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들 바보’ 장동건 “아내 德에 아들이 아빠 알아봐요”|동아일보

‘아들 바보’ 장동건 “아내 德에 아들이 아빠 알아봐요”

  • Array
  • 入力 2011年 12月 15日 17時 00分


코멘트
배우 장동건. 스포츠동아DB
俳優 장동건. 스포츠동아DB
장동건(39)李 映畫 ‘마이웨이’ 撮影을 앞두고 가장 먼저 한 일은 왼쪽 무릎 手術이었다.

첫 美國舞臺 進出作인 ‘워리어스 웨이’를 찍을 때 입은 무릎 軟骨 負傷의 治療를 그동안 미루어 왔었다. 하지만 2次 大戰을 그린 戰爭 블록버스터. 戰爭의 砲火를 온 몸으로 뚫고 가는 人物 준식을 演技하면서 一旦 몸부터 完璧하게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던 것.

‘마이웨이’의 開封이 不過 一週日 밖에 남지 않은 15日, 장동건을 서울 장충동의 한 호텔에서 만났다.

장동건이 맡은 준식은 植民地 朝鮮의 마라톤 選手. 不運한 事件에 엮인 뒤 日本軍에 徵集된 준식은 蘇聯軍에서 다시 獨逸軍으로 波瀾萬丈한 삶을 산다. 그 옆에는 平生의 라이벌 日本 將校 타츠오(誤다기리 兆)가 있다.

“7年 前 ‘太極旗 휘날리며’를 찍은 뒤 다시는 戰爭映畫를 하지 않겠다고 했어요. 더 나올 戰爭이 없을 것 같았는데, 2次 大戰이 나왔어요. 提議를 받고 ‘강제규 監督님이 演出하면 하겠다’는 말로 事實上 拒絶의 뜻을 傳했는데 狀況이 이렇게 됐네요. ‘마이웨이’는 想像하는 것 以上을 찍어내고 表現해낸 映畫입니다.”

◆ “外國語 大使? 要領 생겨서 큰 어려움 없어“

‘마이웨이’는 中國 女俳優 판빙빙까지 包含해 한·中·日 스타가 만났다. 臺詞의 70%가 韓國語가 아닌 外國語이다.

장동건은 全作인 ‘워리어스 웨이’에서 모든 臺詞를 英語로 消化했는데, 이番에는 日本語 大使가 大部分이다.

“저는 왜 그럴까요. 하하. 조금씩 要領이 생겨요. 只今 찍고 있는 허진호 監督의 ‘危險한 關係’는 모두 中國語 延期에요. 臺詞만 잘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實際 外國語 實力은 높지 않아요.”

장동건은 來年 1月14日 日本에서 ‘마이웨이’가 開封한 뒤 中國으로 넘어가 ‘危險한 關係’를 마저 撮影한다.

멜로物인 ‘危險한 關係’는 中國 資本으로 製作되는 中國映畫. 그러고 보니 그의 最近 出演作 세篇은 모두 海外 映畫이다. “海外 作品에 集中하는 眞짜 理由가 뭐냐”고 물으니 眞摯한 對答이 돌아왔다.

“一種의 個人的인 缺乏이에요. 胎生 自體가 많은 觀客이 보게 되는 ‘마이웨이’ 같은 映畫라면 俳優로서 普遍的인 感情 幅을 擇해요. 거기서 오는 缺乏이 있고 새로운 欲求가 생기죠. ‘危險한 關係’를 擇한 理由는 디테일한 感情과 狀況으로 보여줄 게 많기 때문입니다.”

海外撮影이 繼續되다 보니 아무래도 家族과 보내는 時間은 줄 수 밖에 없다. 이런 그의 日程에 아내인 고소영의 不滿도 있다.

장동건은 “(高)소영 氏는 아이가 아빠 얼굴을 잊을까봐 每日 寫眞을 보여줬는데, 그런 努力 德分에 오랜만에 만난 아들이 ‘아빠’라고 불렀다”고 意外로 ‘아들 바보’의 面貌도 보였다.

“아이가 더 커서 ‘장동건 고소영의 아이’로 불려질 때를 생각하면 걱정돼요. 그 아이의 人生이고 運命이지만 그 때 賢明하게 보살펴 줘야할 것 같아요. 俳優를 하겠다면 理由를 묻고 合當하면 許諾할 생각이에요. 一旦 싹수를 봐야죠. 하하.”

스포츠동아 이해리 記者 gofl1024@donga.com 트위터@madeinharry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