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바마 “마틴은 35年前 나였을 수도”|동아일보

오바마 “마틴은 35年前 나였을 수도”

  • 東亞日報
  • 入力 2013年 7月 22日 03時 00分


코멘트

‘지머먼 事件’ 關聯 18分 卽興演說… 言論-SNS, 發言 놓고 贊反 후끈

“百貨店에서 쇼핑할 때 追跡을 當해 보지 않은 아프리카系 美國人 男子는 많지 않다. 길을 걸을 때 車輛에서 門 잠그는 소리를 듣지 않은 아프리카系 美國人 男子도 많지 않다. 나도 上院議員이 되기 前까지는 그런 經驗을 했다.”

19日 午後 豫告도 없이 白堊館 브리핑룸에 나타난 버락 오바마 大統領은 絶對 ‘黑人 男子’라는 말을 쓰지 않았다. 代身 自身과 같은 美國 黑人 男子를 ‘아프리카系 美國 男子’라고 높여 말하며 自身의 고통스러운 經驗을 記者들에게 털어놓았다.

오바마 大統領은 “엘리베이터를 탔을 때 女性이 神經質的으로 가방을 끌어안고 門이 열려 내릴 때까지 숨을 참는 모습을 겪어 보지 않은 아프리카系 美國人 男子는 많지 않다. 그런 일은 자주 있다”고 말할 때엔 애써 冷靜을 잃지 않으려는 듯 보였다.

歷史上 最初의 美國 黑人 大統領인 그는 13日 ‘지머먼 評決’이 나온 다음 날 짧은 聲明을 냈지만 大衆 앞에 서서 自身의 意見을 本格的으로 밝힌 것은 이番이 처음이었다. “마음에서 나오는 眞心 어린 演說”을 願했던 그는 事前 原稿를 準備하지 않았다. 特有의 더듬거림을 숨기지 않고 이番 事案에 對한 苦惱를 그대로 드러냈다.

18分 동안 卽興 演說을 통해 오바마 大統領은 지머먼 評決에 憤怒하는 黑人의 心情을 모든 國民에게 이해시키려 애썼다. 그는 “아프리카系 美國人들이 이番 事件을 (黑白 人種偏見과 葛藤에 對한) 사라지지 않은 一連의 經驗과 歷史를 통해 지켜보고 있다는 事實을 認識하는 것이 重要하다”고 말했다.

銃을 가지지 않았음에도 不拘하고 지머먼의 正當防衛에 목숨을 잃은 17歲 黑人 少年 트레이番 마틴을 追慕하는 일도 잊지 않았다. 오바마 大統領은 지난해 事件 發生 直後 “나에게 아들이 있었다면 트레이番 같았을 것”이라고 했던 自身의 發言을 상기시키며 “달리 말하자면 트레이番은 35年 前의 나였을 수도 있다”고 했다.

오바마 大統領은 感傷的으로 過去를 慨歎하는 데 머무르지 않고 “美國人의 自己省察(soul-searching)을 바란다”며 “우리가 어떤 敎訓을 얻고 肯定的인 方向으로 나갈 수 있을지, 우리가 할 수 있는 具體的인 일들이 있는지가 課題”라고 指摘했다.

美國 社會의 오랜 人種偏見이 나아지고 있다고도 했다. 그는 “(두 딸인) 말리아와 사샤, 그리고 親舊들의 이야기를 들어 보면 그들은 우리보다는 낫다. 그들은 이 問題에서 우리보다 나은 狀況”이라고 慰勞했다.

마틴의 父母는 卽刻 聲明을 내고 “오바마 大統領은 트레이番에게서 自身을 봤고 그와 自身을 同一視했다. 아이에 對한 아름다운 獻辭였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머먼의 辯護人團은 “이番 事件에 對한 人種的 脈絡을 認定하고 理解하지만 사람들이 事案을 緻密하고 客觀的으로 보길 바란다”며 이番 評決을 ‘人種偏見’으로 보면 안 된다고 反駁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言論은 大統領의 發言에 對한 贊反 論難으로 분주했다.

워싱턴=신석호 特派員 kyle@donga.com

#오바마 #지머먼 事件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