 稀釋劑 等 化學製品 輸出을 禁止할 수도 있다. 베네수엘라 石油는 品質이 낮아 곧바로 輸出할 수 없고, 外國에서 稀釋劑 等 化學製品을 輸入해 自國産 石油에 섞어 品質을 높인 뒤에야 輸出이 可能하다는 게 專門家들의 說明이다.

24日 西部텍사스原油(WTI) 膳物은 前日對比 51센트(1.0%) 上昇한 배럴當 53.13달러를 記錄했다. 反面에 브렌트유는 1센트(0.1%) 내린 배럴當 61.09달러를 나타냈다. 베네수엘라 政界가 요동친 데 비해 油價 童謠는 크지 않았고 美 精油社들도 過去 몇次例 베네수엘라 危機를 겪었기에 對備가 되었다는 게 業界 分析이다.

다만 1990年 以後 베네수엘라 國營 에너지 企業인 PDVSA가 過半 以上의 持分을 갖게 된 美國系 精油社 시트故意 運命이 問題가 된다. 美 텍사스에 本社를 둔 시트고는 數千名의 美國人을 雇用하고 있지만 PDVSA가 가진 持分을 擔保로 2016年 러시아 로즈네프트로부터 15億달러를 빌리기도 해 利權 關係가 複雜하다.

業界는 후안 과이도 베네수엘라 臨時 大統領 支持를 闡明하며 全面戰에 나선 美國이 마두로 政權의 收入源으로 役割하는 시트고를 押留할지 與否를 注目하고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